무극대도 ()

목차
천도교
개념
최제우가 1860년 종교체험에서 받은 한울님의 가르침을 뜻하는 천도교교리.
목차
정의
최제우가 1860년 종교체험에서 받은 한울님의 가르침을 뜻하는 천도교교리.
내용

‘끝없이 훌륭한 진리’라는 뜻이다. “천은이 망극하여 경신 4월 초5일 글로 어찌 기록하며 말로 어찌 형언할까, 만고없는 무극대도 여몽여각 득도로다.”라는 <용담가 龍潭歌>의 구절은 1860년 4월 5일의 체험을 나타내고 있다.

최제우의 종교적 신념을 결정적으로 굳어지게 하였던 하느님의 가르침의 내용은 요컨대 세상사람으로 하여금 하느님을 모시게(侍天主)하라는 것이다.

그리고 하느님을 모시는 것이 끝없이 훌륭한 도가 되는 까닭은 “하느님을 모시면 조화가 얻어지기(侍天主造化定)” 때문이다. 여기서 ‘조화가 얻어진다’는 것은 하느님의 놀라운 능력[造化]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그뿐만 아니라 하느님을 모시면 “온갖 사물들에 대하여 깨달아진다(萬事知)”는 것을 말한다. 최제우는 종교체험을 통하여 하느님으로부터 하느님을 모시라는 가르침을 받았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그 방법을 마련하였는데 중심이 되는 것은 21자로 된 주문으로서 “하느님을 지극히 위하는 글(至爲天主之字)”이다. 이 주문을 외움으로써 하느님을 정성껏 모시는 종교가 바로 동학이다.

참고문헌

『동경대전(東經大全)』
『용담유사(龍潭遺詞)』
『동학사상과 동학혁명』(이현희 편, 청아출판사, 1984)
『용담유사』(최동희 역주, 삼성출판사, 1979)
집필자
최동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