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춤은 무당이 굿을 할 때 추는 춤이다. 신이 내린 강신무와 학습에 의해 의식을 행하는 세습무의 춤은 차이가 있다. 한강 이북의 강신무가 추는 무당춤은 동작이 활달하고 주술성이 강하다. 여러 가지 신옷을 입고 주로 타악기 중심의 무악기로 반주한다. 한강 이남의 세습무가 추는 무당춤은 동작이 부드럽고 축원적이다. 의식에서 예능을 강조하고 무당들은 신옷이 아니라 연희복을 입는다. 무당춤은 제의적 성격뿐만 아니라 굿판의 사람들을 위한 오락적·예술적 가무도 중시된다. 무당춤은 한국 전통춤 전반의 뿌리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크게 보았을 때 신이 내리는 강신무(降神巫)는 굿의식에서 신의 역할을 직접 하며, 학습에 의해 의식을 행하는 세습무(世襲巫)는 사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한강 이북의 강신무가 추는 무당춤은 동작이 활달하고 주술성이 강하며, 여러 가지 신옷을 입고, 주로 타악기 중심의 무악기로 반주한다. 한강 이남의 세습무가 추는 무당춤은 동작이 부드럽고 축원적이며, 의식에서 예능을 강조하고, 무당들은 신옷이 아니라 의식진행을 위한 연희복을 입는다. 반주악기로 타악기와 선율악기가 함께 동원된다.
굿 의식의 목적과 내용에 따라 무당춤은 청신무(請神舞), 오신무(娛神舞), 송신무(送神舞), 세령무(洗靈舞), 축귀무(逐鬼舞)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청신무의 경우 신대를 들고 춤추거나 강신장인 터를 잡는 춤, 신을 제상까지 청하여 정좌시키는 춤, 혼도(魂道)를 깨끗이 치워 맞이하는 춤 등이 있다. 오신무로는 영복(靈服)이나 무복(巫服)을 입거나 손에 들고 추는 춤이 있으며, 송신무로는 ‘길닦음’이라 하여 극락의 길로 망자의 넋을 보내는 춤이 대표적이다.
세령무로는 넋을 깨끗이 씻어주는 굿에서 추는 넋춤이나 지전(紙錢)춤, 고풀이춤이 있고, 축귀무인 경우 크고 작은 신칼을 휘두르면서 잡귀를 몰아내는 도무(跳舞)나 공수를 내릴 때 하는 신기(神旗)춤 등이 있다. 또한 신사(神事)의 제의적 춤 못지않게 굿판의 사람들에게 보이기 위한 오락적이고 예술적인 극이나 가무도 중요시되고 있다. 무당춤의 춤사위는 자체가 의미를 갖는다기 보다는, 각 굿거리의 목적과 내용에 따라, 무구(巫具)의 쓰임에 따라 의미를 갖게 된다.
강신무가 추는 춤은 발작적인 광란한 춤이 나오기도 하고, 신격자로서 권위나 위엄을 보이기도 하며, 장난기가 있는 춤으로 변하기도 하는 등 유동적이고 변화가 심하다. 그러나 세습무의 춤은 축원적인 성격이 강하므로 일반적인 가무를 하면서, 종교적 속박을 벗어나 인간적인 춤, 예술적 연희에 치중되는 춤도 있다.
무당춤은 크게 6개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부산에서 강릉으로 이어지는 동해안 지역의 무당춤, 전라도와 경상남도의 서남 지역의 무당춤, 경기 남부와 충청도 지역의 무당춤, 서울 지역의 무당춤, 경기 북부를 포함함 황해도, 평안도함경도 지역의 무당춤, 제주도 무당춤이 있다.
강원도 강릉굿은 무구를 가지고 추는 것보다 쾌자자락으로 추는 신놀림춤이 많다. 삼척굿도 강릉굿과 유사하나, 칼춤과 장삼자락으로 추는 도무는 함경도나 평안도춤과 비슷한 것이 나타난다. 부산굿은 굿의 내용이 풍부하고 춤의 종류도 많다. ‘겨드랑사위’, ‘비빔무관’, ‘양사위무관’, ‘갈매무관’, ‘돌돌이무관’, ‘송신무관’ 등이 전형화되었으며 오신무와 송신무가 많은 것도 특징이다.
또한 남녀대무나 군무, 구경꾼들의 극락춤이 있으며 연극적 내용의 몸짓춤과 여흥으로 추는 예술적인 춤이 돋보인다. 경상북도 영덕굿은 부산굿과 유사한데, 부채 들고 신을 놀리는 춤이 마치 신을 유혹하듯이 요염하고 부드러운 느낌이다.
경상남도 통영굿은 굿의 내용은 경상도 굿과 비슷하나 예능적 형식은 전라도 굿과 비슷하다. 육자배기 조의 무악이 그렇고 춤을 엇박으로 추는 것과 맺고 푸는 춤이 주종을 이룬다. 특기할 것은 무녀가 무관(巫冠)을 쓰고 춤을 춘다는 점과 남무가 중광대, 할미광대 등과 같은 가면무를 추며, 대금을 가지고 몸짓춤을 춘다.
전라남도 진도굿은 망자를 달래고 씻겨주는 지전춤이 주축이다. 춤은 씻김굿의 의식절차인 영돈말이(고풀이), 넋올리기, 길닦음에서 혼을 달래주는 진혼무(鎭魂舞)와 몸을 씻겨서 한을 풀어주는 세령무가 있다. 진도지방의 무당춤은 무악의 음악적 구조가 다양하고 예술성이 높다.
경기도굿은 남무가 꽹과리를 들고 추는 춤이 있고, 활과 정애비와 같은 허수아비춤과 목검을 가지고 마을 돌아다니면서 축귀하는 돌돌이춤이 특색이다. 또한 부정놀이라던가 터벌림의 사방치기와 같은 전형화된 춤사위기 돋보인다. ‘올림채춤’, ‘진쇠춤’, ‘터벌림춤’, ‘도살풀이춤’ 등이 있다.
서울굿은 무복이 아름답고 춤도 우아하며 차분하고 접신무에서 ‘도드림’과 도무, 송신무에서 ‘도령돌기’ 등의 전형화된 춤사위가 엿보인다. ‘대감춤’, ‘제석춤’, ‘거상춤’ 등이 있다.
황해도굿의 춤은 느리게 추다가 절정에 이르러서는 거칠고 전투적인 춤으로 변하며, 크고 작은 칼을 가지고 추는 춤이 많고, 연극적인 요소도 특징이다. ‘부채와 방울춤’, ‘영복춤’, ‘바라춤’, ‘혼배춤’, ‘쾌자옷자락춤’, ‘장삼춤’ 등이 있다.
평안도굿의 춤은 신옷을 갈아입고 접신하는 춤도 있고, 신의 위엄을 보이는 의젓함이 강하게 풍긴다. 함경도굿의 춤은 전형화된 춤은 없고 신사를 진행하면서 성주다리, 망명다리와 같은 흰 천을 가지고 신을 놀리거나 산영대나 장영대와 같은 점술적인 신채춤이 있다.
제주도의 무당춤은 원칙적으로 세습무이기 때문에 기원무이다. 그러나 주술성이 강해 강신무가 추는 신춤과 비슷하다. 악기의 성능이나 연주법이 육지의 것과 다르고 춤 또한 다르다. ‘도랑춤’이라 하여 빙빙 도는 춤사위나 무구를 어깨에 메고 뿌리는 것 그리고 ‘신맞이’와 같은 동작이 전형화되어 있다.
무당춤은 굿 자체가 풍성한 내용과 형식을 포함한 경우에 발달하며, 또한 무당의 예술적 역량에 따라 춤이 풍성해진다. 현재 무당춤은 국가유산 지정을 통해 대개 전승되고 있다. 무당춤은 한국 전통춤 전반의 뿌리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