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금 ()

목차
관련 정보
징 / 대금
징 / 대금
국악
물품
조선시대 금부(金部) 타악기의 하나.
이칭
이칭
징(鉦), 금징(金鉦), 금라, 동라, 나
목차
정의
조선시대 금부(金部) 타악기의 하나.
내용

일명 징(鉦)·금징(金鉦)·금라(金鑼)·동라(銅鑼)·나(鑼)라고도 부른다. 밑바닥의 지름은 약 36.3㎝ 정도이다.『악학궤범』권8에 의하면 대금은 놋쇠로 만들고 끈(纓)은 홍색실(紅絲)을 쓰고 퇴(槌 : 망치)는 사슴가죽(鹿皮)을 말아서 만든다.

『악학궤범』권2 시용종묘영녕전헌가조(時用宗廟永寧殿軒架條)에는 종헌에서 음악이 그친 뒤 대금을 열번 쳐서(大金十通) 「정대업」의 끝을 알린다.

원래 대금은 북과 함께 군중(軍中)에서 신호로 쓰였는데, 북은 전진을, 대금은 후퇴를 나타내며, 이러한 것은 무무(武舞)인 「정대업」의 연주절차에서도 알 수 있다.

『악학궤범』권2 둑제조(纛祭條)에는 “헌 춤에서는 활과 살을 쥔 사람이 「납씨가(納氏歌)」를 부르며 춤을 추는데, 춤을 출 때 소금(小金)을 세번 치고 다음에 중고(中鼓)와 대금을 동시에 쳐서 일절(一節)을 이룬다(북이 먼저이고 대금이 나중이다).

또한, 둑제의 철변두(徹籩豆)에서는 창·궁시·칼·방패 등과 도끼를 들고 춤추는 사람이 모두 「정동방곡(靖東方曲)」을 부르고, 다 끝난 뒤 대금을 열번 친다.” 하였다. 이와같이, 종묘제향(宗廟祭享)이나 둑제에 대금이 쓰였는데, 그 기능은 음악이 끝남을 알리는 구실을 하였다.

『세조실록』 권48의 신제약정악보(新制略定樂譜)의 종묘음악 가운데 있는 「정대업」악보에 의하면, 대금은 소금과 함께 매박(每拍) 처음에 한번씩 친다. 특히, 「분웅(奮雄)」에서는 매박 처음에 대고(大鼓)와 대금을 친 다음 소금은 계속하여 세번 친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祖實錄)』
『국역악학궤범』Ⅱ(민족문화추진회, 198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동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