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자바라(啫哱囉)·발(鈸)·제금(提金)이라고도 한다. 바라는 그 크기에 따라 자바라·요발(鐃鈸)·동발(銅鈸)·향발(響鈸) 등이 있으며 또한 그 용도가 다르다.
바라는 냄비 뚜껑같이 생긴 두개의 얇고 둥근 놋쇠판으로 만들며, 놋쇠판 중앙의 불룩하게 솟은 부분에 구멍을 뚫고 끈을 꿰어 그것을 양손에 하나씩 잡고 서로 부딪쳐서 소리를 낸다.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요발이 보이며, 『악학궤범』에는 동발이 나오지만 ‘바라’ 또는 ‘자바라’라는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그 뒤 순조 때의 진찬의궤(進饌儀軌)에 자바라가 징(鉦)·호적(號笛)·나발(喇叭)과 함께 내취(內吹)에 의하여「선유락(船遊樂)」의 반주용으로 사용된 것이 보인다.
또한, 자바라는 장구·용고·징·태평소와 함께 행진곡풍의 대취타에 사용된다. 또한, 불교의식무용의 하나인 바라춤(哱囉舞)을 출 때 양손에 바라를 들고 춘다. 바라춤에는 천수바라(千手哱囉)·명바라(鳴哱囉)·사다라니바라·관욕게바라(灌浴偈哱囉)·막바라(보통 바라)·내림게바라(來臨偈哱囉) 등 여섯 가지가 있다.
이밖에 장구·북·징·꽹과리·방울 등 타악기 및 피리·젓대·해금 등의 선율악기와 함께 무속음악에서도 중요한 구실을 한다. 무속음악에서는 지방이나 때, 굿의 규모에 따라 악기사용이 들쭉날쭉하지만, 자바라는 주로 서울·서도·동부 지방의 무악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