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보 ()

목차
언어·문자
문헌
1802년 학자 이가환이 초고를 쓰고, 아들 재위가 이를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하여 엮은 어휘집.
목차
정의
1802년 학자 이가환이 초고를 쓰고, 아들 재위가 이를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하여 엮은 어휘집.
내용

1권 1책. 사본이며 광곽(匡郭 : 서책에서 판의 사방에 둘러친 선)이 없다. 재위가 쓴 서문에 의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물명칭에 소홀하므로 이가환이 물명(物名)을 발견하는 대로 기록해 놓았으나 체계가 없으므로 그가 다시 분류, 정리하여 엮었다 한다.

재위의 수필본(手筆本)으로 추정된다. 또, 이가환의 문인 이기경(李基慶)이 쓴 발문(跋文)에 따르면, 그가 이가환으로부터 『물보』의 초본(草本)을 받아 손으로 베껴 두었는데, 그 뒤 재위의 『물보』를 보니, 그 편차가 구본(舊本)과 다르며, 책 이름 ‘물보’도 재위가 붙인 것이라 하였다.

이 책은 물명을 천생만물(天生萬物)과 인위만사(人爲萬事)로 구분하여 상·하 2편으로 나누었다. 또 다시 상편은 초목부(草木部)·충어부(蟲魚部)·충치부(蟲魚部)·조수부(鳥獸部)의 4부와 화곡(禾穀)·소채(蔬菜) 등 21목(目), 하편은 신체부(身體部)·인도부(人道部)·기계부(器械部)·기용부(器用部)의 4개부와 형체(形體)·기혈(氣血) 등 28목을 설정하여 모두 8부 49목에 각각 물명의 품종을 늘어놓았다.

물명을 기록한 체재는 먼저 한자품명을 쓴 다음 국어품명을 써놓았는데, 한자품명 1,470여개, 국어품명 1,000여개에 이르며, 근대국어 및 방언사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사본 1책은 재위의 후손 돈형(暾衡)의 소장인데,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논문집인 『인문과학(人文科學)』 제5집에 활판으로 소개되었고, 이본(異本)으로는 한글학회 소장 목판본 1책이 있는데, 후대에 된 것으로 보이며 경문사(景文社)에서 영인, 간행된 바 있다.

참고문헌

「물명고(物名攷)와 물보해제(物譜解題)」(김근수, 『물명고·물보』, 경문사, 1980)
「물보(物譜)와 실학사상(實學思想)」(이가원, 『인문과학』5,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6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