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관은 반남(潘南). 1882년 여름 조선 정부에서 임오군란에 대한 사과의 뜻으로 일본에 박영효(朴泳孝)를 수반으로 하는 수신사를 파견할 때 박영효의 수행원으로 따라갔다. 그후 수신사 일행이 귀국한 뒤 일본에 남아 학업을 계속하였다.
1882년 12월 게이오의숙[慶應義塾]에 입학하여 일본어를 배웠다. 1883년 초 군사학을 배우고자 일본 유년학교에 입학했으며, 1886년 일본 육군사관학교 보병학과에 들어가 사관생도가 되었다.
그러나 개화파에 의해 선발, 파견된 유학생들이 1884년 갑신정변 행동대원으로 참여하여, 이후 조선 정부에서 일본 유학을 금지함은 물론, 재일유학생들에 대한 학자금 중단과 귀국령을 내렸다.
동료 유학생들이 귀국한 뒤 처형당한 소식과 아버지의 구금소식 등을 전해 듣고, 국내에 돌아가면 중형에 처해져 감옥에 갇히리라 판단, 1888년 5월 27일 아침 기숙사에서 권총으로 인후부를 쏘아 자결하였다.
박유굉의 자결은 일본 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일본의 유력지인 『지지신보[時事新報]』·『도쿄니치니치신문[東京日日新聞]』·『요미우리신문[讀賣新聞]』·『유빈호치신문[郵便報知新聞]』·『마이니치신문[每日新聞]』, 심지어 『오사카아사히신문[大阪朝日新聞]』에까지 박유굉의 자결기사가 크게 실렸다.
이러한 신문기사를 종합하면, 박유굉의 자결 이유는 위와 같은 개인적인 면 이외에 국세의 만회를 목적한 구국적인 측면도 있었음이 지적된다.
즉, 퇴락한 조국의 형편과 힘을 한탄하면서, 이를 만회하지 못하는 자신의 나약함을 비통해 하며 자결을 결행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박유굉의 구국의지는 후배 유학생들로 하여금 1900년 4월 박유굉의 비석을 세우면서 ‘타루비(墮淚碑)’라는 글을 새겨 넣게 하였다.
김택영(金澤榮)은 1893년 동경을 방문하였을 때 박유굉의 묘를 참배하고, 「일본육군성사관학교유학생 박유굉묘갈명(日本陸軍省士官學校留學生朴裕宏墓碣銘)」을 작성하여 박유굉를 추모하였다. 묘는 일본 동경(東京)의 아오야마[靑山]묘지의 외국인묘역에 있는 김옥균의 묘 옆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