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냥놀이

구비문학
작품
황해도와 서울 지역의 대동굿에서 연행하는 굿 놀이.
이칭
이칭
사냥굿
내용 요약

「사냥놀이」는 황해도와 서울의 대동굿에서 연행하는 굿 놀이이다. 여러 무당이 배역을 나눠 맡아 연행하며, 사냥을 나가 사냥감을 찾고 마침내 사냥에 성공하는 내용을 보여준다. 황해도 굿에서는 사냥을 성공하면서 춤추는 것으로 끝난다. 반면 서울 굿에서는 사냥한 꿩을 조리하면서 마을 주민에게 돈을 뜯어내는 과정이 있고, 마지막에는 애써 조리한 꿩을 마을 주민이 훔쳐 달아나는 결말로 마무리된다. 일종의 모의 주술을 바탕으로 하여 사냥감을 얻어 수확이 있듯이 주민들의 소망이 이뤄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정의
황해도와 서울 지역의 대동굿에서 연행하는 굿 놀이.
개설

「사냥놀이」는 무당이 배역을 맡아 사냥감을 잡는 과정을 재담(才談)으로 보여주는 굿 놀이이다. 황해도 굿과 서울 굿에 전승되고 있다.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44호로 지정된 삼각산 우이동 주1 「군웅거리」를 통해 「사냥놀이」가 전승되고 있다.

황해도 굿의 「사냥놀이」

황해도 굿에서는 「타살군웅거리」 앞부분에 연행된다. 무당 2인이 각각 사냥꾼과 상산 막둥이 배역을 맡고, 주2와 함께 재담으로 굿을 진행한다. 사냥꾼이 장구재비와 함께 상산 막둥이를 찾는데, 한쪽 옆에 있던 상산 막둥이가 가운데로 등장하여 만나서 서로를 확인한다. 상산 막둥이는 삼정 불알을 가진 병신인데, 과거에 돌팔이 의원이 상산 막둥이의 병을 고친다고 주3 침통을 들이대는 바람에 상산 막둥이가 놀라서 도망간 뒤 헤어졌다가 이제 다시 만난 것이다. 사냥꾼은 매우 반가워한다. “내가 너 어릴 때 하도 귀여워서, 여름에는 누비 솜바지를 한 번도 안 벗기고 동지섣달에는 삼베 바지는 한 번이나 벗겨 봤냐.” 무녀는 허기가 진 아들에게 음식을 먹인 다음 사냥을 간다. 둘이서 터를 돌아보지만 사냥감을 못 만나서 정성을 들인다. 그래도 찾지를 못하자 목욕 주4하고 제물을 차린 뒤 다시 정성을 들인다. 정성을 잘 들이면 막둥이 병도 고칠 수 있다면서 구경꾼 중 마누라 감을 골라 함께 절을 시킨다. 상산 막둥이는 병이 낫는다. 장단에 맞춰 둘은 다시 사냥을 하러 간다. 굿판 가운데 엎드려서 사냥감을 찾아 매복했다가 여기저기 활을 쏘아 산돼지를 잡아들고 기뻐하며 춤추는 것으로 끝난다.

서울 굿의 「사냥놀이」

서울의 북부 지역인 북한산 자락과 경기도 고양 등지의 마을굿에서 「사냥놀이」를 연행한다. 주5과 막둥이 역을 무당 둘이 맡는다. 샌님이 막둥이에게 사냥을 가자고 하여 두 사람은 산으로 가서 활을 쏜다. 몇 차례 실수를 하다가 마침내 준비한 닭에 화살을 꽂아 꿩을 잡았다고 한다. 잡은 꿩을 조리한다면서 냄비에 넣어 끓이는 시늉을 한다. 중간에 여러 차례 간을 보다가 덜 익었다면서 마을 주민에게 연료비, 조리비 등으로 돈을 뜯어낸다. 닭이 다 익어 샌님에게 바치려는 순간 마을 주민이 달려들어 닭을 훔쳐 달아난다.

의미와 전승

「사냥놀이」는 일종의 모의 주술을 바탕으로 한다. 사냥을 나가 산돼지나 꿩을 잡는다는 것은 수확이 있다는 의미로 마을 주민들의 소망이 이뤄진다는 뜻이다. 서울의 우이동 도당굿에서는 마을 주민 다수가 주6으로 참여하여 사냥감을 쫓는 시늉을 하기도 한다. 잡은 사냥감을 가운데 두고 사냥꾼으로 꾸민 무당이 마을 주민에게 흥정을 하여 돈을 받아내기도 한다.

여러 정황으로 보아 「사냥놀이」는 서울 이북의 마을굿에 주로 전승된 것으로 보인다. 황해도 굿은 굿을 맡은 무당들이 대거 월남하면서 전승이 미약해졌고, 서울 굿에서는 마을의 재개발로 마을굿이 사라지면서 전승이 단절되었다. 황해도 굿과 서울 굿은 전승 주체나 전승 지역이 다르지만 두 사람이 배역을 나누어 사냥을 나가는 공통점을 보여주므로 이를 통해 두 지역 굿의 유사성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논문

김은희, 「사냥굿놀이 계통 굿놀이의 의례적 의미에 대한 고찰-황해도, 강화도, 우이동, 제주도의 사례 비교를 통해서-」(『한국무속학』 38, 한국무속학회, 2019)
윤준섭, 「신앞에 펼쳐진 인간과 자연의 오래된 놀이, 황해도 <사냥굿> 연구」(『구비문학연구』 57, 한국구비문학회, 2020)
홍태한, 「고양시 도내동 도당굿 현장 보고」(『한국무속학』 21, 한국무속학회, 2010)
황루시, 「무당굿놀이개관」(『이화어문논집』 23,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1980)
주석
주1

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무당이 주재한다는 점이 동신제와 다르다. 우리말샘

주2

농악대 따위에서 장구 치는 일을 맡은 사람. 우리말샘

주3

대극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2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다. 8~9월에 엷은 붉은색의 단성화(單性花)가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세 개의 씨가 들어 있다. 씨는 타원형으로 새알 모양인데 리시닌이 들어 있으며 설사약, 포마드, 도장밥 및 공업용 윤활유로 사용한다. 열대 아프리카가 원산지로 세계 각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4

종교적 의식 따위를 치르기 위하여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부정(不淨)한 일을 멀리함. 우리말샘

주5

얌전하고 고루한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짐승이나 물고기를 잡기 위해 빠져나갈 수 없는 곳으로 몰아넣는 사람.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