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담 ()

구비문학
개념
전통 놀이판이나 일상생활에서 구전되어 온 재치 있는 말과 웃기는 이야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재담은 전통 놀이판이나 일상생활에서 구전되어 온 재치 있는 말과 웃기는 이야기이다. 우리말 큰사전에 “재치 있게 말하는 재미스런 말.”이라고 소개되어 있는데, 그 형식이 서사적일 수도 있고 단문 형식의 말도 포함될 수 있다. 전통적 전문 놀이판에서 해학과 골계미를 자아내는 중요한 요소로 나타나거나 우리의 일상 속에서 웃음을 유발하는 말하기 형태로 향유되기도 한다.

키워드
정의
전통 놀이판이나 일상생활에서 구전되어 온 재치 있는 말과 웃기는 이야기.
재담의 범주

재담의 범주에 대해서 다양한 입장이 있다. 재담은 오직 '전통적 전문 놀이판'에서만 나타난다고 하여 연행의 전문성으로 그 범주를 한정한 견해가 있고, 일상에서 구연하는 재담을 문학적 재담으로 포함하여 설화에 많이 있는 것으로 정의한 경우도 있다. 이어 일반인의 구비문학설화민요에 수용된 재담과 직업인의 구비문학인 무당굿놀이, 판소리, 가면극에 수용된 재담으로 양분하거나, 재담말에서 시작된 재담 이야기, 재담극, 재담소리(노래) 등으로 각 장르에 걸쳐 나타나는 재담 형식을 아우르며 다루기도 한다. 이렇게 볼 때 재담은 전문적 공연에서의 공식화된 재담과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재담으로 나뉠 수 있다.

전문적 재담

전문적 재담은 전통 연희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무가, 판소리, 또는 가면극, 인형극, 줄타기, 땅재주넘기 등과 같은 민속극과 같이 구비문학 전반에 많은 장면을 채우며 연행의 흥취를 돋우는 요소로 등장한다. 이때의 재담은 주로 전문가인 광대들의 공연물로 조직화된 특징이 있다. 아래의 자료는 전통극 「봉산탈춤」에 나타난 대표적인 재담이다.

생원: 이놈, 너도 양반을 모시지 않고 어디로 그리 다니느냐. 말뚝이: 예 에. 양반을 찾으려고 찬밥 국말어 일조식(日早食)하고 마굿간에 들어가 노새 원님을 끌어다가 등에 솔질을 솰솰하여 말뚝이님 내가 타고 서양(西洋) 영미(英美), 법덕(法德) 동양 삼국 무른 메주 밟듯하고, 동은 여울이요 서는 구월산(九月山)이라 동여울 서구월 남드리 북향산 방방곡곡(坊坊曲曲) 면면촌촌(面面村村)이, 바위 틈틈이, 모래 쨈쨈이, 참나무 결결이 다 찾아다녀도 샌님 비뚝한 놈도 없고 보니

이와 같이 특정 상황에 맞추어 통할 수 있는 말들을 장황하게 열거하는 장난스러운 대사 등이 재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 연희에서의 재담은 입심이 좋은 전문 광대들이 할 수 있는 고도의 재간 풀이, 곧 연행 능력으로 평가된다.

재담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웃음 유발’이다. 전통 연희에서 웃음을 자아내는 요인으로 다양한 방식이 있다. 동음어(同音語)의 중복, 유사음어(類似音語)의 중복, 대구병렬(對句竝列),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 유사음어, 이어동의(異語同義)의 말, 곁말, 모욕적 표현, 과장, 짐짓 모르는 척하기, 장황스런 요설(饒舌) 등이 재담의 유형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동음이의어의 응용’, ‘대구법’, ‘열거법’, ‘과장법’, ‘억설법(臆說法)’, ‘압운법’, ‘일탈법’ 등이 있고, 이에 대한 구연자의 자세로는 곁말쓰기, 어깃장 치기, 딴청하기 등이 있다고 구분되기도 한다. 이를 종합하여 ‘상황과 관련되는 재담’, ‘진술과 관련되는 재담’, ‘어휘와 관련되는 재담’, ‘발음과 관련되는 재담’ 등으로 웃음을 유발하는 재담의 형태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상황과 관련되는 재담 : 주어진 상황에 적절한 말, 과장 및 과소의 말, 논점일탈의 말, 인과의 말 ‧ 진술과 관련되는 재담 : 열거의 말, 부연의 말, 대조의 말, 거짓으로 잘 둘러대는 말, 부정할 수 없는 말, 짐짓 모른 체하는 말, 짐짓 들리게 하는 말 ‧ 어휘와 관련되는 재담 : 곁말, 이어동의어(異語同義語), 이어유의어(異語類義語), 일부러 순서를 바꾼 말, 잘못한 말 ‧ 발음과 관련되는 재담 : 동음이의어, 이어동음어

전문가에 의한 재담은 대표적으로 극 형식과 노래 형식으로 나눌 수 있다. 극 형식의 재담은 그 역사가 조선 전기 때부터 기록되어 있다. 세조 때 호남 출신 광대 박남이 '우스운 일을 꾸며 내는 극'으로 세상에 이름을 날렸다고 전해진다. 노래로 발전된 재담 소리는 서사시적 재담과 극놀이적 재담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설명, 서사, 묘사 등 서사 작품의 서술에 해당하는 대목들에 해당하고, 대표적으로 판소리 「춘향가」의 경우 90개의 노래 중 51개 대목이 서사시적 노래로 되어 있다. 후자는 극화하여 등장인물들이 부를 만한 대목들에 해당하며, 무당의 굿놀이에서 불려지다가 그 놀이적 요소가 확대되어 「배뱅이굿」, 「장대장네굿」, 「맹인타령」 등 대중 공연물로 정착되기도 하였다.

가령, 서울 지역 대표적 재담소리 「맹인타령」은 서울굿 뒷전 ‘맹인놀이’에서 파생되었는데, 근대 무렵에는 서울 지역 명창 박춘재, 최화춘, 박천복 등에 의해 구전되었다. 이러한 구전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1929년 『매일신보』 기사에는 “박춘재의 장님노리와 ᄭᅩᆸ추춤 … 박춘재 이외 사십여 명의 출연이니 ○특의 장님노리, 굿노리와, ○절할ᄭᅩᆸ추춤과 기발한 발탈은 부민이 항상 박춘재의 출연을 볼 수 잇다하더ᄅᆡ도 당일만큼 박춘재의 모든 재담을 한 ᄭᅥ번에 어더 볼 수는 업슬 것이다.”라고 하였다.

일상 속 재담

우리 일상 속의 재담은 자연스러운 발상으로 구성된 재미있는 말하기 형태로, 구비문학 속 민담과 민요, 속담과 수수께끼, 현대 유머 등이 해당된다. 자연스런 일상 속 재담은 대중들의 입을 통해 전승되었다가 지식인들의 의해 기록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는 항간의 재미있는 이야기가 『계서야담』, 『청구야담』, 『동야휘집』, 『용재총화』 등 문헌설화로 기록되었고, 일제 강점기에는 『우순소리』(1908), 『앙천대소』(1913), 『ᄭᅡᆯᄭᅡᆯ우슴』(1916), 『팔도재담집』(1918) 등으로 채록되었다.

일제 강점기의 재담집에는 억압된 사회의 멍청이들에 대한 이야기, 신분‧학식‧재산 등의 비정상적인 현실에 대한 풍자, 억압하고 억압당하는 관계의 역전을 다루는 이야기, 새 시대의 충격을 다룬 이야기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때의 재담은 근대 문물의 상황 맥락에 서툰 단계를 보여 주는 등 당시 사회상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일제의 침략으로 어려움이 가중된 전환기의 사회를 풍자하는 데도 일정한 구실을 하였다고 평가된다. 또한 기독교를 종교적으로 수용한 입장의 재담이나, 『이솝 우화집』 등 서구의 서사 단편들을 수용한 이야기들도 등장하여 근대적 시각이 적극 개입되어 있다.

전승

전통 놀이판에서의 재담은 박춘재, 신불출, 윤백단, 장소팔, 고춘자와 같은 전문 연예인의 연기 능력이 더해져 극과 소리 형식으로 전승되다가, 유성기와 라디오 번성기에 재담의 공연과 만담 형식으로 이어졌다. 경기 명창 박춘재의 재담은 음반으로 보존되어 있으며, 이를 두고 근대 최초의 연예인 공연 기록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이후 텔레비전 시대에 나타난 코미디언과 배우들의 희극이 전통 연희 속 재담에서 비롯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일상 속 재담은 현대에 와서 각종 매체뿐만 아니라, 화자와 청자의 소통이 자유로운 디지털 공간에서 활발히 향유되었다. 디지털 공간 속에 재담이 향유되는 모습은 과거 사랑방이나 경로당, 정자나무 아래와 같은 이야기판의 기능을 재현하고 있다. 고전 패러디, 넌센스 퀴즈, 수수께끼, 성담(性談) 등을 포함하여, 1990년대에는 덩달이 시리즈, 최불암 시리즈, 사오정 시리즈 등 서사적 형태의 재담이 큰 인기를 끌었다. 3행시 혹은 N행시와 같이 단문 형태의 재담은 기발함과 재치를 드러내는 말하기 방식으로 최근까지 성행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재담은 웃음의 미학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문학 양식이다. 인간이 자연과 사회의 여러 문제들을 극복하고 제대로 즐길 때만 가질 수 있는 ‘자유로우면서도 창조적인 인간 정신의 한 결과물’로 그 사회‧문화적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 더불어 어느 시대, 어떤 공간에서나 소통 체계를 이루며 구술성과 적층성, 공동 창작의 원리까지 계승하는 문학 갈래로서 현대사회에까지 생명력을 유지하는 구비문학으로 평가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이두현, 『한국가면극선』(교문사, 1997)

단행본

서대석 외, 『전통 구비문학과 근대 공연예술Ⅰ-연구편』(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손태도, 『광대 집단의 문화 연구 1 광대의 가창문화』, 「재담소리」(집문당, 2003)
최래옥 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재담」(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논문

강은해, 「구비문학과 대중매체 문화 – 고전재담과 현대 전파매체 공간의 재담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13, 한국구비문학회, 2001)
강은해, 「한국 재담의 지속성과 변화」(『한국학논집』 28,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1)
변창구, 「진술문종류(陳述文種類)로서의 재담(才談)」(『순천향대논문집』 12-2, 순천향대학교, 1989)
손태도, 「전통사회 재담소리의 존재와 그 공연예술사적 의의」(『판소리연구』 25, 판소리학회, 2008)
손태도, 「한국 전통연희에서의 재담의 양상과 그 의의」(『고전문학과 교육』 32,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이강옥, 「한국재담자료 집대성의 의의과 과제 : 정명기, 『한국재담자료집성』 1~3, 보고사」(『민족문학사연구』 40, 민족문학사학회, 2009)
임석재, 「한국의 재담」(『한국문화인류학』 11, 한국문화인류학회,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