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명당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임진왜란 때, 승병장으로 활약한 사명당 유정에 관한 설화.
내용 요약

「사명당 설화」는 임진왜란 때 승병장으로 활약한 사명당 유정에 관한 설화이다. 사명당이 출가하게 된 내력을 다룬 후처 응징 설화 유형, 사명당이 일본에 사신으로 가서 펼쳤던 활약들을 다룬 유형, 사명당이 스승 및 관료와 재주를 겨루는 유형, 사명당의 신이한 면모를 드러낸 유형 등이 있다. 임진왜란으로 인한 민족적 적개심과 자존심을 반영하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문헌 설화 및 구비 설화로 전승되고 있다.

목차
정의
임진왜란 때, 승병장으로 활약한 사명당 유정에 관한 설화.
내용

임진왜란주2으로 활약한 주3 유정(惟政)에 관한 이야기이다.

사명당에 관한 설화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내용에 따라 그가 출가(出家)한 내력을 말하는 후처 응징(膺懲) 설화 유형, 임진왜란 후 일본에 사신(使臣)으로 가서 펼쳤던 활약들을 다룬 유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후처 응징 설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명당은 주49이 임(任)이고 전처소생(前妻所生)의 아들과 후처소생(後妻所生)의 아들을 두었다. 전처의 아들이 장가간 첫날밤에 어느 자객에 의해 목이 잘리자, 죽은 전처의 아들과 결혼한 신부가 신랑 살인 혐의를 받게 되었다. 신부는 누명을 벗고자 남장을 하고 집을 떠나서 범인 색출(索出)에 전념(專念)하였다. 그러다가 신랑의 계모(繼母)가 하인을 사주하여 저지른 일임을 밝혀내고 이를 시아버지인 사명당에게 알린다. 사명당은 벽장에 숨겨 둔 항아리 속에서 아들의 머리를 찾아내고, 후처와 그의 아들을 모두 묶어 집과 함께 불태운 뒤 재산을 주11에게 나누어 주고 집을 떠난다.

이 설화는 「사명당전」에 수록(收錄)되어 있으며, 전주, 안동, 밀양 등 여러 지역에서 구비 설화(口碑說話)로도 다수 채록(採錄)되었다. 한편 구비 설화에서는 사명당이 출가한 또 다른 원인이 전승(傳承)되기도 한다. 그 내용은 소년 사명당을 사모(思慕)하는 여러 여인 중 한 여인이 살해당하자, 사명당이 속세(俗世)를 버리고 출가했으며, 세 명의 여인도 불가(佛家)에 출가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임진왜란 당시 일본에 사신으로 간 사명당의 활약상을 담은 유형이다. 이 유형은 주로 「임진록」에 집결되어 있는데, 구비 설화로도 채록된 것이 많다. 사명당의 활약상 역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그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사명당이 일본에 사신으로 갔을 때, 주19주20의 시를 병풍에 적어 지나가는 길에 진열해 놓고 자국의 문물(文物)이 번성함을 자랑했다. 이에 사명당은 그 병풍의 시를 모두 암송(暗誦)했고, 병풍의 시가 모작(模作)이라고 했다. 왜왕은 사명당을 무쇠로 만든 방에 묵게 하고, 숯불을 피워 무쇠방을 달구어 사명당을 태워서 죽이려 하였다. 그러나 사명당은 ‘빙(氷)’ 자를 천장에 써 붙여 도술(道術)을 부렸고, 왜왕이 방문을 열었을 때 사명당의 수염과 눈썹에 고드름이 달려 있었다. 그리고 사명당은 왜 이렇게 방이 춥냐고 호통을 쳤다. 왜왕은 또 다시 사명당을 죽이고자, 숯불로 무쇠 말을 벌겋게 달군 후 사명당에게 올라타 보라고 요구했다. 그러자 사명당이 비를 내려 불에 달구어진 무쇠 말을 식혔다. 그리고 비를 계속 내려 왜국을 물에 잠기게 했다. 마침내 왜왕은 항복했고, 사명당은 항복을 받아들이는 조건으로 왜왕에게 매년 사람의 가죽 300장과 고환 서 말씩을 조선에 조공(朝貢)하도록 명했다.

한편 『지봉유설(芝峰類說)』, 『청야만집(靑野謾輯)』 등의 문헌에 사명당과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32]와의 일화가 있는데, 내용은 아래와 같다.

사명당이 주33 가토 기요마사의 진영(陣營)에 들어갔을 때, 길에는 수 리에 걸쳐 주1이 나란히 세워져 있었다. 그러나 사명당은 이에 대해 조금도 두려워하는 기색이 없었다. 가토 기요마사는 사명당에게 조선에 보물이 있는지 물었다. 그러자 사명당은 가토 기요마사에게 “그대의 머리가 오직 보물”이라고 했다. 가토 기요마사가 그 이유를 묻자, 사명당은 “그대의 머리에 주51 주52의 상이 걸려 있으니 어찌 보물이 아니겠느냐”라고 했다.

이 밖에도 사명당이 스승이나 관료(官僚)와 우월(優越)을 겨루는 유형의 이야기들이 있다. 사명당이 그의 스승인 주40와 누가 더 재주와 능력이 뛰어난지를 시합하자, 서산대사의 재주와 능력이 더 뛰어났다고 한다. 하지만 이산해(李山海)가 사명당을 얕잡아 보고 주53로 공격했을 때, 사명당은 즉석에서 이를 받아쳐서 이산해에게 망신을 준다. 이는 역사의 전면에 나서지 않은 인물을 조명하거나 지배층(支配層)을 비판한 이야기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사명당의 신이한 행적을 드러낸 유형의 이야기들이다. 먼저 사명당이 꽂아 놓은 지팡이라는 수목 설화가 있다. 사명당은 지팡이를 꽂아 놓고 사라지면서, 이 나무가 살아 있으면 사명당 자신도 살아 있는 것이라고 말했는데 아직도 그 나무가 살아 있다고 한다. 또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에 있는 사명당영당비(四溟堂影堂碑)는 국가에 큰일이 있을 때마다 땀을 몇 말씩 흘린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의의 및 평가

「사명당 설화」는 구국(救國) 도술 설화로서 널리 전승되고 있다. 임진왜란 시에 형성된 왜적에 대한 민족적 적개심(敵愾心)을 반영하면서, 전쟁으로 상처 받은 민족적 자존심의 회복에 대한 열망을 담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홍만종, 『순오지(旬五志)』
유몽인, 『어우야담(於于野談)』
『임진록(壬辰錄)』
이수광, 『지봉유설(芝峯類說)』
『청야만집(靑野謾輯)』
신유한, 『취혜문고(就惠文庫)』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1980∼1988)

논문

신동흔, 「사명당 설화에 담긴 역사인식 연구-역사인물 설화의 서사적 문법을 통한 고찰」(『고전문학연구』 38, 한국고전문학회, 2010)
이미라, 「사명당이야기의 지역적 변이양상 연구」(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임철호, 「사명당 설화 연구」(『한국언어문학』 23, 한국언어문학회, 1984)
주석
주1

예전에 군대에서 쓰던 깃발, 창, 칼 따위를 통틀어 이르던 말.

주2

승병을 거느리고 지도하는 책임자. 우리말샘

주3

‘유정’의 호. 우리말샘

주4

임금이나 국가의 명령을 받고 외국에 사절로 가는 신하. 우리말샘

주5

잘못을 깨우쳐 뉘우치도록 징계함. 우리말샘

주6

승려가 되기 전의 성. 우리말샘

주7

전처의 몸에서 난 자식. 우리말샘

주8

샅샅이 뒤져서 찾아냄. 우리말샘

주9

오직 한 가지 일에만 마음을 씀. 우리말샘

주10

아버지가 새로 결혼해서 생긴 어머니. 우리말샘

주11

종살이를 하는 남자. 우리말샘

주12

모아서 기록함. 또는 그렇게 한 기록. 우리말샘

주13

비석에 새긴 것처럼 오래도록 전해 내려온 말이라는 뜻으로, 예전부터 말로 전하여 내려온 것을 이르는 말. 주로 서민들 사이에서 전해 내려온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14

필요한 자료를 찾아 모아서 적거나 녹음함. 또는 그런 기록이나 녹음. 우리말샘

주15

애틋하게 생각하고 그리워함. 우리말샘

주16

불가에서 일반 사회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7

집을 떠나감. 우리말샘

주18

어떤 직업이나 분야 따위에 몸을 던져 일을 함. 우리말샘

주19

예전에, 일본의 왕을 낮잡는 뜻으로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20

‘일본’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1

자기 나라. 우리말샘

주22

문화의 산물. 곧 정치, 경제, 종교, 예술, 법률 따위의 문화에 관한 모든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우리말샘

주23

한창 성하게 일어나 퍼짐. 우리말샘

주24

글을 보지 아니하고 입으로 욈. 우리말샘

주25

남의 작품을 그대로 본떠서 만듦. 또는 그 작품. 우리말샘

주26

도를 닦아 여러 가지 조화를 부리는 요술이나 술법. 우리말샘

주27

사람의 가죽. 우리말샘

주28

종속국이 종주국에 때를 맞추어 예물을 바치던 일. 또는 그 예물. 우리말샘

주29

적과 싸우고자 하는 마음. 또는 적에 대하여 느끼는 분노와 증오. 우리말샘

주30

자신의 능력을 믿음으로써 가지는 당당함. 우리말샘

주31

‘유정’을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2

일본의 무장(1562~1611).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선봉으로 종군하였다. ⇒규범 표기는 ‘가토 기요마사’이다. 우리말샘

주33

일본 장수를 낮잡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4

정치적ㆍ사회적ㆍ경제적으로 구분된 서로 대립되는 세력의 어느 한쪽. 우리말샘

주35

주로 편지글에서, 상대편의 나라를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6

많은 돈이나 비싼 값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7

아주 많은 집. 우리말샘

주38

직업적인 관리. 또는 그들의 집단. 특히, 정치에 영향력이 있는 고급 관리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39

다른 것보다 나음. 우리말샘

주40

‘휴정 대사’의 다른 이름. 우리말샘

주42

지배 계급에 속하는 계층. 우리말샘

주43

위태로운 나라를 구함. 우리말샘

주44

도를 닦아 여러 가지 조화를 부리는 요술이나 술법. 우리말샘

주45

문화, 풍속, 제도 따위를 이어받아 계승함. 또는 그것을 물려주어 잇게 함. 우리말샘

주46

입에서 입으로 전하여 오는 설화. 우리말샘

주47

일본의 무장(1562~1611).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선봉으로 종군하였다. 우리말샘

주48

시의 구절. 우리말샘

주49

승려가 되기 전의 성. 우리말샘

주50

아주 많은 집. 우리말샘

주51

많은 돈이나 비싼 값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2

아주 많은 집. 우리말샘

주53

시의 구절.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