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호집 ()

목차
관련 정보
석호유고
석호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윤문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6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윤문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4책. 고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정확한 간행연대는 알 수 없으나, 연보에 1816년(순조 16) 순조가 관리를 보내 제사를 지내게 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1816년 이후에 간행된 듯하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은 시 74수, 소 9편, 권2는 소 8편, 서(書) 32편, 권3∼5는 서(書) 239편, 권6은 제문 36편, 애사 7편, 묘표 1편, 권7·8은 부록으로 세계도·연보·유사·신도비명·묘표·제문·만사 등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는 대부분이 사직을 원하는 것으로, 명리(名利)를 좋아하지 않는 저자의 성격과 겸손이 잘 표현되어 있다.

서는 주로 시사와 문후에 관한 것이 대부분인데, 조카 증(拯)에게 대인관계와 처세의 방법을 들어 훈계한 내용이 있고, 송시열(宋時烈)과 송준길(宋浚吉)에게 보낸 서한에서는 성리학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말하고, 시사에 관한 대책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시와 서에서는 모두 그가 만년에 성리학을 연구하고 은둔생활을 하면서 시사가 시끄럽다는 것을 개탄한 강개한 뜻이 엿보인다. 송시열이 신도비명을 썼고, 박세채(朴世采) 등이 쓴 만사가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