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연 ()

목차
관련 정보
휘수연석
휘수연석
과학기술
개념
크롬족에 속하며 은백색의 광택을 내는 금속원소.
목차
정의
크롬족에 속하며 은백색의 광택을 내는 금속원소.
내용

원소기호는 Mo, 원자번호는 42, 원자량은 95.94이다. 수연의 영어표기인 몰리브디넘(molybdenum)은 옛날 그리스어로 납이라는 뜻의 몰리브도스(molybdos)에서 유래된 말이다.

녹는 점 2,620℃, 비중 10.28로 전성·연성이 있고, 주조(鑄造)·압연(壓延)도 가능하다. 녹는 점이 높고 극저온에서 상온·고온에 이르기까지 기계적으로 매우 강하다. 다른 금속에 첨가하면 경도가 커지고 내열성(耐熱性)·내식성(耐蝕性)이 커지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성질에 따라 합금강(合金鋼)·스테인리스강·공구강·주철·초합금(超合金) 등의 용도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특수강은 자동차·석유공업에 사용되는 외에 항공기용 제트엔진 등에 이용된다. 금속수연은 소결하여 선(線)이나 판(板)으로서 전자관·백열전등 외에 통신기 부품재료·화학공업원료로 사용된다. 황화수연은 윤활제로도 사용된다.

수연은 지구상에 비교적 널리 존재하나 그 양은 많지 않다. 또 수연을 포함하는 광물의 종류는 많으나 광석광물로서 중요한 것은 휘수연석(輝水鉛石)이고 화학조성은 MoS₂이다. 채광된 조광(粗鑛)은 파쇄, 분쇄한 후 부선(浮選)하여 86∼96% MoS₂의 정광(精鑛)으로 생산된다. 우리 나라의 수연광석은 페그마타이트광상·스카른광상·열수광상에서 산출된다. 자원면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반암형(斑巖型) 수연광상이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스카른광상과 열수광상이 주를 이룬다[표].

[표] 우리나라의 수연광상

광상성인형 주요광석광물 지역 광산명
페그마타이트광상 長水
스카른 광상 수·회중·(창) 上東
수·아연 新禮美
수·자철 東南
錦城
열수광상 광맥형 철중·수·(회중) 月岳·琇山·水里
철중·수·(회중) 大華·敦山·縣洞
철중·수·(회중) 用夏·丹堤·三德
철중·수·(회중) 南陽·加里山
철중·수·(회중) 山內·東寶·白陽
철중·수·(회중) 靑陽·靑豊
회중·동 福壽
광염- 三栗笑寶
광상세맥형 三東·玉山·慶州
주 : 지역명-① 강원·경북·충북 경계지역, ② 경기, 강원 중부지역, ③ 경북 남부, 경남지 역, ④ 기타지역.
광물명-수 : 회수연석, 철중 : 철망간중석, 회중 : 회중석, 아연 : 섬아연석, 자철 : 자 철석, 동 : 황동석, 창 : 휘창연석, ( )안은 소량산출광물.

우리 나라에서 수연광상이 처음 발견된 것은 1907년 경상북도 성주군에 있는 용봉(龍鳳)수연광상이다. 1914년 제1차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1915년 전라북도 장수군에 있는 장수(長水)광상, 1917년 강원도 고성군에 있는 금강(金剛)광상, 경상북도 울진군의 삼율(三栗)광상, 강원도 영월군 사재(四財)광상, 충청북도 제천시 수리(水里)광상과 그 밖의 광상들이 발견, 개발되었다.

우리 나라의 광상 중 동일광상에서 중석과 수연의 광석광물이 함께 산출되는 것이 많다. 이 경우 두 종류의 광석 중 산출량과 경제적 중요성으로 보아 각각 수연광상 또는 중석광상이라 불리고 있다.

한 광상에서 상부에서는 중석광석이 주로 산출되다가 광상의 하부로 가면서 수연광석이 점차 증가하여 수연광상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 강원도 영월군에 있는 상동(上東)광산에서 많이 산출되는 파우에라이트(powellite)의 화학조성은 Ca(W,Mo)₄로 중석과 수연의 광석광물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김옥준교수정년퇴임기념 지편집위원회, 1982)
『자원총람』(동력자원연구소, 1985)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박희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