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871년(고종 8) 8대손 언빈(彦斌)·언시(彦蓍)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주목(柳疇睦)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언교(彦敎)·승기(承基)·언시·언빈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중앙대학교 중앙도서관·한국국학진흥원 도서관·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8수, 서(書) 4편, 잡저 1편, 제문 3편, 권2는 부록으로 유사 1편, 발(跋) 6편, 행장·전(傳)·묘갈명·축천단비명(祝天壇碑銘)·축천단비각상량문(祝天壇碑閣上樑文)·유허비·수월헌기(水月軒記) 각 1편, 제문 7편, 만사 4수, 제병족(題屛簇) 1편, 축천단가(祝天壇歌) 1편, 충효재제영(忠孝齋題詠) 18수, 차입춘운(次立春韻) 17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몇 수에 지나지 않으나 도잠(陶潛)의 아취를 좋아하였던 듯, 수월(水月)의 자연을 자신의 유거생활(幽居生活)에 결부시켜 읊은 작품이 있다. 또한, 병자호란 때 굴욕의 수치에 비분강개한 의기(義氣)가 담겨진 것도 있다. 모두 음운이 충담(沖澹)하고 뜻이 심오하여 도학자의 기상을 풍긴다.
서 가운데 곽재우(郭再祐)에게 답한 것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함께 일으키자는 곽재우의 권유에 응답한 것이다. 아우 임약(任約)과 함께 가산을 기울여 쌀 500섬과 기마(騎馬) 수십 필 및 가동(家僮) 40인을 대동하고 현풍(玄風)의 장군 막하에 곧 도착하겠다는 내용이다.
잡저의 「유계(遺戒)」는 자손들에게 충효사상을 고취하고 독서를 게을리 하지 말라는 사의(辭意)가 매우 간절한 권선문이다. 제문 중에는 1636년 병자호란 때 순국한 사위 권극상(權克常)의 충절을 찬양하고 그 영혼을 위로한 것이 있는데 심금을 울리는 제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