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보 ()

목차
관련 정보
금보 / 우조소이
금보 / 우조소이
국악
개념
음악의 곡조를 일정한 기호 · 부호 · 용어를 사용하여 기록한 문서. 문서.
목차
정의
음악의 곡조를 일정한 기호 · 부호 · 용어를 사용하여 기록한 문서. 문서.
내용

보통음의 높이 · 길이 · 강약과 음악의 속도 · 감정 · 연주법 등을 표시하여 성악이나 기악을 막론한 음악의 창작과 보존 및 재생(再生)의 보조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어떠한 음악이라도 완전하게 기록할 수 있는 절대적인 수단일 수는 없고, 편의적일 수밖에 없다. 모든 종류의 음악에 두루 통용될 수는 없고, 시대와 국가 · 민족 · 지역에 따라 형태와 기능 · 특성 등이 다르다.

보통 서양음악에서는 12세기 이후에 발달하기 시작하여 15, 16세기 무렵에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5선보가 확립되었다. 비서양음악에서는 각기 독특하게 사용하고 있으나 구전(口傳)에 의해서 음악을 보존하고 재생하는 지역과 민족도 많다.

즉, 문자보(文字譜) · 기호보(記號譜) · 유량보(有量譜) 등이 있다. 근래에는 서양 · 비서양을 막론하고 유량보의 일종인 5선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5세기 초에 세종에 의하여 유량보인 정간보(井間譜)가 창안, 문자보 · 기호보와 아울러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궁중이나 음악을 즐기는 양반계층에 의하여 사용된 것이고, 일반인들에 의한 판소리 · 산조 · 무악(巫樂) · 민요 등 민속악을 위한 것은 기록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다.

기보하는 방법에 따라 모두 8종류로 나눌 수 있으나 근래에는 서양음악의 5선보도 많이 쓰이고 있다.

① 율자보(律字譜):12율명(律名)의 머리 글자로 음의 높이를 표시하는 문자보로 율보(律譜)라고도 한다. 그러나 이 율자보는 음의 높이만 알 수 있고, 길이를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아악(雅樂)에 주로 쓰이고, ≪세종실록≫과 ≪악학궤범≫ 등에 전하고 있다. 현재는 문묘제례악을 위한 아악에서 쓰인다.

② 공척보(工尺譜):문자보의 일종으로 중국의 속악(俗樂)에 사용되었다. 모두 10자(字)로 되어 있어 10자보라고도 한다. 10자로 12율과 4청성(淸聲)의 16음을 나타내기에 불편하고, 음 높이가 불분명한 경우가 있다. ≪세조실록≫의 신제아악보(新制雅樂譜)에 율자보와 같이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③ 약자보(略字譜):공척보를 약자로 표시한 악보로 ≪악학궤범≫에 전한다. 그러나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④ 육보(肉譜):악기에서 나는 소리에 가까운 의음(擬音)을 본떠서 적는 구음(口音)으로 표시하는 악보이다. 악기마다 구음이 다르고, 구음 한 자에 두음 이상이 해당하는 경우도 있어 실음을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전하는 많은 수의 악보가 이 방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 나라 음악연구를 위하여 중요한 악보이다.

⑤ 합자보(合字譜):거문고의 왼손 짚는 법과 오른손 탄법(彈法), 줄이름 · 괘(棵)의 순서 등을 여러 약자와 기호를 모아 표시한 악보이다. 성종 때 ≪악학궤범≫을 찬술한 성현(成俔)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양음악의 타블라투어(tablature)와 흡사한 것으로 우리 나라 음악연구에 중요하다.

⑥ 정간보:세종이 창안한 동양 최초의 유량보이다. 네모진 칸에 율명을 적어넣어 음의 높이와 길이를 나타낼 수 있게 하였다. ≪세종실록≫ 이후 여러 악보에 전하고, 현재도 사용하고 있다.

⑦ 오음약보(五音略譜):정간보에 율명 대신 주음인 궁(宮)을 중심으로 하여 5음을 나타내는 上一 · 上二 · 上三 · 上四 · 上五와 下一∼下五를 적어넣어 표시하는 악보이다. 세조가 창안하였다. ≪세조실록≫ 이후 여러 악보에 전하나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⑧ 연음표(連音標):가객(歌客)들 사이에 사용되던 기호보이다. 노랫말 위에 소리의 억양을 기호로 나타냈다. ≪가곡원류≫와 ≪협률대성 協律大成≫ 등에 전하나 지금은 쓰이지 않는다.

(1) 관찬악보(官撰樂譜)

삼국시대 이전에는 확실한 기록이 없어 잘 알 수 없다. 고려 때에는 1114년(예종 9)에 중국의 송나라로부터 신악(新樂)이 수입될 때 악기연주법을 그림으로 나타낸 지결도(指訣圖)와 함께 공척보가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이 후 1116년에는 대성아악(大晟雅樂)과 함께 율자보가 역시 송나라로부터 들어온 듯하다.

≪고려사≫ 악지(樂志)와 ≪세종실록≫에 의하면, 이러한 악보들은 세종 때 ≪고려사≫가 개찬(改撰)될 때와 정간보 창제 이전까지도 남아 있었던 것 같다.

1447년(세종 29) 6월의 ≪세종실록≫ 기록은 <여민락 與民樂> · <정대업 定大業> · <보태평 保太平> 등과 당시 창제된 여러 곡들이 1행 32정간의 정간에 율명의 머리글자로 실려 있는 모습을 보여 준다.

이에 의하면 동양 최초의 유량보인 정간보는 이 기록 이전에 창제된 것이 분명하다. 우리 나라 음악사상 획기적인 악보창제의 이 기록은 우리 나라 음악이 적어도 궁중에서는 보다 정확히 기록되고, 보존되고, 또 재생될 수 있었다는 말이 된다.

그러나 ≪세종실록≫에는 정간을 사용하지 않은 율자보에 의한 아악보도 수록되어 있다. 이 ≪세종실록≫의 정간보와 율자보에 의한 아악보는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악보이다.

이 정간보는 세조에 의하여 16정간으로 줄어들었고, 이 16정간은 다시 3·2·3·3·2·3의 여섯 단위로 나누어졌다. 이를 6대강(大綱)이라 부르고, 각 정간은 율명이 아닌 오음약보로 기보가 되었다. 세종과 세조 때의 이들 악보는 성악 · 기악을 위한 총보(總譜)의 기능을 갖춘 뛰어난 것이었다.

한편 ≪세조실록≫에는 율자보와 공척보로 된 아악보도 전해오고 있다. 조선 초기에 궁중에서는 악보가 이렇게 체계화되어 갔으나, ≪세조실록≫에 의하면 민간에서는 기악을 위한 육보 외에는 성악을 위한 것은 고려 이후 없었던 듯하다.

이 후 ≪악학궤범≫에는 합자보에 대한 기록과 율자보에 의한 아악보와 약자보가 보이고 있다. 임진왜란 전의 것, 혹은 연산군 때의 것으로 추정된 바 있는 ≪시용향악보 時用鄕樂譜≫는 16정간에 6대강을 사용한 오음약보로 기보되어 있다. 이 역시 총보로 되어 있고, 많은 고려의 속악을 수록하고 있다.

이 중 무가(巫歌)로 보이는 <성황반 城隍飯> 등 9곡은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귀중한 자료이다. 영조 때 왕명에 의하여 서명응(徐命膺)이 세종조의 음악을 모은 ≪대악전보 大樂前譜≫와 세조 때의 것을 모은 ≪대악후보 大樂後譜≫를 편찬하였다. 이 중 ≪대악전보≫는 청일전쟁 무렵에 소실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목록만 ≪증보문헌비고≫에 전하고 있다.

≪대악후보≫는 16정간에 6대강으로 구분되었고, 오음약보와 율자보로 기보되어 있는 총보이며, 종묘악(宗廟樂)과 당시의 향악과 당악 등을 전하고 있는 귀중한 악보이다.

조선 후기의 ≪속악원보 俗樂源譜≫는 연대와 편자가 미상이다. 주로 16정간에 율자보로 기보되어 있으나 20정간에 6대강의 모습도 보이고, 9정간의 모습도 보여 6대강과 정간이 불규칙하다.

총보와 파트(part)보를 다 포함하였고, 종묘악과 무안왕묘악(武安王廟樂) · 경모궁악(敬慕宮樂) 등 여러 제례악과 <여민락> · <보허자>와 같은 당악과 <영산회상>이 실려 있다. ≪세조실록≫ 이후에 보이는 이 악보들은 ≪속악원보≫에서 예외는 있으나 모두가 16정간에 6대강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의한다면 이 두 가지 보법(譜法)은 우리 나라 음악의 특징적인 것으로 파악될 수 있고, 이의 분명한 성격규명은 우리 나라 음악연구의 과제 중 하나이다. 이 악보들은 모두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국립국악원 · 한국국악학회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연구회 등에 의하여 영인 출간되었다.

(2) 민찬악보(民撰樂譜)

현존하는 민찬의 악보로서는 1572년(선조 5) 안상(安瑺)에 의한 ≪금합자보 琴合字譜≫가 최고(最古)의 것으로, ≪안상금보 安瑺琴譜≫로도 불린다.

정간에 오음약보와 합자보로 되어 있는 총보로서 거문고를 위한 악보이나 비파보도 보인다. 1행 16정간에 6대강으로 되어 있으나, 노랫말이 붙은 것을 보면 실질적으로는 4대강으로 변질되어 있다. 이 4대강도 정간수가 규칙적이지는 않으나 각 대강은 5·3·5·3의 정간에 차례대로 해당하고 있다.

흥미있는 점은 이후 민찬악보에 나타나는 대강은 많은 경우가 4대강으로 위의 정간수에 해당된다는 점이다. 주로 당시의 향악과 <여민락> · <보허자> 등이 수록되어 있다. ≪금합자보≫ 이후의 민찬악보들은 음악을 즐기는 선비와 풍류객들에 의한 것들로서 거문고보가 주류를 이루고,

그 밖에 간혹 양금 · 가야금 · 생황 · 휘금(徽琴) 등을 위한 악보가 눈에 띈다. 그리고 관찬의 악보가 목판본인 데 비하여 대부분이 필사본으로 되어 있다.

≪양금신보 梁琴新譜≫는 광해군 때 양덕수(梁德壽)에 의한 거문고보로서 민찬악보로는 드물게 목판본으로 되어 있다. 합자보와 육보로 되어 있고, 정간이 무시된 2대강과 6대강을 사용하고 있다. 주로 가악(歌樂)을 수록하였고, 조(調)의 변천과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현금동문유기 玄琴東文類記≫는 1620년(광해군 12) 이득윤(李得胤)에 의한 거문고보로 필사본이다. 합자보로 되었고, 정간과 대강법을 사용하지 않았다. 가악을 수록하였고, 현행 가곡의 원형인 삭대엽(數大葉)이 최초로 보이고 있다.

≪신증금보 新證琴譜≫는 1680년(숙종 6) 신성(申晟)에 의한 거문고보이다. 정간과 대강을 사용하지 않고, 육보와 합자보로 기보하였다. 그러나 기보된 방법은 4대강을 암시해 주고 있으며, 가악 중 중대엽과 삭대엽이 1·2·3으로 확대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영산회상> · <보허자> · <여민락>을 보여주고 있다.

편자를 알 수 없는 ≪백운암금보 白雲庵琴譜≫는 육보와 합자보로 기보되었고, 정간과 대강법은 사용되고 있지 않다. ≪신증금보≫와 ≪양금신보≫ 사이의 악보로 추정되며 역시 가악이 주로 수록되어 있다.

18세기에 이르러서는 ≪어은보 漁隱譜≫가 눈에 띈다. 1719년 김성기(金聖器)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거문고보이다. 대강법과 정간이 사용되어 있지 않고, 합자보와 육보로 되어 있다. 가악과 <보허자> · <영산회상> 계통의 음악을 수록하고 있다.

1724년(경종 4)에는 한립(韓笠)이라는 풍류객이 연주하였던 악곡들을 밀양사람이 편집한 ≪한금신보 韓琴新譜≫가 출현하였다. 합자보와 육보를 사용한 거문고보로 역시 정간과 대강법은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일부 수록곡에는 4대강을 사용한 흔적이 있으나 정확하지 않다. 가악과 <보허자> · <영산회상> 계통의 음악을 담고 있다.

18세기 후기 윤동형(尹東亨)이라는 맹인 가야금 명인의 곡을 수록한 ≪졸장만록 拙庄漫錄≫은 졸옹(拙翁)이 편한 가야금보이다. 가야금의 수법과 구음으로 표기된 이 악보는 가악을 수록하고 있다. ≪신작금보 新作琴譜≫는 영조 이전으로 추정되는 편자 미상의 거문고보이다. 육보로 정간과 대강법을 사용하지 않고, 가악을 수록하였다.

<유예지 遊藝志>는 서유구(徐有榘)의 ≪임원십육지 林園十六志≫에 포함되어 있는 거문고악보이다. 정조 말 또는 순조 초로 추정되고,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의 음악연구에 매우 중요한 악보이다.

육보와 합자보로 되어 있고, 정간과 대강법은 사용되지 않았다. 가악과 <영산회상> · <보허자> 계통의 음악을 수록하고 있고, 당금자보(唐琴字譜) · 양금자보(洋琴字譜) · 생황자보(笙簧字譜)가 아울러 수록되어 있다.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양금을 위한 이규경(李圭景)의 ≪구라철사금자보 歐邏鐵絲琴字譜≫가 출현하였는데, <영산회상>과 가곡 · 시조를 수록하였다.

고종 때의 것인 ≪삼죽금보 三竹琴譜≫는 가곡 · 가사 · <영산회상> · <여민락> · <보허자> 계통의 음악을 집대성한 거문고보로서 18세기와 현행의 음악을 이어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육보에 16정간을 사용하였고, 대강법 대신 방점을 사용하여 구분하고 있다.

이 후 윤용구(尹用求)에 의한 거문고보인 ≪현금오음통론 玄琴五音統論≫이 1886년(고종 23)에 보이고, 1890년에 역시 거문고보인 ≪죽취금보 竹醉琴譜≫가 보인다.

이 밖에도 우리 나라 전통음악연구에 중요한 많은 악보들이 17세기 이후 20세기 초에 걸쳐 편찬되었고, 또한 이들 중 상당수는 여러 출판사와 한국국악학회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연구회 · 국립국악원에 의해서 영인 출간되었다.

이들 악보의 기보는 관찬악보의 경우는 세조 이후 대개 16정간과 6대강에 의해서 총보로 되어 있다. 음은 율자보나 오음약보로 기보되었다.

그러나 민찬악보는 정간보를 사용한 경우가 드물었고, 대강법을 사용한 경우도 많지 않았다. 그리고 대강법을 사용하였을 경우도 6대강법과 아울러 4개강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에 의한다면 정간법과 6대강법은 궁중음악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일반인에 의해서는 선호도가 낮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민찬악보 대부분이 음명을 합자보나 육보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정간보에 의한 보법(譜法)은 우리 나라 전통음악의 기본으로 20세기에 들어와 확고하여졌고, 그 사용법도 편의에 의해서 4·6·10·12·16·20정간 등으로 음악의 종류에 따라 현재 사용되고 있다. 이 때 음명은 율자보로 기보되고 있고, 역시 편의에 따라 여러 가지 기호로 부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음의 길이는 대개 한 정간을 한 박자로 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고종 때에 박효관(朴孝寬) · 안민영(安珉瑛)에 의한 ≪가곡원류≫와 연대 · 편자 미상인 조선 말의 ≪협률대성≫에는 가곡을 위한 연음표가 등장하고 있다.

(3) 1900년대 이후의 악보

20세기에 들어서 서양음악의 5선보에 의한 악보 출간도 눈에 띄기 시작하였다. 1928년에는 우리 나라 최초의 양악대(洋樂隊) 출신인 백우용(白牛鏞)에 의해서 5선보 채보작업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왕직아악부 촉탁인, 그에 의한 채보사업은 별 소득이 없었다. 김인식(金仁湜)은 조선정악전습소(朝鮮正樂傳習所)의 교사로 활약하면서 <영산회상> · <여민락> 등을 5선으로 채보하였다. 그 뒤 몇몇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서 5선보로의 채보작업이 시도되었으나 신통하지 못하였다.

1936년 이후 아악부의 소장악사들의 각고의 노력으로 대부분의 아악 전곡과 가곡 · 가사 · 시조 등이 5선보로 채보되기에 이르렀다. 광복 후에는 1958년과 1959년 문교부에 의하여 5선보에 의한 ≪민속악보≫ 제1집과 제2집이 계속하여 간행되었다.

제1집은 판소리 <춘향전>이 김성태(金聖泰) · 나운영(羅運榮) · 김동진(金東振)에 의해서 채보, 수록되었고, 김기수(金琪洙)에 의한 심상건류(沈相建流)의 가야금산조와 그 밖에 제주도 민요 13곡이 채보, 수록되었다. 제2집에는 <영산회상> 중 <중광지곡 重光之曲>이 역시 5선보로 채보, 수록되어 있다.

1968년 이후부터는 본격적으로 국립국악원에 의하여 악보간행사업이 이루어졌다. 특히 구전심수(口傳心授)로 전해오는 민요 · 잡가 · 선소리 · 판소리 등이 본격적으로 체계 있게 5선보와 정간보로 채보,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아악을 비롯한 다른 종류의 전통음악도 5선보와 정간보로 출간되었다. 이의 작업은 1986년까지 김기수에 의해서 전담되다시피 하여 이루어졌다.

이렇게 하여 이루어진 악보는 1986년 말 현재 ≪국악전집≫이라는 이름의 정간보로 이루어진 것이 모두 14집에 이르고, ≪한국음악≫이라는 이름의 5선보로 이루어진 것이 모두 22집에 이른다.

그리하여 우리 나라 전통음악 전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또한 1979년 ≪대악후보≫를 필두로 하여 옛 악서(樂書)와 함께 옛 악보의 영인 · 발간작업이 ≪한국음악학자료총서 韓國音樂學資料總書≫라는 이름으로 병행 추진되어, 1997년말 현재 모두 32집에 이르고 있어 우리 나라 음악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 밖에도 창작국악곡집인 ≪신국악보≫의 발간도 국립국악원에 의해서 이루어졌고, 이 모든 사업은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조만간에 정악과 민속악을 망라한 전통음악과 창작국악의 전부가 수록될 전망이다. 그 밖에도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은 ≪국악창작곡집≫을 비롯한 ≪창작국악곡집≫ · ≪신작판소리집≫ 등을 간행하였다.

한편 각 개인에 의한 악보 발간도 꾸준히 이루어졌으니 1960년대 초 이주환(李珠煥)에 의한 ≪가곡보≫와 ≪가사보≫가 그 효시이다. 이 후 정악은 물론이요 가곡 · 가사 · 시조 · 산조 · 민요 · 잡가 · 판소리 등의 악보들이 수없이 5선보 혹은 정간보로 채보, 발간되었다.

그 밖에 각 학교의 교재용으로 쓰일 악보와 개인창작곡집도 일일이 거론하기 힘들 정도로 많이 출간되었다. 특히 개인창작곡집에는 전통적인 정간보나 5선보의 방법을 무시한 작곡자 개인에 의한 새로운 기보법에 의한 것도 적지 않다.

최근까지도 전통음악교육이 무시된 학교 현장에서 우리 나라 음악은 거의 전부가 구전심수에 의하여 보존되어 온 것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우리 나라 전통음악은 고유한 악보에 의하여 보존 · 계승될 수 있었다.

고유문자를 가진 민족이나 국가라고 하여 모두가 고유한 악보를 지니고 있지는 않다. 이에 의한다면 우리 나라 고유한 악보의 존재는 전통음악의 가치와 품위를 높여주는 값진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옛 악보들에 대한 보다 완전한 연구가 아직은 미진한 채로 남아 있다. 그리하여 옛 악보들에 나타난 작품들의 재생 연구가 아직은 불가능한 것도 적지 아니하고, 이론정립도 아직은 미진하여 이에 대한 연구작업이 하나의 과제로 남는다.

최근까지도 불가능하였던 각종 민속악에 대한 과거와 현재의 채보발간작업은 민속악의 체계정립과 실체규명에 커다란 도움을 주었으며,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그러므로 가치 있는 이 작업은 계속되어야 한다.

언어가 인간의 모든 사상과 감정 · 학문 등 인간의 사고과정을 담는 그릇이라면, 악보는 음악의 모든 점을 담고 있다. 그리하여 담긴 음악의 재생은 물론, 새로운 음악의 창작을 위해서 악보는 더없이 필요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음악문화의 발전을 위해서도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그러므로 보다 좋은 음악 기록을 위하여 새로운 수단과 방법의 모색이 우리 나라 음악발전을 위해서 요망되고 있고, 또한 음악의 확장을 위해서 악보발간작업의 질적이고도 양적인 증가가 요망되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악학궤범(樂學軌範)』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금합자보(琴合字譜)』
『양금신보(梁琴新譜)』
『현금동문류기(玄琴東文類記)』
『신증금보(新證琴譜)』
『백운암금보(白雲庵琴譜)』
『한금신보(韓琴新譜)』
『대악후보(大樂後譜)』
『졸장만록(拙庄漫錄)』
『신작금보(新作琴譜)』
『유예지(遊藝志)』
『속악원보(俗樂源譜)』
『구라철사금자보(歐邏鐵絲琴字譜)』
『삼죽금보(三竹琴譜)』
『현금오음통론(玄琴五音統論)』
『죽취금보(竹醉琴譜)』
『가곡원류(歌曲源流)』
『협률대성(協律大成)』
『한국음악연구』(이혜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국악논고』(장사훈,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7)
『한국음악논고』(성경린, 동화출판공사, 1976)
『국악사』(이성천, 국민음악연구회, 1976)
『한국음악통사』(송방송, 일조각, 1984)
『정간보(井間譜)의 정간(井間) 대강(大綱) 및 장단』(이혜구, 세광음악출판사, 1987)
「현존조선악보」(송석하, 『한국민속고』, 日新社, 1960)
「The Evolution of Yomillak from the Fif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Day」(Condit, J., 『장사훈박사 회갑기념동양음악논총(張師勛博士 回甲記念東洋音樂論叢)』, 한국국악학회, 1977)
「고악보해제보유(古樂譜解題補遺)」 Ⅰ(이동복, 『한국음악연구』 제8·9집, 한국국악학회, 1979)
「정간보(井間譜)에 관한 연구」(전인평, 『한국음악학논문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집필자
성경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