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화대 ()

목차
관련 정보
연화대
연화대
무용
작품
고려시대부터 전해 오는 당악정재(唐樂呈才) 중의 하나.
목차
정의
고려시대부터 전해 오는 당악정재(唐樂呈才) 중의 하나.
내용

고려시대부터 전해 오는 당악정재(唐樂呈才) 중의 하나. 조선 말기까지 오랫동안 전승되어 온 춤이다. 연화대는 <자지무 柘枝舞>의 다른 이름으로 고려시대 상연할 때의 특색을 살려서 붙인 이름이며 자지무란 중국 자지 지방에서 나온 춤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춤의 내용은 봉래(蓬萊)에서 내려온 두 동녀(童女)가 연꽃술로 태어났다가 군왕의 덕화(德化)에 감격하여 가무로써 그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다. 그런데 의복과 모자를 조촐하게 차린 두 동녀가 모자에는 금령(金鈴)을 달아 장단에 맞추어 움직이면 소리가 나게 하고, 두 개의 연꽃 속에 감추어둔 동녀를 꽃이 터진 뒤에야 보이게 하고 있다.

≪고려사≫ 악지와 ≪악학궤범≫에는 동녀 2명이 추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순조 무자(戊子) ≪진작의궤 進爵儀軌≫에는 6명으로, 순조 기축(己丑) ≪진찬의궤 進饌儀軌≫에는 4명으로 되어 있다.

고종 계사(癸巳) ≪정재무도홀기 呈才舞圖笏記≫에는 원무(元舞)는 4명이지만 협무(挾舞)로 전대(前隊) 6명, 중대(中隊) 6명, 후대(後隊) 6명을 더하여 화려하게 꾸미고 있다. 이것으로 미루어 <아박 牙拍>·<무고 舞鼓> 등 다른 정재와 마찬가지로 <연화대>도 시대와 장소에 따라 그 구성인원이 다양함을 알 수 있다.

반주로 쓰이는 음악은 조선 성종 때까지는 오직 당악만을 사용하였으나, 조선 말기에 와서는 향악화된 <보허자령 步虛子令>을 사용하였다. 이 춤도 여기(女妓) 복식과 무동(舞童) 복식이 각각 다르다. 순조 기축 ≪진찬의궤≫에 나타난 무복과 장식을 보면, 동기(童妓)의 복식은 머리에는 동령(銅鈴)을 단 합립(蛤笠)을 쓴다.

유소(流蘇)를 늘어뜨리고 황홍장미(黃紅薔薇)를 꽂는다. 초록단의(草綠丹衣)·홍초말군(紅綃襪裙)·홍라상(紅羅裳)을 입고 금화홍라대(金花紅羅帶)를 띠고, 백한삼(白汗衫)을 붙들어 매고 진홍단혜(眞紅緞鞋)를 신는다.

무동은 연화합립과 금주모(金珠帽)를 쓰고, 녹라포(綠羅袍)·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홍질남선상(紅質藍縇裳)에 학정대(鶴頂帶)를 띠고 비두리(飛頭履)를 신는다. <연화대>의 여러 무복과 장식은 ≪악학궤범≫에 자세히 전한다. 이 춤의 무보(舞譜)는 ≪고려사≫악지·≪악학궤범≫·≪정재무도홀기≫ 등에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악학궤범(樂學軌範)』
『진작의궤(進爵儀軌)』
『진찬의궤(進饌儀軌)』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당악(唐樂)연구』(차주환, 범학도서, 1976)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