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구림리 요지 ( )

목차
관련 정보
영암 구림리 요지 전경
영암 구림리 요지 전경
공예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이후 회흑색 경질도기가 출토된 가마터.
이칭
이칭
영암구림리토기요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암 구림리 요지(靈岩 鳩林里 窯址)
분류
유적건조물/산업생산/요업/토기가마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90년 10월 31일 지정)
소재지
전남 영암군 군서면 서구림리 320번지 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이후 회흑색 경질도기가 출토된 가마터.
내용

1990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동구림고등학교에서 남송정마을로 들어가는 우측 얕은 구릉에 위치하고 있다. 1987년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에 의해서 퇴적층 일부와 구조를 명확히 알 수 있는 2기의 가마[요(窯)]가 발굴되었다.

가마의 구조는 경사면을 아래쪽으로부터 파들어가 요상(窯床 : 도자기를 올려놓는 곳)이 지하가 되는 반지하식의 단실요(單室窯)로, 길이는 4.7m, 너비 2.3m이다. 가마 바닥의 경사는 입구쪽이 15°이며, 뒷면 굴뚝 쪽은 30∼40°의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가마의 평면은 전체적으로 볼 때 아래가 넓고 위가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아궁이는 3×2.5m의 타원형으로 가마 바닥과 비스듬히 바로 연결되어 있다.

출토 도편(陶片)들은 회흑색의 경질도기(硬質陶器)로, 대호(大壺), 반구사각병(盤口四角甁), 병, 운문소병(雲文小甁), 대발(大鉢), 바래기, 대접, 시루편 등인데, 대체로 기벽(器壁)이 두껍고 기공이 많으며 구연(口緣)이 예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구림리 요지는 9세기 후반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충청남도 보령시 진죽리 요지 출토 도기와 11세기로 추정되는 완도해저 출수 도기들의 특징과 비교해 볼 때, 10세기 전반을 중심으로 하는 시기에 운영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구림리 요지는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로 이행되어 가는 전환기의 도기 요지로서, 반지하식의 단실요의 구조나 출토 도편의 특징 등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영암구림리토기요지발굴조사』(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전라남도 영암군, 198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