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암 물개 ( 물개)

목차
동물
생물
함경북도 나진에서 부터 선봉시와 선봉군 우암리에 이르는 연안 연해에 서식하는 물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함경북도 나진에서 부터 선봉시와 선봉군 우암리에 이르는 연안 연해에 서식하는 물개.
생태

북한 천연기념물 제339호. 우암 물개 무리는 초가을부터 다음해 봄까지 두만강 하구와 우암 앞바다의 넓은 구역에서 산다. 이곳은 옛부터 우리 나라의 큰 물개 도래해역 또는 서식처로 알려져 왔다. 하구에는 여러 가지 물고기가 서식하는바 특히 가을에는 명태떼가 들어오고 여름에는 송어떼가 모여든다.

물개는 앞뒷발이 모두 지느러미 모양으로 되어 있고, 꼬리는 매우 짧고, 외이(外耳)는 작고, 몸에는 하모(下毛)가 밀생하는 등 헤엄치기에 알맞은 형태이다. 머리는 튼튼하고 목은 굵다. 몸의 윗면은 거무스레한 다색이거나 회흑색이고 몸 밑면은 적다색인데 하모는 다소 희다.

물개의 크기는 암수에 따라 퍽 다르다. 수컷은 몸길이가 150∼250㎝, 몸무게는 보통 150∼250㎏이지만 큰 것은 300㎏나 된다. 암컷은 몸길이가 130∼170㎝, 몸무게는 36∼68㎏이다.

물개는 멸치·명태·꽁치·청어 등 여러 가지 물고기와 게나 연체동물도 잡아 먹는다. 물개는 베링해와 오호츠크해에서 수천 수만 마리의 큰 떼를 지어 살고 있으며 그곳에서 번식한다. 교미 시기 전에 해류를 타고 남하하는바 그 중 한 떼가 우리 나라 동해안을 따라 남하하여 독도 근방에서 돌아 북상한다고 한다.

물개는 낮에는 물이 별로 깊지 않고 암석이 많은 곳에서 헤엄치고 먹이를 먹으면서 놀다가 저녁 때부터 일정한 암초 위에 모여서 잔다.

물개는 잠잘 때나 교미 시기 이외에는 좀처럼 땅 위에 올라오지 않는다. 번식지에서 번식기가 되어 상륙하면 각기 일정한 영역을 차지하고 한 마리의 수컷이 30∼50마리의 암컷을 거느린다. 임신기간은 340일이고 한배에 한 마리를 낳는다.

우리 나라에서 물개에 관한 기록은 이미 울산광역시 울주군의 태화강 상류에 있는 ‘대곡리암벽조각’(제작시기는 신석기시대 말기 내지 청동기시대로 보는 이도 있다)에서 그림으로 나타난다. 동의보감에는 약재로 기록되어 있고 강원도 울진군 평해읍에서 난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북한천연기념물편람』(리성대·리금철, 농업출판사, 1994)
『지리상식백과』(1) (리홍섭,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6)
『반구대암벽조각(盤龜臺岩壁彫刻)』(황수영·문명대,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4)
『한국동식물도감』 제7권 동물편(포유류) (원병휘, 삼화출판사, 196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