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도 띠뱃놀이 ( 띠뱃놀이)

목차
관련 정보
위도 띠뱃놀이 / 원당에 오르는 모습
위도 띠뱃놀이 / 원당에 오르는 모습
민간신앙
의례·행사
문화재
매년 정월 초사흗날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에서 전승되는 어민들의 풍어와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마을굿.
목차
정의
매년 정월 초사흗날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에서 전승되는 어민들의 풍어와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마을굿.
내용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에서 전승되는 매년 정월 초사흗날 어민들의 풍어와 마을의 평안 등을 기원하는 마을 공동제의이다.

본래의 명칭은 원당제(願堂祭)이다. 원당제는 제당의 명칭이 원당인 데에서 불린 것으로, 띠뱃놀이로도 불리는 것은 원당에서의 당굿에 이어 바닷가의 용왕굿 때에 띠배를 띄워보내기 때문이다.

이 위도띠뱃놀이는 산 정상에 있는 원당에서의 당굿과 마을의 주산(主山)돌기, 그리고 바닷가의 용왕굿으로 산과 마을과 바다로 이어지는 사제무(司祭巫) 주관의 무(巫), 굿형 제의인데, 사제무는 동해안이나 남해안지방과 같이 세습무(世襲巫)이다. 원당굿에서 용왕굿의 띠배보내기까지의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원당굿은 배마다 지니고 있는 오색의 뱃기에 일년 동안 모시게 될 뱃신을 내림 받고 풍어를 기원하는 선주 중심, 남성 중심의 제의로, 원당에서는 열두 서낭을 모시고 있으며, 선주들은 이 열두 서낭 중 한 분을 내림 받아 뱃기에 모시고 내려가 일년간 자기 배의 뱃신으로 섬긴다. 굿당의 제물은 메 · 떡 · 고기 · 생선찜 · 나물 · 과일 등을 제대로 갖추어 차리고 각 당신도(堂神圖) 위에는 돼지 날고기를 걸어놓는다. 당굿의 진행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성주굿 : 성주님이 와서 터를 잡고 제비원에서 솔씨를 받아 심고 나무를 길러서 잘라 집을 짓는 내용이다. 이 성주굿은 마을사람들의 명(命)과 복(福), 특히 풍어를 빌고 소원성취를 기원하는 굿이다.

② 산신굿 : 산신님을 위하면서 마을의 평안과 복을 기원하는 굿이다.

③ 손님굿 : 강남국의 손님(마마神)을 맞아 손님을 위하여주고 명과 복을 기원하는 굿이다.

④ 지신굿 : 일종의 지신풀이로 터주를 위하고 부(富)를 기원하는 굿이다. 명당풀이 비슷한 내용이 복합되어 있다.

⑤ 서낭굿 1(원당 · 본당서낭) : 원당 · 본당서낭을 위하여 각 지역의 서낭을 불러 모시고 위하며, 마을과 면장 · 이장 등 마을 인사들을 축복하여 주는 굿이다.

⑥ 서낭굿 2(애기씨서낭) : 애기씨서낭굿은 특히 어린아이들의 수명장수와 부를 축원하는 굿이다.

⑦ 서낭굿 3(장군서낭) : 고기를 많이 잡게 하여달라고 축원하는 굿이다.

⑧ 깃굿 : 각 어선의 선주들이 일년 동안 자기의 배에 모실 서낭을 내림받는 굿이다. 무녀가 서낭의 이름을 대고 생쌀을 집어 그 수가 짝수가 되면 서낭이 내린다. 이렇게 서낭이 내리면 그 서낭의 이름을 한지(韓紙)쪽에 적어주는데 이것을 깃손받기라고 한다. 이 깃굿은 어선 하나하나의 뱃기에 깃손을 내려주면서 선주에 대한 축원과 풍어를 기원하기 때문에 일명 선주굿이라고도 한다.

⑨ 문지기굿 : 당굿의 마지막 절차로 여러 원혼(怨魂)을 달래고 보내는 굿이다. 원당의 당굿이 모두 끝나면 다시 마을로 내려와 마을의 동쪽 바닷가에 있는 용왕바위에 가서 한지에 싸서 만든 용왕밥을 바다에 던지고, 농악대와 뱃기를 든 선주들이 행렬을 이루어 마을 뒤쪽을 한바퀴 돌아오는 주산돌기를 한다.

주산돌기는 작은 당에 해당하는 마을 여러 곳과 우물들을 돌아오면서 당밥(한지에 싼 밤 · 대추 · 곶감 등)을 묻거나 간단한 음식을 차린 뒤 농악을 울리면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한다.

농악대 중에는 얼굴에 검정 칠을 하기도 하고, 춤도 너울너울 추어대어 분위기를 흥겹게 한다. 원당굿과 주산돌기를 하는 동안 마을 앞 바닷가에서는 띠배를 만들어놓고 있다가 용왕굿을 시작한다.

띠배는 띠풀과 짚, 싸리나무 등을 함께 엮어 길이 3m, 너비 2m 정도의 모형배를 만들고 띠배 안에는 떡 · 밥 · 고기 · 나물 · 과일 등을 넣어놓고 허수아비도 만들어 세운다. 그리고 작은 판자 쪽에, “소속 : 대리 띠배. 유자망, 낭자망. 대풍어 용왕님 귀하”라고 써 붙여놓고 돛대도 만들어 세운다. 띠배에 모든 준비를 마치면 바닷가에 용왕상을 차리고 용왕굿을 시작하는데, 이 용왕굿에서는 부녀자들이 주동이 된다.

여자들이 고깔 쓰고 장구 · 징 · 소고 등을 치며 농악대를 이루어 흥겹게 노는가 하면, 탈을 쓴 여인이 나와서 노래에 맞추어 춤을 추기도 한다. 용왕굿을 마치고 바다에 고수레까지 끝나면 띠배는 바다에 띄워지고 모선(母船)에 끌려 바다 가운데로 나가게 된다.

옆에서는 호위선 서너 척이 오색 뱃기를 휘날리며 바다 위를 질주하고, 모선에서는 농악소리와 소리 잘하는 주민들의 「가래질소리」 · 「술비노래」 등의 띠뱃놀이의 절정을 이룬다.

드디어 띠배를 바다 가운데에 떼어놓으면 마을사람들은 모두 바닷가에 서서 합장을 하거나 절을 하며 띠배가 마을의 모든 액을 싣고 멀리 떠나기를 기원한다. 이 때쯤이면 바다는 어둠에 묻히고 띠배도 멀리 사라져가면서 띠뱃놀이가 끝난다.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기예능보유자로 조금례(趙金禮 : 巫女)가 지정되었으나 1995년 해제되었고, 현재는 김상원(악사)이 전승, 보존하고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