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군 ()

대동여지도 중 평안북도 위원 부분
대동여지도 중 평안북도 위원 부분
인문지리
지명
평안북도 북부 중앙에 위치한 군.
정의
평안북도 북부 중앙에 위치한 군.
개관

동쪽·동북쪽과 남쪽은 강계군으로 둘러싸여 있고, 서쪽은 초산군, 서북쪽은 압록강을 건너 중국의 집안(集安)과 경계하고 있다. 동경 125°47′∼ 126°30′, 북위 40°32′∼ 40°59′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 1,234㎢, 인구 3만9298명(1944년 현재)이다. 7개 면 50개 동으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위원면 구읍동이다.

자연환경

강남산맥이 군의 동쪽에서 서남쪽으로 강계군과의 경계를 달리고 있으며, 시루봉[甑峯, 1,355m]·중지봉(中枝峯, 1,241m)·연덕산(淵德山, 1,730m)·삿갓봉[笠峯, 1,546m]·백암산(白巖山, 1,823m)·숭적산(崇積山, 1,994m) 등의 높은 산악이 군계에 솟아 있고 그 여맥이 군내로 뻗어내려 곳곳에 구릉지대를 형성한다.

또한 북서부에 대령산(大嶺山, 822m)·제당덕산(祭堂德山, 1,239m)·백고덕산(白姑德山, 1,188m)·삼암덕산(三巖德山, 1,105m) 등이 솟아 있어 거의 전역이 산악으로 되었다. 동북경계의 중지봉에서 발원한 위원강(渭原江)이 산악지대를 곡류해 북쪽으로 흐르면서 도중에 한백천(漢柏川)을 비롯한 여러 작은 내를 합쳐 압록강으로 들어간다.

그 연안에는 작은 평지와 선상지(扇狀地)가 발달되어 주민의 거주지나 농경지로 이용된다. 한편 독로강(禿魯江)의 하류가 북부를 지나 압록강으로 들어가는데, 유역에 비교적 넓고 비옥한 평지가 형성되어 곡창지대를 이룬다.

기후는 우리 나라 북부의 내륙고원에 위치했을 뿐만 아니라 대륙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기온 6℃, 1월 평균기온 -17℃, 7월 평균기온 24.3℃이며, 연강수량 920㎜이다. 첫 서리는 9월 말이나 10월 초에 내리고, 첫 얼음은 10월 중순에 얼기 시작하며, 첫눈은 10월 하순에 내린다.

역사

[고 대]

구석기시대의 유물·유적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으나, 신석기시대의 유물·유적이 인접한 자성군과 중강군 장성리·토성리, 의주군 미송리 등 압록강 유역에서 발견되었고,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이 군의 숭정면 용연동에서 출토된 것으로 보아 적어도 청동기시대에는 이 곳에 사람이 살고 있었을 것이 확실하다.

이 군을 비롯해 철산군·영변군·강계군·희천군 등에서 연나라의 화폐 명도전(明刀錢)이 발견되었는데, 연나라 진개(秦開)가 소왕연간(昭王年間, 서기전 312∼279)에 동방을 침공해 요동의 만번한(滿潘汗)을 조선과 연나라의 경계로 함에 따라 연나라의 상인에 의해 그들의 화폐가 흘러들어 왔다는 것을 실증하고 있다.

이는 곧 스키토·시베리아의 북방문화권과 중국문화권의 영향을 받아 지금의 만주와 한반도지역에 동방문화권을 형성하게 되고, 동이(東夷)·한(韓)·예맥(濊貊)의 이동을 고찰해 볼 때 단군조선·기자조선·위만조선의 성립, 한사군의 설치, 고구려의 건국에 이르기까지 이 곳에도 종족 및 문화 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군은 고구려의 세력이 강성해지면서 고구려 영토에 편입되어 군현이 설치되었을 것 같으나 기록이 없어 잘 알 수 없다.

강계군 만포읍에서 압록강을 건너 15리쯤 떨어진 만주땅에 옛날 고구려 전성기의 수도였던 통구(通溝, 일명 황성)가 있고, 압록강을 끼고 만주와 한반도 양쪽에 고구려 고분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것을 보면, 이 곳은 고구려의 근기(近畿)에 속해 문물이 발달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발해시대에는 서경압록부(西京鴨綠府)에 속해 있었다.

[고 려]

발해 멸망 후 만주의 동가강 일대와 압록강 중류 유역의 초산·벽동·위원·강계·후창·자성 방면에 발해유민 열만화(烈萬華)가 안정국(安定國)을 세워 거란에 대항했으나, 985년(성종 4) 멸망한 뒤에 이 지역은 오랫동안 거란·여진의 지배하에 놓여 있었다.

14세기 중엽 공민왕이 반원정책을 써서 북진을 계속하게 되면서 1361년(공민왕 10) 독로강에 만호(萬戶)를 설치함으로써 창성·초산·벽동의 선까지 영역이 확보되었으나, 후창·자성지역은 그대로 남겨진 채 조선왕조로 바뀌었다.

[조 선]

본래 이산군(理山郡)의 도을한보(都乙漢堡)였으나, 1443년(세종 25) 8월 보가 멀리 떨어져 있어 급히 응원할 일이 있으면 곤란하다 해 강계·이산의 땅을 나누어 위원군을 두고 밀산(密山)이라고도 불렀다.

1460년(세조 6)위원군을 혁파해 이산에 예속시켰다가 1463년 다시 복구해 진(鎭)을 두고 군수가 병마첨절제사를 겸하였다. 군치(郡治)는 처음 압록강변 위수(渭水) 북쪽에 정했다가 수해로 인한 재난을 피해 1743년(영조 19) 동쪽의 송현(松峴)으로 옮기고, 1922년에는 다시 구읍동으로 이전하였다.

1759년 당시 동면방·서면방·남면방·북면방·위면방의 5방으로 나누어져 있었고, 호구는 7,651호, 1만9106명이었다. 임진왜란 때 구원군을 거느리고 평양을 탈환해 전세를 역전시키는 계기를 만든 명장(明將) 이여송(李如松)의 조상이 이 곳 출신이라고 한다.

송승희(宋承禧)는 말 타고 활 쏘기를 잘해 무과에 급제하고, 임진왜란 때 6년간 전장에서 공을 세웠다. 송의충(宋義忠)은 병자호란 때 갑사(甲士)로 김해에 출전했다가 전사해 1707년(숙종 33) 정려(旌閭)를 받았다.

[근 대]

1895년 5월 지방관제가 바뀌어 부·군제를 실시할 때 강계부 위원군으로 개편되었다. 1896년 8월 다시 전국을 13도제로 고칠 때 평안북도 위원군으로 되었다. 1907년 5월 당시 이 군은 16면으로 되어 있었고, 호구는 4,364호, 1만 5874명이었다. 1943년의 호구는 6,596호, 3만9612명으로 급증하였다.

이 군은 초산군과 마찬가지로 만주와의 교통이 용이한 까닭에 독립군의 온상지가 되어 치열한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3·1운동 때에는 권형모(權衡模) 등이 주동이 되어 3월 31일 천도교구당에 읍민을 모아 격렬한 시위운동을 벌였으며, 상해임시정부의 지령으로 조직된 연통제(聯通制)의 군감(郡監)으로 권형모가 임명되었다.

일찍이 독립군에 투신하고 1925년 참의부 제2중대장으로 활약하다가 일본경찰에 체포되어 19년간 옥고를 치른 숭정면 용연동 출신 이서현(李瑞賢), 1925년 임정원(臨政員)으로 상해 일본영사관에 투탄했고, 다음 해 순종 인산일에 거사하려고 폭탄을 휴대해 밀입국하려다가 체포되어 15년간 복역한 대덕면 도원동 출신 장진원(張鎭元), 독립군으로 활약하다가 1922년 순국한 김종호(金鍾浩) 등 『한국독립사』 순국인사록에 기록된 사람만도 10여 명을 헤아린다.

1924년 8월 8일에 일어난 화창면대학살사건은 한국독립운동사상 특기할 만한 것으로서, 독립군에게 잠복할 곳과 음식을 제공했다 해 일본경찰이 마을에 불을 질러 전주민을 학살하려다 6가구 28명이 불에 타죽고 2명이 탈출한 사건이다.

유물·유적

봉산면 고보동에 구진보(舊鎭堡)였던 성지가 있고, 봉산면 호안동에 둘레 400여m에 이르는 성곽이 있다. 봉산면 향양동과 위원면 고성동의 경계인 추령(楸嶺)에 석축으로 쌓은 300m쯤 되는 영애(嶺阨)가 있으며, 위원면 구읍동에는 읍성지가 있다. 이 읍성은 석축으로 둘레 약 1.3㎞이며 고려시대에 축성한 듯하다.

이 밖에 위원면 고성동에 또 다른 석성지가 있으며, 위원면 만호동, 화창면 양강동, 서태면 이산동·연풍동 등지의 압록강 연안에는 무수한 성곽과 진보의 유적지가 흩어져 있다. 봉산면 고보동에 석총 8기, 향양동 부평로(富坪蘆)에 석총 2기가 있고, 위원면 송진동·구읍동·덕암동·만호동, 위송면 개원동, 대덕면 어곡동·독산동 등지에도 석총 수십 기가 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분들을 이 지방에서는 당장(唐葬)이라고 하지만 고구려의 토총과 석총들이다. 읍내에서 북쪽으로 6㎞ 거리의 압록강변에 사장고분(舍長古墳)이라고 하는 거대한 고구려의 석총 3기가 있다.

1호분은 길이 17.8m, 너비 17m, 높이 3.4m인데 현실과 전실을 구비했고 연도(羨道)가 있으며, 입구에 석주(石柱) 두 개가 있다. 연도는 길이 96㎝, 너비 1.4m이다. 2호분은 1호분의 배총(陪塚)인 듯하며 평면방형(平面方形)이고 높이 97㎝, 길이 7.57m이다. 3호분은 1·2호분과는 달리 토총으로 너비 90㎝, 길이 2.4m의 천장돌로 현실(玄室)을 덮고 있다.

서태면 신천동 상노야(上蘆也)마을의 압록강 연안에는 37기의 토총과 석총이 분포되어 있다. 숭정면 용연동에서 1932년 도로공사 때 명도전·포전(布錢)·동촉(銅鏃)·철촉·철창·철부·철겸(鐵鎌)·철제반월도 등 다수의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 유물이 출토되었다.

교육·문화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으로는 조선시대에 향교가 건립되었는데, 지금의 위원면 구읍에 있으며, 1915년 통계에 의하면 서당은 11개소가 있었고, 학생은 남자 403명, 여자 7명이었다. 신교육기관으로는 1911년 군청 소재지에 4년제 공립보통학교가 설립되기 시작해 1929년까지 5개의 공립보통학교가 설립되었다. 그러나 이 곳은 교통이 불편한 산악지대여서 각 동리에는 이른바 간이학교라 하여 몇 명의 아동을 모아 가르치는 곳이 많았다. 그런데 이 고장 특산물인 단계연석(端溪硯石)으로 만든 위원벼루가 전국적으로 유명해지면서 위원보통학교에서는 수공업벼루과를 설치함과 동시에 학교명도 위원단계공립보통학교로 고치고 6년제로 개편하면서 3학년 이상의 학생은 누구나 수공업벼루과를 필수과목으로 하였다.

그리고 봉산면 고보동의 동장공립보통학교(東場公立普通學校)는 유명한 학자인 한용신(韓庸伸)이 세웠던 육일재(育一齋)라는 사숙(私塾)을 바탕으로 해 세워진 학교이다.

종교상황을 보면, 이 고장의 불교에 관한 문헌이 남아 있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으나 곳곳에 많은 암자와 사찰이 폐쇄되어 절터만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한때 많은 불교신자가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사찰은 숭정면 용연동고봉산에 고봉사(高峯寺)와 화창면 신흥동시루봉에 신흥사(新興寺)만이 남아 있다.

기독교는 1908년경부터 포교되기 시작해 위원면 성내동에 가장 먼저 교회가 건립되었으나, 이 곳은 유교가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었으므로 그다지 전파되지 못하였다. 천도교는 1897년부터 전파되기 시작해 불과 수년 만에 교도가 수천 명으로 늘어났다.

주민의 연례행사로 오래 전부터 ‘단오씨름’이 행해져왔는데, 이는 단순한 운동경기가 아니라 축전행사이다. 이 씨름대회에는 전국적으로 이름을 날리는 역사(力士)들이 모여들어 대성황을 이룬다.

산업·교통

농업을 주로 하나 평야가 적고 산지가 많아 밭농사를 많이 한다. 따라서 주요 농산물로는 밭작물인 콩·조·옥수수·감자·대마·면화 등이 생산된다. 쌀은 독로강 하류의 평야에서 다소 경작되며, 최근 숭정면의 한장(漢場)벌에 수리조합이 조직되어 수전개간에 주력해 생산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부업으로 작잠(柞蠶 : 멧누에)·양잠·축우·약초재배 등이 행하여진다. 산지에는 천연림이 무성한데 특히 위원강 유역은 홍송(紅松)·삼송(杉松)·낙엽송의 밀림으로 유명하며 좋은 용재가 산출된다. 광산물로는 금·흑연 등이 발견되나 정밀한 조사가 실시되지 않아 채광이 부진하다.

특산물로는 조선시대 진상품이었던 위원벼루가 전국적으로 유명하며, 국내에는 물론 만주·일본 등지로 반출된다. 그 재료로 쓰이는 돌은 위원면 덕암동 엄성골 어귀의 서남쪽 위원강물 속에서 채취되는데, 석질이 곱고 수분을 오랫동안 간직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상거래상황을 보면, 위원면 구읍동에 위원장(일명 읍내장), 숭정면 용연동에 한양장(漢陽場), 화창면 대안동에 화창장(和昌場)이 개장된다. 주로 콩·옥수수 등의 잡곡이 대량으로 거래되어 다른 지방으로 반출되며, 특히 특산물인 버섯·꿀·수피 등은 평양 등지까지 반출된다. 그러나 산악지대이고 교통이 불편해 영세성을 면하지 못한다.

도로는 북서부의 압록강 줄기를 따라 달리는 신의주∼혜산진간의 국경도로, 위원천의 계곡을 따라 달리는 위원∼강계간의 도로, 동남방으로 강계군 전천(前川)으로 달리는 위원∼전천간의 도로가 주요 간선도로이다. 한편 압록강의 수운은 도로의 미비를 다소 덜어주며 목재의 운반은 전적으로 이에 의존된다. 겨울에는 강 위에서 썰매를 이용하기도 한다.

읍·면

[대덕면大德面]

군의 동부에 위치한 면. 면적 201.88㎢, 인구 4,681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독산동이다. 본래 사상면(社上面)과 사하면(社下面) 지역이 병합되어 대덕면으로 개칭되었다. 강남산맥의 북쪽 기슭에 위치한 지역으로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다.

중앙부를 위원강의 상류가 깊은 계곡을 깎아내리면서 흐른다. 동쪽으로 강계군과의 경계에 중지봉·연덕산 등의 높은 산이 있다. 내륙산간지역이므로 대륙성기후를 나타내며 한서의 차가 심하다.

농업을 주로 하며 위원강이 가로질러 흐르면서 이루어놓은 평야지대에서 벼농사가 행하여진다. 주요 농산물은 옥수수·콩 등이며, 약초재배가 행해지고 갖가지 임산물과 꿀이 많이 산출된다. 특히 산지에서는 산삼이 많이 산출되어 산삼의 명산지로 알려져 있다.

교통은 주요 간선도로가 세 갈래로 뻗어 있어 편리하다. 명승지로는 연덕산을 꼽을 수 있는데, 그 정상에는 큰 못이 있고, 가뭄이 심할 때는 이 곳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반드시 비가 내린다고 한다. 산중에는 백운암(白雲庵)의 절터가 있다. 독산(獨山)·어곡(漁谷)·광천(廣川)·도원(桃源)·독상(獨上)·축포(杻浦) 등 6개 동이 있다.

[봉산면鳳山面]

군의 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88.20㎢, 인구 3,393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고보동이다. 본래 동상면(東上面)과 동하면(東下面) 지역이 병합되어 봉산면으로 개칭되었다. 압록강변에 자리잡고 있어 약간의 개석평야가 좁고 길게 발달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이 강남산맥의 북사면에 해당된다.

동북쪽 경계에 봉유산(鳳遊山, 798m), 서북쪽에 불당산(佛堂山, 643m), 남쪽 경계에 포고산(浦高山, 670m)이 있다. 독로강의 하류가 중앙부를 지나 압록강으로 들어가는데, 유역에는 비옥한 곡창지대가 전개된다.

농업을 주로 하며 주요 농산물은 쌀·콩·옥수수·밀 등이다. 약초재배가 활발해 당귀·현삼·생지황·대황·작약 등이 산출되며, 임업도 활발해 산간지역에서는 벌목이 행하여진다. 교통은 국경도로가 서부를 종단하므로 불편하지 않다.

산세가 수려하고 물이 맑아 예로부터 풍치가 좋기로 알려져 왔는데, 특히 용봉동에 있는 봉유산은 옛날 한 쌍의 봉황이 이 곳에서 살았다는 전설이 전해지며, 계곡이 아름다운 산으로 이름나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전해지며, 계곡이 아름다운 산으로 이름나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고보(古堡)·향양(向陽)·호안(湖安)·개곡(開谷)·용봉(龍鳳) 등 5개 동이 있다.

[서태면西泰面]

군의 서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115.16㎢, 인구 4,647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용문동이다. 본래 서상면(西上面)과 서하면(西下面) 지역이 1909년 병합되어 서태면으로 개칭되었다.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지형을 이루며 중앙에 대령산·성인봉 등이 있다.

작은 계류가 서북쪽으로 흘러 압록강으로 유입한다. 농업을 주로 하며 압록강변에 위치해 벼농사도 행해지나 밭농사가 중심을 이룬다. 목재를 벌목해 뗏목에 의해 반출하는 임산업도 활발하다. 또한 남부지역은 강남산맥의 북사면에 해당되어 약초가 많이 재배되는데, 특히 산사자(山査子 : 능금나무에 속하는 산사나무의 열매)·당귀·대황·생지황·작약 등이 많이 산출된다. 잎담배의 재배도 널리 알려져 있다.

교통은 신의주∼혜산진간의 국경도로가 중앙을 횡단하여 편리하다. 명승지로는 낚시가 잘 되어 조개늪낚시터로 유명한 합둔지(蛤屯池)가 있다. 이 고장은 고구려의 옛터였던 곳이고 또한 지리적으로 변경에 위치해 역사적인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신천동 압록강의 좌안에는 37기의 고분이 있는데, 토총과 석총이 섞여 있으며, 고구려시대의 고분으로 알려져 있다. 용문(龍門)·인덕(仁德)·이산(梨山)·신천(新川)·송계(松溪)·연풍(蓮豐) 등 6개 동이 있다.

[숭정면崇正面]

군의 남단에 위치한 면. 면적 333.07㎢, 인구 7,092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용연동이다. 백면(栢面)과 한상면(漢上面) 지역이 병합되어 숭정면으로 개칭되었다. 대부분의 지역이 산세가 험한 강남산맥의 주맥에 해당되며, 계곡도 심산유곡의 비경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사방이 1,000m 이상의 산지로 둘러싸여 있을 뿐 아니라 고산지대에 해당되며, 숭적산·백암산·천불봉(天佛峰, 1,639m)·수참령(水站嶺, 1,409m)·봉전산(蓬田山, 1,286m)·삿갓봉·가곡령(架谷嶺, 1,046m)·백고덕산·삼암덕산·고봉산(高峯山, 1,066m)·임전령(林全嶺, 1,112m) 등의 높은 산들이 산재한다.

고산지대이므로 심한 내륙성 산지기후가 나타나 한서의 차는 물론 기온의 일교차도 심하다. 농업을 주로 하나 산간벽지이므로 밭농사가 중심이며, 주요 농산물은 콩·팥·조·감자 등이다. 한백천의 양안에 펼쳐진 한장벌에 한장수리조합이 설치된 이후로는 기름진 농토에서 벼농사가 활발히 행하여진다.

임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이 군에서 반출되어 나가는 목재의 대부분이 숭적산에서 벌채된 것들이다. 벌채된 원목은 뗏목으로 위원천을 타고 압록강으로 운반된다. 이 밖에 특산물로 산삼·약초·꿀·열목어 등이 있다. 열목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고기로 숭적산 아래 한백천 상류 계곡의 물에 서식한다.

교통은 군의 3개 간선도로 가운데 어느 노선도 이 곳을 지나지 않아 불편하다. 명승지로는 숭적산 기슭의 모현계곡(慕賢溪谷)에 기암괴석으로 이름난 철마장(鐵馬場)이 있는데, 이 곳은 본래 서낭당 옆에 철마 세 필을 만들어 세워놓았던 곳으로 봄·가을 두 차례 제를 지낸다.

고봉산에는 유서 깊은 사찰인 고봉사가 있다. 용연동에서는 중국 전국시대의 화폐인 명도전이 발굴되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용연(龍淵)·삼기(三機)·신명(新明)·백림(栢林)·삼락(三樂)·지산(只山)·부흥(復興) 등 7개 동이 있다.

[위송면渭松面]

군의 동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142.31㎢, 인구 4,741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용탄동이다. 위면(渭面)과 송면(松面) 지역이 병합되어 위송면으로 개칭되었다. 강남산맥의 북사면에 해당되어 산세가 험하며, 협곡과 기암괴석으로 경치가 수려한 지역이다.

동쪽 경계에 시루봉, 북쪽 경계에 포고산, 남쪽 경계에 백암산 등이 있다. 서부에서는 위원강 줄기가 심하게 감입곡류하면서 북서쪽으로 흘러간다. 농업을 주로 하는데 논농사보다는 밭농사 중심이며, 주요 농산물은 콩·밀·옥수수 등이다. 산지가 많아 약초재배가 활발하며, 산사자(山査子)·당귀·대황·생지황 등이 재배된다. 또한 목재의 벌목도 행하여진다.

특산물로는 위원배[渭原梨]가 손꼽히는데, 군내 어느 곳에서나 생산되지만 특히 이 곳이 주산지이다. 교통은 주요 간선도로가 강줄기를 따라 서부를 통과해 편리하다. 개원동에 있는 직소(直沼)는 기암괴석의 자연풍경으로 이름나 있는데, 계곡물이 맑아 열목어가 서식한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용탄(龍灘)·구암(鳩巖)·마평(麻坪)·갑령(甲嶺)·석포(石浦)·신풍(新豐)·개원(開元) 등 7개 동이 있다.

[위원면渭原面]

군의 북부에 위치한 면. 면적 197.41㎢, 인구 1만302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구읍동이다. 본래 밀산면(密山面)과 위원면으로 나뉘어 있던 지역이었으나, 1922년 폐합되어 위원면으로 되었다. 강남산맥의 줄기에 해당되어 산세가 험하며 압록강변에 위치해 자연경관이 수려하다. 중앙에 대령산, 남부에 제당덕산이 있다.

위원강이 북부를 서북쪽으로 흘러 압록강으로 들어가며, 강 유역에는 범람원과 선상지(扇狀地)가 형성되어 있다. 농업을 주로 하며, 쌀·콩·조·옥수수 등이 생산된다. 특산물로는 덕암동의 위원벼루와 부근의 위원간장이 널리 알려져 있다.

교통은 군의 주요 간선도로가 이 곳을 중심으로 뻗어 있어 편리하다. 명승지로는 하늘을 향해 우뚝 솟은 대석주(大石柱)가 마치 금강산의 절경과 같다는 봉천대(奉天臺), 압록강 상류를 향해 올라가는 길에 전개되는 기암절경의 신비로운 경치가 역시 금강산을 방불하게 하는 위원금강(渭原金剛) 등이 있다.

유적으로는 고구려시대의 고분 3기가 있는 사장고분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구읍(舊邑)·성내(城內)·고성(古城)·덕암(德巖)·만호(萬戶)·송진(松榛)·남파(南坡)·월평(越坪)·송상(松上)·도봉(刀峰)·낙민(樂民)·상소(上所) 등 12개 동이 있다.

[화창면和昌面]

군의 중앙에 위치한 면. 면적 155.76㎢, 인구 3,441명(1944년 현재). 면 소재지는 대안동이다. 한하면(漢下面)과 북면(北面) 지역이 병합되어 화창면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동서로 뻗어 있는 강남산맥의 북사면에 위치해 산세가 매우 험하고 1,000m 이상의 높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다.

시루봉을 비롯해 백고덕산·백암산·가곡령·청계봉(淸溪峰, 714m) 등이 산재해 있는데, 자연풍치의 수려함은 예로부터 이름나 있다. 산세가 험한 지역이므로 기온의 교차가 심한 대륙성기후를 나타낸다.

북쪽으로 흐르는 위원강의 본류와 그 지류인 한백천이 합류하면서 비교적 넓은 범람원을 전개시킨다. 농업을 주로 하며 내륙의 산간분지를 개석(開析)해 좁은 충적평야가 형성된 곳에서는 벼농사가 행하여진다.

주요 농산물로는 옥수수·콩·호밀 등의 잡곡이 생산된다. 당귀·생지황·작약 등의 약초재배도 활발하며, 산지에서는 목재의 벌목이 행하여진다. 여러 곳에서 꿀이 생산된다. 대안동에서 열리는 화창장은 부근 내륙지역의 산지산물의 집산장으로 알려져 있다.

교통은 주요 간선도로가 면의 중앙을 지나서 편리하다. 시루봉은 예로부터 풍수에 의한 명당터로 알려져 있으며, 문명동에 있는 견룡정(見龍亭)은 전망이 좋은 명승지이다. 교육기관으로는 국민학교 1개교가 있다. 대안(大安)·월현(月峴)·대야(大野)·합천(合川)·양강(兩江)·신흥(新興)·문명(文明) 등 7개 동이 있다.

광복 후 변천

자강도 서부 압록강 연안에 있는 군. 북동쪽은 만포시와 시중군, 동쪽은 강계시·성간군, 남동쪽은 전천군, 남서쪽은 고풍군, 서쪽은 초산군과 접해 있고, 북서쪽은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마주하고 있다. 인구는 6만8천여명(1996년 추정)이다.

이 군은 광복 전까지는 7개 면 43개 동으로 이루어져 평안북도에 속했으나 1949년 1월 신설되는 자강도로 편입되었다.

행정구역은 위원읍과 양강(兩江)·용연(龍淵) 2개 노동자구, 월평(越坪)·도봉(刀峰)·낙민(樂民)·신연(新延)·고성(古城)·송진(松榛)·향양(向陽)·고보(古堡)·덕암(德巖)·구암(鳩巖)·용탄(龍灘)·개원(開元)·화창(和昌)·어곡(漁谷)·광천(廣川)·창평(倉坪)·축포(杻浦)·대야(大野)·삼락(三樂)·지산(只山)·부흥(復興) 등 21개 이로 되어 있다.

[자연환경]

군의 한복판으로 강남산맥이 뻗어 있는데, 위원강과 그 지류들에 의해 몹시 깎이고 잘리어 형태가 뚜렷하지 않다. 군의 남부와 중부의 둘레에는 승적산(1,984m)·백암산(1,823m)·삿갓봉(1,548m) 등 1,500m 이상의 산들이 솟아 있다. 하천으로는 압록강과 그 지류인 독로강·위원강 등이 있다.

주요 기반암은 차돌·점판암 등이며, 연·아연·철·흑연·수정 등이 매장되어 있다. 대부분의 지역에는 산림갈색토양이, 높은 산지에는 산악표백화 갈색토양이 퍼져 있다. 기후는 연평균기온 6.3℃, 1월 평균기온 -15.7℃, 8월 평균기온 23.5℃이며, 연평균강수량은 945.9㎜이다. 첫 서리는 10월 3일경에, 마감 서리는 4월 28일경에 내린다.

[산업·교통]

산림은 군면적의 87%를 차지하는데, 주로 소나무·잣나무·참나무·이깔나무·가문비나무 등이 자라며, 목재가 많이 생산되고 있다. 또한 임업·전력공업과 식료·일용품·피복·직물·초물·종이의 제조공업과 건재공업 부문의 지방산업공장 등을 건설해 여러 종류의 생활필수품을 생산하고 있다. 특산물로는 벼룻돌이 유명하다.

교통망으로는 초산―위원―만포간, 위원∼강계간, 위원∼고풍간, 위원∼진천간의 도로가 있다. 위원역에서 삼지연군 모가역에 이르는 77㎞의 전철공사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백두산 일대의 김일성 가계 우상화 혁명사적지 참관과 북부지역의 화물수송을 위한 목적에 있다.

1976년 39만㎾규모로 북한-중국간의 공동투자로 착수했으며, 1987년 8월 위원댐이 일부 완공되면서 총발전설비 12기 가운데 3만㎾ 정도의 1호기가 설치되었다. 1990년 11월 15일 북한과 중국이 공동 출자해 북한 책임하에 압록강에 건설해 온 위원발전소가 완공되었는데 1976년에 착공했고, 발전능력은 39만㎾로 생산전력은 북한과 중국이 각각 50%씩 사용하기로 약정되어 있다.

압록강에 수풍(63만㎾)·운봉(40만㎾)·태평만(19만㎾)·위원(39만㎾) 등 4개의 수력발전소를 북한·중국 공동으로 건설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양국이 지난 1955년에 압록강수력발전회사 이사회를 창립한 이래 1987년까지 총발전량은 1,470억㎾/H에 달한다.

유적으로는 위원군의 위원고성(渭原古城)과 읍성(邑城)이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용연동고봉산에 고봉사가 남아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고려사절요』
『신증동국여지승람』
『위원읍지』
『위원군지』(위원군지편찬위원회, 1971)
『평안북도지』(평안북도지편찬위원회, 1973)
『북한문화재실태와 현황』(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 1985)
『북한의 관광자원』(한국관광공사, 1991)
『인물의 고향』-북한편(중앙일보사, 1991)
『북한지지요람』(통일원, 1993)
집필자
노도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