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영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인물
해방 이후 근대 불교학을 본격적으로 수용한 불교학자이며 재가 운동을 주도한 실천적 불교인.
이칭
불연(不然)
법명
서봉(瑞峯)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2년
사망 연도
1996년
본관
광주
출생지
봉산
주요 저서
원효사상 등
주요 경력
동국대 교수|한국불교연구원|구도회 설립
내용 요약

이기영은 근대 불교학을 본격적으로 수용한 불교학자이며 재가 운동을 주도한 실천적 불교인이다. 그는 벨기에 루뱅대학에서 유학하며 당시 근대 불교학을 대표하는 라모트에게 수학하였고, 한국에 돌아와 동국대 인도 철학과에서 교수로 활동하면서 고전 문헌학에 기반을 둔 불교학을 본격적으로 소개하고 후학을 양성하였다. 다만 한국 학계에서 그는 원효사상을 비롯하여 한국 불교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와 함께 불교의 현대화, 대중화에 노력하여 한국불교연구원을 설립하고, 구도회를 전국 각지에 설립하여 신행 단체를 지도하였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 근대 불교학을 본격적으로 수용한 불교학자이며 재가 운동을 주도한 실천적 불교인.
학술 활동

이기영은 루뱅대학에 유학하여 유럽의 고전 문헌학에 입각한 근대 불교학을 수학하였으며, 국내 학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다만, 한국 학계에서 그가 관심을 갖고 주력한 주제는 한국 불교에 대한 연구였다. 특히 원효 사상에 관심을 기울여 만년(萬年)까지 원효 관련 연구 성과를 가장 많이 제시하였다. 원효 연구는 1910년대에 일본의 통불교 담론에서 영향을 받았고, 최남선을 비롯한 일제 시기 유학승 출신의 불교학자들이 관심을 기울였던 분위기가 이어졌던 것이라 하겠다. 그 외에 대승불전과 선문헌에 대한 번역, 강의록 등이 적지 않다. 한편 한국불교연구원을 설립한 후에 ‘한국의 사찰’ 시리즈(18권)를 기획하여 집필에 참여하였고 다수의 저작을 펴냈다. 1967년 『원효사상』으로 서울특별시 문화상을, 1984년 대한민국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상하였다. 이기영이 원효 연구에 집중한 것은 1960년대에 주1의 유행과 관련한 한국학의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이기영, 『불연이기영전집』, 한국불교연구원

논문

孫知慧, 「韓國近代における元曉認識と日本の通佛敎論」(『東アジア文化交涉硏究』 5, 關西大學大學院東アジア文化硏究科, 2012)
이민용, 「역사와 현실에 참여하는 불교를 고민하다」(『불교평론』 3, 2012)
임동주, 「이기영, 학문과 신행의 일치를 실천한 석학」(『불교평론』 6, 2019)
조명제, 「1910년대 식민지조선의 불교 근대화와 잡지 미디어」(『종교문화비평』 30,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6)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국가의 구성원들이 목적이나 행동 따위를 같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념을 강조하고 국가의 통일, 독립, 발전에 힘을 쓰는 주장.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