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식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이부낭중 겸 태자세마, 시위위경, 형부상서 겸 선경부첨사 등을 역임한 관리.
이칭
처인(處仁)
시호
정정(貞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090년(선종 7)
사망 연도
1151년(의종 5)
본관
경원(慶源)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이부낭중겸태자세마(吏部?中兼太子洗馬)|시위위경(試衛尉卿)|형부상서겸선경부첨사(刑部尙書兼善慶府詹事)|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참지정사판호부사(參知政事判戶部事)
관련 사건
묘청의 난
정의
고려 전기에, 이부낭중 겸 태자세마, 시위위경, 형부상서 겸 선경부첨사 등을 역임한 관리.
개설

본관은 경원(慶源)이며, 자는 처인(處仁)이다. 이자연(李子淵)의 증손자이며, 문종 때 문하시중을 지낸 이정(李頲)의 손자이고, 병부낭중(兵部郎中) 이자효(李資孝)의 아들이다. 외할아버지는 선종 때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郎平章事)에 오른 왕석(王錫)이고, 중서령(中書令) 이위(李瑋)의 딸과 혼인해 5남 4녀를 두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094년(선종 11) 5세 때 조음(祖蔭: 할아버지의 음덕)에 의해 호부서령사(戶部書令史)가 되었고, 1114년(예종 9) 경령전판관(景靈殿判官)에 보임된 뒤 경시서승(京市署丞)·시사재주부(試司宰注簿)를 거쳤다.

1124년(인종 2) 도압아(都押衙)로서 사신을 수행해 송나라에 다녀왔으며, 곧 권지합문지후(權知閤門祗候)가 되어 참직(參職)에 올랐다. 1126년 외직으로 나가 원흥진장(元興鎭將)과 지개성부사(知開城府事)를 차례로 역임했고, 다시 경직(京職)에 들어 권지합문지후와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상의봉어(尙衣奉御)를 차례로 거쳤다.

1134년 11월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郎)으로서 금나라에 하정사(賀正使)로 파견되었고, 이듬해 서경에서 묘청(妙淸) 등이 반란을 일으키자 전군병마판관(前軍兵馬判官)이 되어 반란을 진압했고, 그 공으로 시어사 우사낭중(侍御史右司郎中)에 올랐다.

1138년 다시 외직으로 나가 광주목사(廣州牧使)가 되었고, 다음해에는 지남경유수사(知南京留守事)로 옮겨 임기를 마친 뒤 이부낭중 겸 태자세마(吏部郎中兼太子洗馬)에 제수되었다.

그 뒤 시위위경(試衛尉卿)·형부상서 겸 선경부첨사(刑部尙書兼善慶府詹事)를 거쳐 1148년(의종 2) 3월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이르렀으며, 같은 해 11월 사책봉사(謝冊封使)로서 금나라에 다녀왔다. 1151년 7월 참지정사 판호부사(參知政事判戶部事)가 되었으나 같은 달 죽었다. 묘지명이 전하고 있다. 시호는 정정(貞靖)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한국금석문추보』(이난영, 아세아문화사, 1979)
「고려 경원이씨가문의 전개과정」(이만열, 『한국학보』21, 1980)
「李子淵と其の家系」(藤田亮策, 『靑丘學叢』13·15, 1933)
집필자
이익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