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무장투쟁을 전개한 사회주의운동가.
이칭
추산(秋山)
이명
이객우(李客雨), 이종승(李鍾乘)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8년(고종 25) 4월 7일
사망 연도
1954년 8월 18일
출생지
함경남도 북청
주요 경력
한인사회당 중앙위원|대한의용군사회 사령관
내용 요약

이용은 일제강점기 만주와 연해주에서 무장투쟁을 전개한 사회주의운동가이다. 국권피탈 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군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군 장교로 임관하였다. 한인사회당의 중앙위원으로 군사부를 담당하였으며, 광주봉기에 군사고문으로 참여하였다. 봉기 실패 후 해륙풍 근거지 건설에 참여하였다. 8·15광복 후 북한 정권에서 초대 도시경영상을 역임하였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무장투쟁을 전개한 사회주의운동가.
인적 사항

이용(李鏞)은 함경남도 북청에서 헤이그 밀사였던 이준(李儁)의 아들로 태어났다. 국권피탈 후 중국으로 망명하였고, 절강군관학교(浙江軍官學校)를 졸업한 뒤 중국군 장교로 임관하였다.

주요 활동

1919년 4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된 한인사회당 제2차 대회에서는 중앙위원으로 선임되어 군사부를 담당하였다. 1920년 5월 대한민국임시정부로부터 동로(東路) 사령관에 임명되어, 북간도 명월구(明月溝)에 사관학교 설립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일본군의 간도 출병으로 인해 소련으로 이동하였다. 1921년 6월 스바보드니(Svobodny)에서 발생한 주1 과정에서 잡혔고, 이르쿠츠크로 압송되던 중 그해 7월에 탈출하였다.

그 뒤 주2로 돌아와서 대한의용군사회(大韓義勇軍事會)를 재조직하고 사령관이 되었다. 그해 11월부터 1922년 2월까지 주3, 하바롭스크 등지에서 주4과 전투를 전개하였다. 그해 10월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과 상하이파 고려공산당의 통합을 위해 베르흐네우딘스크(지금의 울란우데)에서 개최된 고려공산당 연합대회에 참석하였다.

1925년 소련 군사고문단과 함께 중국 광둥〔廣東〕혁명 근거지로 이동하여 국민혁명군 포병연대에서 근무하였다. 1927년 4월 주5의 반공 쿠테타에 대항하였고, 그해 12월 광저우 봉기〔廣州起義〕에 군사고문으로 참여하였다. 봉기 실패 후 해륙풍 근거지 건설에 참여하였다.

1930년 만주로 가서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위원회에 참여하여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전개하였다. 그해 10월부터 1931년 9월까지 중국공산당 동만특위 연락부장을 지냈다. 같은 해 1월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였다. 8 · 15광복 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에 참여하여 초대 도시경영상과 사법상 등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임경석, 『한국사회주의의 기원』(역사비평사, 2003)
강만길 · 성대경 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창작과비평사, 1996)
마뜨베이 찌모피예비치 김, 『일제하 극동 시베리아의 한인 사회주의자들』(이준형 옮김, 역사비평사, 1990)
주석
주1

1921년 대한 독립 군단과 이르쿠츠크파 공산당이 시베리아 지역에서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벌인 싸움. 대한 독립 군단이 이르쿠츠크파 공산당과 러시아 동맹군에게 무장 해제를 당하였으며 많은 한국인 사상자가 생겼다.    우리말샘

주2

러시아의 동남쪽 끝에 있는 지방. 우리나라 동해에 접하여 있으며 두만강을 사이로 우리나라와 국경을 이루고 있다. 아연ㆍ석탄 따위의 지하자원이 많고 나무를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하였다. 중심 도시는 블라디보스토크이다. 면적은 16만 5900㎢.    우리말샘

주3

러시아 연해지방 칼리닌그라드에 있는 마을.    바로가기

주4

1917년 러시아 혁명 때, 공산당의 적군(赤軍)에 대항하여 정권을 다시 찾으려고 왕당파가 조직한 반혁명군.    우리말샘

주5

중국의 군인ㆍ정치가ㆍ중화민국의 총통(1887~1975). 이름은 중정(中正). 쑨원(孫文)에게 배웠으며, 국민당 혁명군 총사령관이 되어 북벌(北伐)에 성공하고 난징(南京) 정부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항일전에 힘썼으며, 헌정(憲政)하의 초대 총통에 취임하였으나 중공과의 전투에 패하여 정부를 타이완으로 옮겼다.    우리말샘

집필자
박종린(한남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