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소무공신 1등, 영사공신 2등에 책록된 공신. 문신, 효자.
이칭
유신(幼新)
용계(龍溪)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흥성(興城)
주요 관직
남원부사
관련 사건
정묘호란|병조좌랑|병자호란
정의
조선후기 소무공신 1등, 영사공신 2등에 책록된 공신. 문신, 효자.
개설

본관은 흥성(興城). 자는 유신(幼新), 호는 용계(龍溪). 아버지는 증판서 장승세(張升世)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려서부터 효심이 지극하였다.

어버이가 병이 들어 위독할 때 똥 맛을 보고 경중을 짐작하였고, 임종이 가까워져서는 손가락을 잘라서 피를 내어 먹이는 등 갖은 수단을 다하였다. 상을 당해서는 묘 옆에 움막을 짓고 3년을 시묘하였다.

1612년(광해군 14)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된 뒤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광해군의 난정을 생각하여 취임하지 않았다. 1624년(인조 2) 거상 중이었는데, 이괄(李适)이 난을 일으켰다는 말을 듣고 영연(靈筵)을 모셔다가 아우 장희(張暿)에게 부탁하고 평복으로 갈아입은 뒤 행재소로 달려가다가 여산(礪山)에 이르러 난이 평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향리로 돌아갔다.

1627년 정묘호란 때에는 김류(金鎏)·신흠(申欽) 등 당시 재상들과 같이 난을 평정하는 데 충성을 다하였다. 난이 평정되자 소무공신(昭武功臣) 1등과 영사공신(寧社功臣) 2등에 녹훈되고 이어서 병조좌랑에 기용되었다. 그 뒤 감찰을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의금부도사로 남한산성에 왕을 호종하였으며, 난이 평정되자 그 공으로 남원부사가 되었다. 뒤에 호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남원의 절의사(節義祠)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사마방목(司馬榜目)』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