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광 ()

유교
인물
고려 후기에, 전중판시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덕로(德魯)
건천(巾川)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하남(河南)
출생지
개성
주요 관직
전중판시사
정의
고려 후기에, 전중판시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하남(河南). 자는 덕로(德魯), 호는 건천(巾川). 개성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고려 공민왕 비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가 입국할 때 20여명과 함께 배종(陪從)하여 고려에 들어온 정사조(程思祖)이며, 어머니는 공씨(貢氏)로 중국 전당태수(錢塘太守) 공재(貢載)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본래 중국 사람으로 정이(程頤)의 후손이었으나 아버지가 노국공주(魯國公主)를 따라 우리나라에 와서 귀화하였다. 공민왕 때 전중판시사(殿中判寺事)를 지냈고, 정몽주(鄭夢周) · 길재(吉再) 등과 교유하며 도학을 강마하였다. 고려 말 상례는 단상(短喪)이 성행했으나 가법에 따라 3년상을 치루었고, 집에 사당을 세워 선조의 위패(位牌)를 모시고 절사(節祀) · 천신(薦新) · 기제(忌祭)를 지냈다. 고려의 풍속에 불교를 숭상하여 불교의례에 의존하였으나, 정광은 홀로 불교의례를 배척하고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따라 시행하였다.

고려가 망할 것을 예견하고 전라도 광주 금당산 자락(지금의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에 낙향하여 은거하였다. 조선이 건국되자 자질들에게 벼슬하지 못하도록 경계하고, 이태조가 여러 번 벼슬하도록 불렀으나 그 때마다 위로는 왕씨(王氏)를 저버릴 수 없고 아래로는 정몽주를 잊을 수 없으니 죽지 못하는 것이 부끄럽다고 거절하였다. 자식들을 데리고 농사에 힘써서 자급자족을 꾀했고, 밤에는 글을 읽어 성현의 기르침을 닦아서 조상의 업적에 욕되게 말라고 당부하였다. 저서에는 『건천집(巾川集)』이 있다.

참고문헌

『건천집(巾川集)』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