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릉사지 ()

목차
관련 정보
평양 정릉사 전경
평양 정릉사 전경
건축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역포구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사찰터.
목차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역포구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사찰터.
내용

남북 132.8m, 동서 223m, 면적 29,614.4㎡. 최근 왕릉동의 동명왕릉(東明王陵) 앞에서 드러난 절터로 5세기 초엽에 세워졌던 것으로 보인다. 확인된 건물터는 18개이고, 회랑(回廊)터는 10개이다.

이 밖에도 더 많은 건물터와 회랑터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이미 파괴되어 원래의 모습을 전혀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건물터 외에 그 실체를 알 수 없는 구조물 3개가 드러났는데, 그 중 2개는 서구와 동구의 남쪽에 대칭되게 벽돌로 만든 원형의 구조물이고, 나머지 1개는 서구 북쪽 회랑 밖에 정방형으로 된 돌기초 시설물이다.

절터의 평면배치는 크게 5구역으로 되어 있다. 이 절터의 중심부를 이루는 것은 제1구역이다. 여기에는 8각 건물터를 비롯하여 9개의 건물터와 그것을 돌려막은 회랑과 회랑문이 있다. 그 중 8각 건물터는 이 절터의 중심에 놓여 있는 8각 탑터로서 탑 바닥의 단(壇) 한 변의 길이는 20.4m이다.

이 사찰은 8각탑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대칭으로 건물을 배치하고 회랑으로 둘러막은 고구려의 고유한 사찰 형식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불전 배치는 497년(문자왕 6)에 지은 고구려의 금강사(金剛寺)터에서도 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일본 나라현(奈良縣)에 있는 아스카사(飛鳥寺)의 건물배치도 이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일본이 고구려문화의 영향을 받은 한 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절터에서는 기와와 질그릇 조각들이 나왔는데, 그 중에는 ‘寺’, ‘陵寺’라고 새겨진 것도 몇 개 발견되었다. 이는 정릉사가 동명왕무덤을 위하여 지은 것임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동명왕릉과 그 부근의 고구려유적』(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1976)
『북한의 자연지리와 사적』(통일원, 1994)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영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