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양사 삼층석탑 ( )

목차
관련 정보
금강 정양사 삼층탑 측면
금강 정양사 삼층탑 측면
건축
유적
북한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 정양사에 있는 삼국시대 전형적인 신라탑 양식의 석조 불탑.
목차
정의
북한 강원도 회양군 내금강면 정양사에 있는 삼국시대 전형적인 신라탑 양식의 석조 불탑.
내용

높이 3.97m. 600년(신라 진평왕 22)에 정양사와 함께 세워졌다고 한다.

예로부터 신계사(神溪寺)삼층석탑·장연사(長淵寺)삼층석탑과 함께 ‘금강산의 3대 명탑’의 하나로 불린다. 2층의 기단(基壇)과 3층의 탑신, 상륜부(相輪部)로 이루어진 정사각형 평면의 석탑이다. 하층기단 한 변의 길이는 2.32m인데, 옥개석으로는 2개의 직사각형 판돌을 잇대어 올려놓았다.

하층기단은 넓고 낮은 데 비하여, 상층기단은 좁고 높게 꾸미었는데, 옥개석으로는 정사각형 판돌을 올려놓고, 그 위에 탑을 쌓았다.

1층탑신은 다른 탑신석보다 높게 하고, 그 위층부터 차례줄임을 크게 하여 조화로운 균형과 안정감을 조성하였다. 탑신석에는 한 단의 높은고임을 주고, 모서리마다 모기둥을 넓게 돋우새겼다. 1층탑신 앞 면에는 2개의 문고리와 잠그어진 자물쇠를 돋우새기었다.

얇은 지붕돌에는 4단식의 처마받침을 주었는데, 처마 밑선은 곧고 윗선만 추녀 끝으로 가면서 점차 경쾌하게 들어주었다. 탑머리에는 노반(露盤)과 보륜(寶輪), 육각형의 보개(寶蓋)와 보주 등을 높이 올려놓았는데 탑의 전반적인 모습에 잘 어울린다.

이 석탑은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잡혔을 뿐 아니라, 모양이 단정하고 아담한 느낌을 주는 전형적인 신라탑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6·25 때 상륜부와 탑신 부분에 손상을 입었으나 그뒤 복구되었다.

참고문헌

『북한의 자연지리와 사적』(통일원, 1994)
『북한의 사찰』(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영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