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머니

목차
관련 정보
진주낭
진주낭
의생활
물품
자질구레한 물품이나 돈 따위를 넣고 입구를 졸라매어 허리띠에 차거나 들도록 만든 물건.
목차
정의
자질구레한 물품이나 돈 따위를 넣고 입구를 졸라매어 허리띠에 차거나 들도록 만든 물건.
내용

우리 옷에는 원래 옷 자체에 물건을 넣을 수 있는 호주머니가 없기 때문에 실용적인 면에서 따로 주머니를 만들어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또한 장식적인 역할을 겸하여 장식품으로도 사용되었다.

『삼국유사』 경덕왕조에는 “왕이 돌날부터 왕위에 오를 때까지 항상 부녀의 짓을 하여 금낭(錦囊) 차기를 좋아하였다.”라는 기록이 있어 신라 여인들의 주머니 패용(佩用)을 알려주고 있다. 『고려도경(高麗圖經)』 부인조에도 “고려 귀가(貴家) 부녀자들은 …… 감람늑건(橄欖勒巾)에 채조(采條)로 금탁(金鐸)을 달고 금향낭(錦香囊)을 찼는데 많은 것을 귀히 여겼다.”라고 되어 있다. 이로 보아 고려시대에는 주머니를 더욱 즐겨 찼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후기의 유물을 꽤 많이 볼 수 있는데, 일반적인 주머니로는 두루주머니와 귀주머니가 있고, 일상생활에서의 실용을 위한 것으로는 수저집 · 주1이 있으며, 장식적인 것으로는 노리개의 형태를 갖춘 향낭(香囊) · 침낭(針囊)이 있다.

주머니의 형태는 크게 나누어서 각이 진 귀주머니(혹은 줌치)와 둥근 모양의 두루주머니(혹은 염낭)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모양은 백 · 옥 · 적 · 분홍 · 청 · 자주 · 남 · 담록색 등의 바탕색에 자수를 놓은 것이 많고, 각종 금은세공을 장식한 것도 적지 않다.

기록에서 볼 수 있는 주머니는 주로 궁중의 낭발기(囊撥記)나 민간에서 기록한 주2에 나타나 있다. 이에 의하면 이들 주머니는 남녀를 막론하고 찼으며, 그 신분에 따라 옷감과 색상, 부금(付金)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발기에 나타난 주머니의 명칭은 십장생줌치 · 오복꽃광주리낭 · 십장생자낭 · 수낭(繡囊) · 오방염낭 · 봉자낭 · 부금낭 · 황룡자낭 등 다양하다. 여기에서 왕이 찬 용문양(龍紋樣)의 황룡자낭, 왕후나 공주 · 옹주가 찬 봉문양의 봉자낭 및 기타 부금낭은 지배계급의 권위를 나타내주는 주머니라고 하겠다.

청 · 황 · 적 · 백 · 흑의 오색비단을 모아 만든 오방낭은 오행론(五行論)에서 나온 주머니이다. 십장생줌치 등은 길상사상(吉祥思想)에서 나온 주머니라 하겠다. 이들 주머니는 궁중에서 가례시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종친들이나 나인들에게 하사하기도 하였다. 작은 물건이지만 손이 많이 가고 아기자기한 데다가 부적과 같은 뜻을 지녀서 무척 환영을 받았다.

특히, 정월 첫 주3에는 볶은 콩 한 알씩을 종이 봉지에 싸서 넣은 주머니를 종친들에게 보내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은 해일에 주머니를 차면 일년 내내 귀신을 물리치고 만복이 온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밖에 각종 문양을 수놓아 화려하게 만든 향주머니나 바늘집은 장식의 의미도 있어 노리개로 패용되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수저집 · 필낭 등이 있는데 이것은 일상생활에 많이 쓰이는 실용적인 주머니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고려도경』
『조선상식』(최남선, 동명사, 1948)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5)
『한국의 자수』(허동화, 삼성출판사, 1978)
『장신구』(석주선, 단국대학교부속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1981)
주석
주1

붓을 넣어 차고 다니는 주머니. 우리말샘

주2

사람이나 물건의 이름을 죽 적어 놓은 글. 우리말샘

주3

지지(地支)가 해(亥)로 된 날.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