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수무 ()

목차
관련 정보
진작의궤 / 첨수무
진작의궤 / 첨수무
무용
작품
조선 중기부터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
목차
정의
조선 중기부터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
내용

조선 중기부터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로 지금은 전하지 않음. ≪순조무자진작의궤 純祖戊子進爵儀軌≫(1828)에 의하면, 손에 아무것도 들지 않고 그 손을 반복하여 절주를 삼아 추기 때문에 속칭 ‘엽무(葉舞)’라고도 한다.

그러나 영조 때 악원(樂院)에 명하여 ‘첨수무’로 고쳐 부르게 하였다. 이 춤은 여기(女妓)의 춤과 무동(舞童)의 춤 두 가지가 있다. 여기의 춤은 4명이 오색한삼(五色汗衫)을 끼고 두 대(隊)로 나누어 상대하면서 춘다. 무동이 출 때는 2명이 피변관(皮弁冠)을 쓰고 첨수의(尖袖衣)를 입고 각각 칼을 둘씩 들고 상대하면서 춘다.

칼을 들고 추는 첨수무는 농검(弄劒)·연귀소(燕歸巢)·연풍대(筵風擡) 등 검기무(劒器舞)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순조무자진작의궤≫에는 2명이 칼춤을 추고, 18명의 협무(挾舞)가 두 줄로 늘어서서 춤을 추고 있다.

또, ≪순조기축진찬의궤 純祖己丑進饌儀軌≫(1829)에는 여기 4명이 칼 대신 첨수(尖袖)로써 춤을 추고 있는 그림이 있는 것으로 보아 춤의 형태와 무원의 수에 변화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이 춤의 반주로 쓰이는 음악은 향당교주(鄕唐交奏)이다.

≪순조기축진찬의궤≫에 의하면, 순조 29년 명정전(明政殿) 진찬 때의 무동의 복식은 부용관(芙蓉冠)을 쓰고, 백질흑선중단의(白質黑縇中單衣)·홍질남선상(紅質藍縇裳)·녹색단령(綠色團領)에 화화방보(畫花方補)한다. 두석록정대(豆錫綠鞓帶)를 띠고 흑화(黑靴)를 신는다.

여기는 화관을 쓰고, 초록단의(草綠丹衣)·황초단삼(黃綃單衫), 속은 남색상(藍色裳), 겉은 홍초상(紅綃裳)에 홍단금루수대(紅緞金縷繡帶)를 띠고, 오채한삼(五彩汗衫)을 매고, 초록혜(草綠鞋)를 신는다. 이 춤이 실려 있는 무보(舞譜)로는 ≪궁중정재무도홀기 宮中呈才舞圖笏記≫가 있다.

참고문헌

『순조무자진작의궤(純祖戊子進爵儀軌)』
『순조기축진찬의궤(純祖己丑進饌儀軌)』
『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高宗癸巳呈才舞圖笏記)』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