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정월 대보름에 거행되던 집단 민속놀이로, ‘외바퀴수레싸움’이라고도 한다.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 상원조(上元條)에 의하면 “춘천 민속에 차전이 있는데, 외바퀴수레를 동리별로 편을 나누어 앞으로 밀고 나와 서로 싸움으로써 그해의 점을 친다. 쫓기는 편이 흉(凶)하다. 가평의 풍속도 또한 그렇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 보아 차전놀이는 독륜차(獨輪車:외바퀴수레)를 가지고 승부를 내어 한해의 일을 점쳤던 행사였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바퀴[輪]를 가지고 노는 차전놀이 중 가장 오래된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경상북도 안동지방에도 차전놀이가 있으나 실제로 수레바퀴싸움이 아닌 큰 지게싸움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문헌적 전거(典據:근거가 될만한 문헌상의 출처)도 없다.
1969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된 안동차전놀이(그곳 주민은 ‘동채싸움’이라고 함.)는 춘천의 통성놀이인 ‘초안(初顔)놀이’나 ‘외바퀴수레싸움놀이’가 오랜 세월 동안 전승되어오는 가운데 안동지방으로 전파된 것이 아닌가 한다.
안동차전놀이의 유래 설화나 춘천차전놀이의 유래 설화가 똑같이 고려 태조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서 같은 민속놀이의 전파 수수관계(授受關係)를 찾게 된다.
고려 예종은 팔관회(八關會)를 열고 신숭겸(申崇謙) · 김락(金樂) 두 공신을 흠모, 추도하여 <도이장가 悼二將歌>까지 지었는바, 그들의 충절은 당시 사회의 충의(忠義)에 대한 표본이었다. 춘천출신인 개국벽상공신신숭겸대장군(開國壁上功臣申崇謙大將軍)은 안동의 삼태사(三太師)보다 더 큰 공을 세웠다.
신숭겸은 살신성인(殺身成仁)으로 태조를 보위(補位)하면서 공산전(公山戰)에서 태조의 어의(御衣)와 어차(御車)를 타고 적진에 뛰어들어 태조를 구하고 전사하였기에 그에 대한 추모의 정은 더더욱 컸을 것이다.
흔히, 원시놀이는 임금이나 장군 등 지배자의 위대한 치적이라든가 위엄을 기리기 위하여 기념행사나 제의(祭儀)를 시작함으로써 발생한다. 신숭겸 역시 춘천과 평산에서 각기 신격화되어 있다.
황해도 평산 태사사(太師祠, 성황사)에는 신숭겸과 배현경(裵玄慶) · 홍유(洪儒) · 복지겸(卜智謙) 등을 신으로 모시고 있는데, 특히 신숭겸의 상은 철상(鐵像)으로 눈이 부리부리하고 무서워 그 눈만 마주쳐도 학질이 낫고 재수가 있으며, 아이를 못 낳는 여인은 눈만 마주쳐도 아이를 가지게 된다는 속신이 전한다.
≪동국여지승람≫ 곡성현(谷城縣) 인물조에, “고려의 신숭겸은 춘천편에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숭겸은 죽어서 현(縣)의 성황신이 되었다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그가 숭앙 받았던 춘천문화권의 주신(主神)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처럼 이 외바퀴수레싸움은 이 지방 성황신인 신숭겸의 충절을 흠모하고 기리기 위하여 시작되었던 놀이가 후기로 접어들면서 지방의 안녕함과 풍농을 기원하는 민속놀이로 변모되었던 것이다.
차전놀이에 사용되는 나무는 큰 통나무이고 한해 전에 깊은 산중에서 원목을 베어 묻었다가 그 이듬해 행사에 썼다. 또 수레에는 춘천 곧 우수주(牛首州)를 상징하는 뿔을 앞에 달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