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량무 ()

목차
관련 정보
무용
작품
국가유산
진주(晋州) 지방에 전해 내려오고 있는 교방 계통의 무용극.
시도무형유산
지정 명칭
한량무(閑良舞)
분류
무형유산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무형유산(1979년 05월 02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진주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진주(晋州) 지방에 전해 내려오고 있는 교방 계통의 무용극.
내용

진주(晋州) 지방에 전해 내려오고 있는 교방 계통의 무용극. 한량이란 양반 출신으로 무과(武科)에 급제하지 못한 사람, 또는 노상 놀고먹는 사람을 이른다.

한량무는 한량과 승려가 한 여인을 유혹하는 내용을 춤으로 표현한 무언무용극으로 원래 이 춤은 조선 중기 이후 남사당패(南寺黨牌) 중 무동들에 의해 놀았던 것인데 그 후 조선 말까지 계속해서 연행되었으나 남사당패가 분산되면서 1910년 이후 이 춤은 어른의 무용으로 기방에서 주로 추어지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각 지역마다 각기 이 한량무와 유사한 춤들이 행하여졌으나 거의 소멸되고 진주에서만 1979년도에 재연되어 경상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진주 한량무는 양산권번의 춤 선생이었던 김농주(金農宙)에게 사사받은 김덕명(金德明)에 의하여 현재 진주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다.

진주는 옛부터 진주 감영의 관아에 교방에서 많이 추어졌다는 기록이 고종(高宗)때 정현석(鄭顯奭)의 『교방가요(敎方歌謠)』, 『진주의암별제지(晋州義岩別祭志)』 등에서 알 수 있으며 이 춤의 유래로는 교방가요의 승무(僧舞)의 내용과 구성이 지금의 한량무와 같으므로 승무의 유래설에 의한 김만중(金萬重)「구운몽(九雲夢)」을 소재로 삼은 춤이라는 설, 민속가면의 소무(小巫)노장(老長)의 대무(對舞), 포도대장(捕盜大將)과 소무의 애정장면과도 관련되었다는 설 등에서 그 유래를 볼 수 있다.

이 춤은 부패한 양반과 파계승을 풍자한 무용극으로 7인 배역이 등장해서 얘기를 엮어가는 형태이다. 구성과 배역은 한량을 비롯해서 승려(僧侶) · 상좌(上座) · 별감(別監) · 색시(혹은 기생) · 주모 · 마당쇠가 등장하는데 주인공 한량이 한 기생을 데리고 즐겁게 놀고 있을 때 승려가 나타나 이 광경을 보고 기생에게 반하여 멋진 춤으로 기생의 환심을 끌자 기생은 한량을 배신하고 승려에게 간다는, 남녀의 애정관계를 그린 춤이다.

각 배역마다의 춤사위는 개성미가 뛰어나고 소박미가 있으며 해학적 요소와 무언극적인 요소가 합해진 시대상을 풍자한 춤으로 토속미가 넘치는 점이 돋보이는 춤이다. 이 춤의 특징은 궁중계의 춤도 아니고 또 순수한 민속춤도 아닌 교방계통의 무용극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복식 및 무구는 한량은 도포를 입고 정자관을 쓴다. 색시는 궁중여기의 복식으로 몽두리에 색 한삼을 끼고 족도리를 쓴다. 승려는 진회색 장삼에 홍가사를 입고 머리에는 방갓을 쓰고 지팡이를 든다. 상좌 · 마당쇠는 흰색 바지 저고리를 입으며 주모는 보통 흰 저고리에 남색 치마를 입는다. 별감은 사령복에 전립을 쓴다.

춤 장단은 굿거리 장단-염불장단-타령(허튼타령)장단이 쓰인다.

1979년에 경상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이 춤을 전승하고 있는 기능 보유자는 한량의 김덕명, 승려의 성계옥(成季玉), 상좌의 최금순(崔今順), 별감의 서정남(徐廷南), 색시의 정행금(鄭幸今), 주모의 김연이(金蓮伊), 마당쇠의 정필순(鄭畢順), 악사의 김정애(金正愛)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최은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