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금 ()

목차
관련 정보
해금
해금
국악
유물
현악기의 하나.
목차
정의
현악기의 하나.
내용

문헌에 따라 ‘혜금(嵇琴)’이라고도 되어 있으며, 민간에서는 속칭 ‘깡깡이’라고도 부름. 당나라 때 요하(遼河) 상류 북방 호적(胡狄) 중 해(奚)부족에 속하는 유목민들 사이에서 생겨난 이래, 중국의 송·원대에 성행한 대표적인 찰현(擦絃)악기이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유입되어 궁중의 당악과 향악연주에 사용되는 한편, 이후 민속악 연주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① 구조 및 제작법: 구조는 공명통 위에 58㎝ 길이의 대나무[立竹]를 연결하여 명주실로 만든 2현을 걸고 이를 활대로 마찰하여 소리를 내도록 되어 있다.

현재까지도 해금제작의 표본을 제공하는 『악학궤범』에 의하면 해금의 통과 주아(周兒)·원산(遠山)은 화리(華梨)·황상(黃桑)·대죽(大竹)·산유자(山柚子) 같은 단단한 나무를 사용하며, 공명통의 복판은 두충(杜冲)·오동나무 등을 쓴다. 그리고 입죽의 재료로 해묵고 마디가 많은 오반죽(烏斑竹)이 사용되는데, 입죽 속에는 주철(柱鐵)을 집어넣어 입죽과 통을 연결시키게 된다.

주아를 꽂는 구멍과 아래 끝은 모두 은(銀) 또는 두석(豆錫)을 씌우거나 은사(銀絲) 또는 두석 실로 감아매고 산성(散聲), 즉 허현(虛絃)은 가는 가죽 또는 채승(彩繩)으로, 주아의 아래 2촌(寸)쯤에서 두 줄을 동여매어 만든다.

활대는 출단화목(黜壇花木) 또는 오죽(烏竹)·해죽(海竹)을 사용하고, 활시위〔絃〕는 말총[馬尾]으로 만든 다음 시위에 송진을 칠해서 줄을 마찰한다. 지금은 두 줄을 괴는 원산으로 예전과는 달리 박(朴)을 깎아서 쓰고, 말총 위 끝을 가죽으로 붙들어 맨다는 것이 『악학궤범』과 다른 점이다.

② 조율법: 현재의 조현법은 주아 아래로 두 줄을 붙들어 맨 끝으로부터 3, 4촌 아래에서 식지(食指)로 두 줄을 당겨 쥐고 조율한다. 이 때 중현(中絃)과 유현(遊絃)은 완전5도의 간격을 유지한다. 즉, 중현이 황(黃)이면 유현은 임종(林)이다.

③ 연주법: 연주는 왼손으로 음정을 찾고 오른손에 쥔 활대로 줄을 마찰하여 소리를 내는데, 연주시의 음량은 두 줄을 괴는 원산을 이동시켜 음량을 조절한다. 즉 관현합주, 대풍류[音樂合奏]와 같이 큰 음량이 요구될 때에는 원산을 공명통 중앙에 세워 연주하며, 줄풍류·세악(細樂) 또는 가곡(歌曲) 반주와 같이 작은 음으로 연주할 때에는 원산을 공명통 가로 이동시켜 음량을 작게 한다.

④ 연주곡: 고려시대에 유입된 이후 궁중음악의 향악과 당악에 두루 사용되었는데, 특이한 점은 연주법이 관악기처럼 지속음을 내기 때문에 현악기이면서도 반드시 관악에 편성되어 왔다는 것이다. 해금은 독주 악기로서 큰 각광을 받지 못하다가, 20세기 이후 산조음악의 성행과 때를 같이하여 독주곡인 해금산조의 탄생을 보게 되었다.

참고문헌

『국역악학궤범』(민족문화추진회, 1980)
『한국악기대관』(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69)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