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랑채 (채)

목차
관련 정보
창덕궁 연경당 행랑채
창덕궁 연경당 행랑채
주생활
개념
주택의 바깥 부분인 대문 양쪽에 붙어 있는 주거공간.
내용 요약

행랑채는 주택의 바깥 부분인 대문 양쪽에 붙어 있는 주거 공간이다. 주택은 물론 조선 시대의 궁전이나 관아 건축에도 일반적으로 지어졌다. 주로 심부름을 하는 사람들이 기거하거나 각종 창고로 이용되었다. 행랑채의 구조는 3량 집으로 된 목조가구가 가장 간단한 것이다. 한 방의 크기는 1칸 또는 2칸 정도가 보통이다. 간혹 행랑채에 부엌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본격적인 부엌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지방 상류주택 중 연대가 오랜 안동 하회의 ―자형 충효당 행랑채가 있다. ‘천석곡간’이라는 방이 있는 경주 최식씨 가옥의 행랑채도 특징적이다.

목차
정의
주택의 바깥 부분인 대문 양쪽에 붙어 있는 주거공간.
내용

행랑은 대문간에 붙어 있는 방을 뜻하므로 행랑채는 행랑방이 시설된 집채라고 할 수 있다. 보통 대문을 중심으로 마구간, 하인들이 기거하는 방, 광 등으로 되어 있고 주택의 경계선에 따라 세워지는 경우가 많다.

행랑채는 주택은 물론 조선시대의 궁전이나 관아건축에도 일반적으로 지어졌으며, 주로 심부름을 하는 사람들이 기거하거나 각종 창고로 이용되었다. 행랑채의 구조는 3량집으로 된 목조가구식으로 가장 간단한 것이며, 한 방의 크기는 1칸 또는 2칸 정도가 보통이다.

바닥은 사람들이 기거하는 곳은 온돌구조로 되고, 광은 마루구조로 된 것도 있으며, 나머지는 흙바닥으로 되어 있다. 벽체는 길가나 외부에 면하는 곳은 흙벽을 쌓기도 하나, 상류주택 또는 궁궐에서는 돌로 벽체를 쌓고 상부에 작은 창을 내기도 한다.

벽체를 쌓는 방법은 제일 아랫부분은 네모난 큰 돌로 쌓고 중간부분에는 주1이라고 부르는 사방 반 자 정도의 네모난 돌을 쌓으며, 그 위로는 전돌을 5층 정도 쌓아올리고 그 위에 작은 창을 연속적으로 내게 된다. 사괴석과 전돌은 석회로 접착하는데 이것으로 행랑채 외벽의 독특한 의장을 구성하게 된다.

내부에 면하는 벽체는 주로 개구부 사이를 흙벽으로 하며 때로는 벽체를 따로 두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서민의 주택에는 본격적인 행랑채는 없고, 서울의 경우에는 대문의 양 옆에 1칸 또는 2칸의 행랑방을 둔다. 이 방은 주로 광으로 이용되었던 것이지만, 근래에는 대부분 온돌로 개조하여 방으로 사용하고 있다.

중류 주택에서는 가도에 연하여 행랑방이 줄행랑을 이루어 안채와 외부의 경계를 이루는데, 그 규모는 크지 않다. 상류주택의 행랑채는 10여 칸에서 수십 칸에 이르는 경우도 많다. 비원 연경당(演慶堂)의 행랑채는 바깥행랑채와 중문간행랑채를 합하여 전부 59칸 반이나 되는데, 그 중 문이 4칸, 온돌방이 21칸, 마루방이 19칸 반, 흙바닥이 15칸을 차지한다.

온돌방은 행랑채에 있는 사람들이 기거하는 곳이며, 마루방은 광으로 이용되거나 행랑사람들이 기거하였으며, 흙바닥 중에는 마구간 · 가마고 외에 측간도 들어 있다. 지방의 상류주택 중 비교적 건립연대가 오랜 안동 하회(河回)의 충효당(忠孝堂)은 행랑채가 一자로 되었다.

솟을대문의 양 옆으로 11칸의 행랑방이 있는데, 그 중 온돌방이 3칸이고 나머지는 마구간과 외양간 및 광으로 되어 있다. 구례의 운조루(雲鳥樓)도 비교적 행랑채의 규모가 큰 주택인데 현재 남아 있는 것은 一자형의 줄행랑 17칸이다. 상류주택의 행랑채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솟을대문이다.

솟을대문은 주택의 정문이며, 대문 옆 담의 지붕 높이보다 대문의 지붕 높이를 한단 올린 것을 말한다. 지붕은 맞배지붕이 된다. 대문은 보통 1칸으로 되어 두 짝의 문을 안으로 열게 되어 있다. 일설에는 사대부들이 가마에 앉은 채 대문을 출입하므로 가마가 문을 지나가기 위하여 지붕높이를 높인 것이 솟을대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솟을대문의 발생은 향리에서 사대부들이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의식적으로 대문을 권위 있게 꾸미려 한 데서 찾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솟을대문의 양 옆으로는 가마를 보관하는 가마고와 마구간이 있고, 그 옆으로 하인들의 살림방이 여러 칸 있다. 그 나머지 방들은 대개 광으로 쓰이게 되는데, 곡식을 저장하거나 집안의 일용잡기들을 보관한다.

경주 최식씨 가옥(慶州崔植氏家屋)의 행랑채에는 곡식을 저장하는 ‘천석곡간’이라는 방이 있다. 간혹 행랑채에 부엌이 들어 있는 경우도 있는데, 행랑채의 부엌은 본격적인 부엌이 아니고 방에 불을 때는 아궁이를 이용하여 솥을 걸어 물을 끓이는 반 아궁이의 성격과 반 부엌의 성격을 띠는 부엌이다.

참고문헌

『한국주댁건축』(주남철, 일지사, 1980)
『한국건축의장』(주남철, 일지사, 1982)
『한국의 살림집』(신영훈, 열화당, 1983)
주석
주1

벽이나 돌담 또는 화방(火防)을 쌓는 데 쓰는 육면체의 돌. 한 변의 길이는 200~250mm이다.    우리말샘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