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발무 ()

목차
관련 정보
원행을묘정리의궤 / 향발
원행을묘정리의궤 / 향발
무용
작품
조선 전기에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목차
정의
조선 전기에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내용

조선 전기에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향발(響鈸)이라는 작은 타악기를 좌우손의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에 각각 하나씩 매고, 장단에 맞추어 치면서 추는 춤이다.

1719년(숙종 45)의 『진연의궤』, 1744년(영조 20)의 『진연의궤』, 순조 이후의 각종 의궤에 빠지지 않고 있는 점으로 보아 향악정재 가운데에서 가장 즐겨 추던 춤 중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춤의 무보는 『악학궤범』『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에 전한다.

『악학궤범』에 전하는 무원은 8명이나 『정재무도홀기』에는 2명으로 되어 있다. 1828년(순조 28)의 『진작의궤』에는 2명의 무동(舞童)에 18명의 주1의 그림이 있고, 1829년의 『진찬의궤』에는 2명의 원무에 20명의 협무가 추는 그림과, 4명의 주2의 춤도 보인다.

이 춤은 여기의 춤과 무동의 춤의 두 가지가 있었고, 무원의 수에도 변화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선 말기 1893년(고종 30)의 『정재무도홀기』에 의하면, 당악정재인 「오양선(五羊仙)」의 창사를 부른 점에서는 『악학궤범』의 향발과 같으나, 향악정재의 특징인 면복흥(俛伏興)으로 시작하여 주3로 끝맺는 전통적인 양식은 보이지 않으므로, 향악정재와 당악정재 양식에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춤의 반주음악은 『악학궤범』 시절에는 「보허자령(步虛子令)」이 쓰였고, 『정재무도홀기』에는 「향당교주(鄕唐交奏)」가 쓰였다. 1829년의 『진찬의궤』에 의하면 무동의 복식은 주4를 쓰고, 홍라포(紅羅袍) · 백질남선중단의(白質藍縇中單衣) · 남질흑선상(藍質黑縇裳)에 녹한삼(綠汗衫)을 매고, 학정대(鶴頂帶)를 띠고, 흑화(黑靴)를 신는다.

여기의 복식은 화관을 쓰고, 초록단의(草綠單衣) · 황초단삼(黃綃單衫), 속은 남색상(藍色裳), 거죽은 홍초상(紅綃裳)에 홍단금루수대(紅緞金縷繡帶)를 띠고, 오채한삼(五彩汗衫)을 매고, 초록혜(草綠鞋)를 신는다. 지금은 전하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악학궤범(樂學軌範)』
『숙종기해진연의궤(肅宗己亥進宴儀軌)』
『영조갑자진연의궤(英祖甲子進宴儀軌)』
『순조무자진작의궤(純祖戊子進爵儀軌)』
『고종계사정재무도홀기(高宗癸巳呈才舞圖笏記)』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주석
주1

춤을 출 때에, 주연자(主演者) 옆에서 함께 춤을 추는 일. 또는 그런 사람. 우리말샘

주2

춤, 노래, 의술, 바느질 따위를 배우고 익혀서 나라에서 필요한 때 봉사하는 관비를 통틀어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3

향악 정재의 퇴장하는 방식. 춤이 끝나면 꿇어앉아 엎드려 절하고 일어나 바로 퇴장하는 방법으로 죽간자의 인도를 받아 격식을 갖춰 퇴장하는 당악 정재의 방식과 대조적이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궁중 연향에서 노래하고 춤을 추는 사내아이가 쓰던 모자. 광택이 나는 생사로 만들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