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용훈 ()

선사문화
인물
경희대학교 고고 · 미술연구소장, 한국고고학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동북아시아의 암각화』, 「신석기시대의 예술과 신앙」 등을 저술한 고고학자.
이칭
이칭
석계(石溪)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9년
사망 연도
1996년
본관
평해(平海 : 지금의 경상북도 울진)
출생지
함경남도 이원
정의
경희대학교 고고 · 미술연구소장, 한국고고학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동북아시아의 암각화』, 「신석기시대의 예술과 신앙」 등을 저술한 고고학자.
개설

본관은 평해(平海). 호는 석계(石溪). 함경남도 이원(利源) 출생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함남중학교를 다니다가 1945년 월남해 1946년 서울중학교 편입하여 1950년 졸업하였다. 1955년 11월 덴마크 아후스(Arhus)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해 1962년 졸업한 뒤 귀국하여 1963∼1965년 춘천대학(春川大學) 교학처장을 역임하였다.

1969년 2월 고려대학교대학원 사학과를 수료해 문학석사를 취득한 뒤, 1970년부터 1995년 2월까지 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를 지냈다. 1970년부터 1986년까지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장를 역임하면서 세계 원시·선사·고고학 상임위원(世界原史·先史·考古學常任委員 : U.I.S.P.P)를 맡았다. 1978년 2월 경희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를 취득하였다.

1987∼1988년 한국고고학회장(韓國考古學會長), 1988∼1995년 경희대학교 고고·미술사연구소장(考古美術史硏究所長), 1992∼1995년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장을 역임하였다. 1990∼1995년 3월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대학과 공동으로 광복50주년기념 알타이문명전을 기획하였다. 1995년 2월 정년퇴임한 뒤, 1996년 9월 타계하였다.

학문 및 저술활동

연구업적으로는 「한반도 구석기문화 석기제작에 대한 고찰」(1969), 「한반도구석기문화의 개관(韓半島舊石器文化の槪觀)」(1972·1973), 「한국선사시대 성혈고」(1974), 『한국 선사암각화의 연구』(1977), 「신석기시대의 석기와 골각기」(1983), 「신석기시대의 예술과 신앙」(1983), 「Prehistoric Petroglyphs of Korea」(1990), 「고신라 묘제의 두향연구」(1990) 등이 있다.

보고서로는 『경주 인왕동(19호·20호) 고분 발굴조사보고』(1974), 『영암 내동리 옹관묘 조사보고』(1974), 『한국민속촌의 효율적 재개발을 위한 연구』(1977), 『충주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 보고서-중원 지동리, 계산리, 명서리, 광의리지구 부분-』(1983∼1985), 『주암댐 수몰지구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 3』(1989), 『상무룡리』(1990), 『통일동산 및 자유로 개발지구 지표조사 보고서 1·2』(1992), 『오두산성 1』(1992), 『미사리』(1994) 등이 있다. 저서로는 『동북아시아의 암각화』(민음사, 1987)를 남겼다.

참고문헌

『아세아고문화(亞細亞古文化)』-석계황용훈교수정년기념사학논총(石溪黃龍渾敎授停年紀念史學論叢)-(학연문화사, 199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