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택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화(子和)
화곡(華谷)
이칭
택중(宅中)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7년(숙종 13)
사망 연도
1737년(영조 13)
본관
창원(昌原)
주요 관직
첨지중추부사
정의
조선 후기에, 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창원(昌原). 초명은 택중(宅中). 자는 자화(子和), 호는 화곡(華谷).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상구(黃尙耉)이다. 최창대(崔昌大)·이하곤(李夏坤)·구택규(具宅奎) 등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미천한 가문에서 태어났으나, 어려서부터 남달리 총명하였으며 학문을 좋아하였다. 금위영(禁衛營)의 서리(書吏)로 일하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1728년(영조 4)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반란군을 토벌하는 도순무사(都巡撫使) 오명항(吳命恒)의 막하에서 서기로 일하였다.

이 때 무고하게 죄에 걸려든 많은 사람을 구해주었다. 그 뒤 영남의 남은 적을 토벌할 때에도 종사관 박문수(朴文秀)를 따라가서 많은 공을 세워, 난이 평정된 뒤에 양무원종공신(揚武原從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1735년 조풍원(趙豐原)이 평안도관찰사로 갈 때 데리고 갔다.

다음해 첨지중추부사로 승진하였으며, 이 해 경기도관찰사 이종성(李宗城)의 천거로 영중(營中)의 재부(財賦)와 군정(軍政)의 일을 맡았다. 이 때 그와 주고받으면서 읊은 시가 많다. 1737년 청나라의 사신을 영접하러 가던 중 병으로 죽었다. 한성부좌윤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화곡집(華谷集)』이 있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화곡집(華谷集)』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