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

김정일
김정일
정치·법제
인물
북한에서, 김일성 사망 이후 권력을 승계한 제2대 통치자로, 국방위원장, 조선로동당 총비서,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등을 역임한 최고지도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42년 2월 16일
사망 연도
2011년 12월 17일
본관
전주 김씨
출생지
소련 하바로프스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정일은 북한에서, 김일성 사망 이후 권력을 승계한 제2대 통치자로, 국방위원장, 조선로동당 총비서,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등을 역임한 최고지도자이다. 1942년 출생하여 2011년 사망했다. 1964년 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지도원으로 시작하여, 1980년 제6차 당대회에서 공식적인 2인자로 등극하였다.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 권력을 승계하여 17년 동안 조선로동당 총비서, 공화국 원수 등을 역임하였다. 2000년부터 2011년 사망 이전까지 중국 방문 및 정상회담 11회, 러시아 방문 및 정상회담 3회, 남북정상회담 2회, 북일정상회담 1회 등의 활동을 수행했다.

정의
북한에서, 김일성 사망 이후 권력을 승계한 제2대 통치자로, 국방위원장, 조선로동당 총비서,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등을 역임한 최고지도자.
개설

1942년 2월 소련 하바로프스크에서 태어났다. 1964년 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 지도원으로 시작, 1974년 후계자로 내정, 1980년 제6차 당대회에서 공식적인 2인자로 등극, 1994년 김일성 사망 이후 권력을 승계했다. 이후 17년 동안 국방위원장, 조선로동당 총비서,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공화국 원수, 정치국 상무위원,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하다가 2011년 12월 17일 사망했다.

생애

김정일은 1942년 2월 16일 소련 하바로프스크(*북한은 백두산 밀영 주장)에서 김일성과 김정숙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러시아식 이름은 유리 이르세노비치 김이었으며, ‘정일’의 한자는 원래 ‘正一’이었으나 이후 아버지 이름의 한자를 따서 ‘正日’로 고쳤다.

1945년 11월소련에서 귀국, 평양 제1중학교를 거쳐 1960년남산고급중학교를 졸업했다. 1960년김일성종합대학 정치경제학과에 입학했고, 재학 중인 1961년조선로동당에 입당했다. 1964년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한 뒤 동년 6월 조선로동당 조직지도부 지도원, 1967년 과장, 1971년 부부장으로 승진했다.

1973년 당 중앙위원회 조직·선전담당 비서 겸 조직지도부 부장, 1974년 ‘친애하는 동지’ 또는 ‘당중앙’으로 호칭되면서 후계자로 확정되었고, 1975년에는 ‘공화국 영웅’ 칭호를 받았다. 1980년 제6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 정치국 상무위원, 비서국 비서, 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면서 공식적인 제2인자가 되었고, 이때부터 공식 호칭이 ‘친애하는 지도자 동지’로 변경되었다.

1991년 인민군 최고사령관, 1993년 국방위원장, 1994년김일성 사망 이후 권력을 승계했다. 1997년 당 총비서, 1998년 헌법 개정을 통해 주석제를 폐지하고 권한이 더욱 강화된 국방위원장에 재추대되었다. 2003년과 2009년 국방위원장에 다시 재추대되었고, 2010년 제3차 당대표자회에서 당 총비서, 당 정치국 상무위원, 당 정치국 위원, 당 중앙군사위 위원장, 당 중앙위 위원 등에 선임되었다. 김정일은 2008년 뇌혈관 질환으로 쓰러진 뒤 건강이상설이 끊임없이 제기되는 가운데 2011년 12월 17일 8시 30분 현지 지도 방문차 탑승한 열차에서 사망했고, 이틀 뒤인 12월 19일 조선중앙방송은 과로로 인한 중증급성 심근경색과 심장 쇼크로 사망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활동사항

2000년대 이전까지 김정일의 주요 활동은 대내적 정치활동이 대부분이었고, 대외적 활동은 1983년 중국의 비공식 방문을 제외하고 베일에 가려져 있었다.

1964년 조직지도부에서 활동을 시작한 이후 1970년대까지 김정일은 주로 당의 조직·선전 등의 역할과 후계자 수업을 수행했고, 1980년대부터 김일성 사망 이전까지는 북한의 2인자로 활동했으며, 김일성 사망 이후 실질적 당·정·군의 최고지도자로 등극하면서 공식적 대외활동을 시작했다. 2000년부터 2011년 사망 이전까지 중국 방문 및 정상회담 11회, 러시아 방문 및 정상회담 3회, 남북정상회담 2회, 북일정상회담 1회 등의 활동을 수행했다.

상훈과 추모

공화국 ‘영웅’ 칭호, 인민군 원수, ‘김일성훈장’과 ‘김일성 상’을 수상하였다.

참고문헌

『북한의 주요인물』(통일부, 2011)
『포스트 김정일』(시대정신, 2011)
『현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을유문화사, 2000)
『김정일 북한대백과』(동아일보사, 199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