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존심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내시합문지후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내시합문지후
관련 사건
조위총의 난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내시합문지후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가계와 출신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1170년(명종 즉위년) 무신정권이 성립되자 반무신란(反武臣亂)이 서경(西京)과 북계(北界) 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났다. 반무신란의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조위총(趙位寵)의 난이 발발했을 때, 김존심(金存心)은 서경유수(西京留守) 조위총이 신임하는 부하였다. 1175년(명종 5)에 정중부정권(鄭仲夫政權)에서 파견한 진압군 사령관 윤인첨(尹鱗瞻)이 조위총 세력의 본거지인 서경을 공격하였다. 이때 김존심은 이의방(李義方) 등이 의종을 시해한 사실을 알리고 금(金)의 협조와 원병을 구하기 위해 조규(趙規)와 더불어 금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금나라로 가는 도중에 김존심은 마음이 변하여 조규를 죽이고 예안강(禮安江)으로 와서 정박했는데, 명종이 이 소식을 듣고 환관(宦官)을 보내어 김존심을 맞아들여서 내시합문지후(內侍閤門祗侯)에 임명했다. 김존심을 따라 같이 들어온 군사와 장수 60명도 관직과 상을 받았다. 조위총은 김존심이 배반한 소식을 듣고 김존심의 처와 자식을 죽였다고 한다. 김존심이 무신정권에 투탁함으로써 조위총 진영은 분열되었으며 결국 조위총의 난은 진압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 무인정권과 지방사회』(신안식, 경인문화사, 2001)
『고려무신정권기 농민·천민항쟁 연구』(이정신,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1)
「무신집권기의 반무신란의 성격」(변태섭, 『한국사연구』19, 1978)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