쪽방은 도시 빈민 주거형태의 하나로서, 대략 1960년대부터 형성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노숙인 보호사업을 계기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196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와 산업구조의 변화 속에서 대도시로 유입된 많은 노동력이 저임금 단순일용직으로 변모하면서 도시빈민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는데, 쪽방은 노숙의 위기에 처한 빈곤계층의 마지막 잠자리로 기능하면서 빈곤계층의 발생과 역사적 배경을 함께하고 있다.
쪽방의 기원은 1960년대의 사창가를 비롯해서 여관·여인숙, 용도가 폐기된 축사와 공장의 기숙사, 그리고 현대판 쪽방으로 불리는 고시원 등 다양하다. 사창가가 쪽방으로 변화된 경우는, 1961년 윤락행위 금지로 사창가가 쇠락하여 사창가 동네가 쪽방과 같은 숙박업으로 업종변경을 시도한 경우이다. 여관·여인숙이 쪽방으로 변화된 경우는, 1986년 통행금지 해제이후 숙박시설의 이용객이 크게 줄어들면서 일부 여관·여인숙이 장기임대가 가능한 쪽방으로 전환된 경우이다. 한편, 고시원이 쪽방형태로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사창가나 여관·여인숙에 비해 비교적 최근인 2000년대 이후로 추정된다.
월세만 지불하기 때문에 목돈이 없는 빈곤층이 쉽게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수의 고시원이 급격히 주거시설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특히 고시원이 쪽방으로 선호되는 이유는 기존의 노후된 쪽방밀집지역에 비해 화장실, 욕실, 식사실 등의 공동시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개별적으로 가재도구를 구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