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덕홍전 ( )

서울 덕수궁 중 덕홍전 좌측면
서울 덕수궁 중 덕홍전 좌측면
건축
유적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덕수궁의 편전으로 사용된 궁궐건물. 궁궐건축 · 편전(便殿).
이칭
이칭
경소전(景昭殿), 경효전(景孝殿)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덕수궁의 편전으로 사용된 궁궐건물. 궁궐건축 · 편전(便殿).
개설

덕수궁의 정전인 중화전(中和殿)의 동북쪽, 주1함녕전(咸寧殿)의 서쪽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다. 원래는 고종황제의 비인 명성황후혼전(魂殿)이었는데, 뒤에 주2으로 사용되었다.

역사적 변천

지금의 덕홍전 자리에는 원래 경소전(景昭殿)이 위치하였다. 1896년(건양 1)에 고종황제는 러시아공사관으로 옮기는 ‘아관파천(俄館播遷)’을 하였다. 이 때 주3을 새롭게 정비하면서 경복궁 태원전(泰元殿)에 모신 명성황후의 시신을 모실 주4신주를 봉안할 혼전으로 사용하고자 건립하였다. 곧 9월 4일에 명성황후의 시신을 경소전으로 옮겼고, 1897년 11월 21일에 명성황후의 국장을 지낸 뒤에는 경효전(景孝殿)이라고 부르면서 혼전으로 삼았다.

1904년(광무 8)에 경운궁에 큰 불이 일어나 불에 타고 말았는데, 명성황후의 신주는 준명전(濬明殿)의 서쪽 행각에 임시로 모셨고,그 뒤에는 중명전(重眀殿)의 주변에 자리한 수풍당(綏豐堂)으로 옮겨 봉안하였다.

이후에 경소전 터에 이전과 같은 규모의 건물을 다시 건립하였지만, 1905년에 을사늑약의 체결로 인해 고종황제가 여전히 중명전에 머물렀기에 신주를 다시 옮기지는 못하였다. 고종황제가 함녕전으로 돌아온 뒤에도 신주는 여전히 수봉당에 봉안되었다. 1912년에 고종황제의 알현실로 고쳐 짓고서 덕홍전이라고 불렀다.

내용

『매일신보』 1912년 9월 10일자에는 덕홍전은 고종황제의 알현실이었던 창덕궁 인정전을 따라 지었는데, 이미 낙성하여 6일 밤부터 불을 밝혔다고 하면서, 공사비는 6만 여 원이 들었으며, 실내 장식이나 다른 것도 매우 화려한데 큰 벽화는 화백 천초신래자(天草神來子)가 그린 걸작이라고 설명하였다.

이 공사를 진행하면서 이안청(移安廳), 중배설청(中排設廳), 어재실(御齋室) 등 혼전과 관련된 제례 시설은 모두 철거되었고, 대신에 고종황제를 보필하는 이왕직 청사(李王職廳舍)를 비롯하여 찬시실(贊侍室), 귀빈실 등을 만들었다.

한편 고종황제가 쉽게 덕홍전을 드나들도록 함녕전까지 복도를 놓았다고 한다. 현재 주변의 다른 건물은 모두 없어졌지만 복도의 흔적만은 남아 있다.

참고문헌

『경운궁중건도감의궤(慶運宮重建都監儀軌)』
『조선시대 궁궐용어 해설』 (문화재청, 2009)
『덕수궁 복원정비기본계획』 (문화재청, 2005)
『왕궁사』 (이철원, 동국문화사, 1958)
『德壽宮史』 (小田省吾, 李王職, 1938)
주석
주1

임금의 침방(寢房)이 있는 전각. 우리말샘

주2

임금이 평상시에 거처하는 궁전. 우리말샘

주3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궁궐. 본래는 행궁(行宮)이었으나 선조 26년(1593)에 의주에서 환도한 후 보수하여 궁궐로 삼았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은 중화전, 함녕전, 석조전 등이며 정문으로 대한문이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덕수궁’이다. 우리말샘

주4

국상(國喪) 때, 상여가 나갈 때까지 왕이나 왕비의 관을 모시던 전각.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