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 간월사지 석조 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울산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울산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등억알프스리 간월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목차
정의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등억알프스리 간월사지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지금은 법당을 지어 봉안되어 있으나, 오랫동안 노천에 방치되어 있어서 광배가 파손되었고 대좌도 완전하게 남아 있지 않다. 등신대(等身大)의 좌상으로서, 9세기 불상에 즐겨 사용되던 인체의 모습을 재현한 전형적인 불상 형태이다.

내용

불상의 둥근 머리에는 육계(肉髻)가 거의 퇴화되었고, 나발(螺髮)의 머리카락을 촘촘하게 새겼다. 얼굴은 작고 둥글며 이목구비가 단정하며, 전체적으로 은근한 미소가 감돌고 있다. 신체는 어깨가 좁고 가슴 또한 빈약하여 위축된 모습이지만, 인체의 형태를 세련되고 깔끔하게 처리하였다. 오른손은 무릎에 대어 아래를 향하고 있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취하고 있으며, 왼손은 다리 위에 얹어 그 손바닥이 위로 향해 있다. 단정한 얼굴과 신체에 비해 두 손은 크고 형식화되어 약간 어색해보인다. 대의는 양어깨를 감싼 통견(通肩)으로 몸에 밀착되어 신체의 윤곽을 그대로 드러내는 듯하며, 얇게 빚은 듯이 유려하게 흘러내리는 凸형의 평행 계단식 옷주름은 단정한 불신과 잘 조화되어 있다.

대좌는 상대의 앙련(仰蓮: 위로 향하고 있는 연꽃)과 하대의 팔각복련(八角覆蓮)의 안상석(眼象石), 그리고 맨 아래에는 안상이 새겨진 팔각대석이 놓여 있다. 즉 중대는 없고 대신 중대의 위치에 완전한 하대석이 하나 놓여 있는데, 이 하대석은 현재 법당 앞에 놓아둔 다른 두 석불상들과 연관되는 것으로, 앞으로 좀 더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인간의 모습을 재현한 듯한 풍만하고 사실적인 얼굴이라든가, 약간 위축되었으나 인체를 방불케 하는 불신 등은 8세기 말에서 9세기경의 불상 양식이다. 즉,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1963년 지정), 동국대학교 소장 법주사석불좌상 등의 전형적인 사실주의 양식과 공통되는 것으로서, 이 불상의 연대도 같은 시기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국보』4 석불(황수영 편, 예경산업사, 1985)
『문화재대관』보물 중(문화재관리국, 196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