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
강릉교동유적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와 화덕자리·저장구덩이 등이 발굴된 마을터. 취락유적.
선사문화유적 -
강맹경
조선전기 예문관제학, 의정부우참찬, 좌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조선시대사인물 -
강목집요
조선후기 문신 신응조가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명을 받아 편찬한 역사서.
근대사문헌 -
강목초
송나라 주희의 『자치통감강목』에서 중요한 내용을 발췌하여 저술한 역사서.
조선시대사문헌 -
강무경
대한제국기 을사조약 체결 후 심남일 의진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한 의병.
근대사인물 -
강문수
일제강점기 조선공산당 만주부 조직책임, 대한민국 특무부대 장교 등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
근대사인물 -
강문형
조선후기 예방승지, 협판교섭통상사무,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근대사인물 -
강민첨
고려전기 추성치리익대공신에 책록된 공신. 장수.
고려시대사인물 -
강민첨 탄생지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고려시대 무신 강민첨의 탄생지. 시도기념물.
고려시대사유적문화재 -
강북일기
조선후기 압록강 일대의 호인 및 우리나라 사람들의 취락 상태를조사하여 기록한 역사서.
조선시대사문헌 -
강사상
조선전기 병조판서, 형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조선시대사인물 -
강상문답
조선후기 학자 한홍조가 스승 권상하와 제자들이 당론에 대해 문답한 것을 기록한 문답서.
조선시대사문헌 -
강상찰
조선 후기 문인 권상하가 조카 권섭·권영 등에게 보낸 간찰을 모아 엮은 서간집.
조선시대사문헌문화재 -
강서 삼묘
북한 남포특별시 강서구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대묘·중묘·소묘를 지칭하는 용어.
선사문화유적 -
강서 소묘
북한 남포특별시 강서구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굴식 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
선사문화유적
예술·체육
-
강릉굴산사지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찰터. 사적.
건축유적문화재 -
강릉농악
강원도 강릉지방에 전승되는 농악.
국악작품문화재 -
강릉대공산성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보현산에 있는 고려시대 포곡식으로 축조된 석축 성곽. 산성. 시도기념물.
건축유적문화재 -
강릉시립박물관
강원도 강릉시 오죽헌로 (죽헌동)에 있는 시립박물관.
회화단체 -
강릉신복사지
강원도 강릉시 내곡동 일대에 있는 고려시대 신복사의 사찰터.
건축유적 -
강릉향교 대성전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고려후기 공자와 선유의 위패를 모신 문묘. 향교건물. 보물.
건축유적문화재 -
강민첨 초상
조선시대의 화가 박춘빈(朴春彬)이 고려시대의 명장 강민첨을 그린 초상화.
회화유물문화재 -
강보
조선 세종 때 창제된 「발상(發祥)」의 한 곡명.
국악작품 -
강산무진도
조선 후기의 화가 이인문(李寅文)이 그린 산수화. 보물.
회화작품
교육
-
강릉대학교
강원도 강릉시 지변동에 있는 국립종합대학교.
교육단체 -
강릉여자고등학교
강원도 강릉시 옥천동에 있는 공립여자고등학교.
교육단체 -
강릉영동대학교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금산리에 있는 사립전문대학.
교육단체 -
강릉원주대학교
강원도 강릉시 강릉대학로와 원주시 남원로에 있는 국립대학교.
교육단체 -
강릉제일고등학교
강원도 강릉시 교동에 있는 공립인문계고등학교.
교육단체 -
강릉초등학교
강원도 강릉시 홍제동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단체 -
강릉향교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고려후기 강릉도안렴사 김승인이 설립한 향교. 교육시설. 시도유형문화재.
교육유적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