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술·체육
-
고성 옥천사 청동북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옥천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청동북.
공예유물문화재 -
고성 운흥사 관음보살도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운흥사 관음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회화유물문화재 -
고성 운흥사 미타회탱화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와룡리 운흥사에 소장되어 있는 불화.
회화유물문화재 -
고성 운흥사 약사탱화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와룡리 소재 운흥사에 소장되어 있는 불화.
회화유물문화재 -
고성 육송정 홍교
강원특별자치도 고산군 간성읍에 있는 조선시대 축조된 무지개 형태의 다리. 홍교 · 석교. 보물.
건축유적문화재 -
고성 장의사 석조 관음 반가상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장의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후기 불석으로 조성된 석조관음보살반가상.
조각유물문화재 -
고성농요
경상남도 고성지역에 전승되는 농사짓기소리.
국악작품문화재 -
고성오광대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에 전승되고 있는 탈놀이.
연극작품문화재 -
고성이씨 신도비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건된 신도비. 시도유형문화재.
서예유적문화재 -
고수
전통음악을 연주할 때 북을 치는 음악인.
국악개념
생활
과학
경제·산업
역사
종교·철학
-
고성겸
조선 후기에, 「한성악부」, 『녹리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유교인물 -
고성사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 있는 고려후기 승려 원묘국사 요세가 창건한 사찰.
불교유적 -
고송유고
조선시대 때의 학자, 최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3년에 간행한 시문집.
유교문헌 -
고송집
조선 후기의 문신, 신홍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9년에 간행한 시문집.
유교문헌 -
고식
조선 후기의 문신, 김희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78년에 간행한 시문집.
유교문헌 -
고씨삼강문
조선 중기의 문관 · 의병장인 고경명(1533∼1592) 일가 7명의 충효열 삼강문.
유교유물문화재 -
고암문집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이태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유교문헌 -
고암문집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세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9년에 간행한 시문집.
유교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