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
경현당선마록
1767년(영조 43) 봉조하(奉朝賀) 남유용(南有容) · 김상익(金尙翼) · 박성원(朴聖源) 등에게 선마(宣麻: 임금이 늙은 신하에게 几杖을 하사하며 함께 내리는 글)한 내용을 기록한 책.
조선시대사문헌 -
경현록
조선 후기의 유학자, 김하석이 김굉필의 시와 사적을 중심으로 1719년 증보, 편찬한 시문집.
조선시대사문헌 -
경효전
경운궁 문경전에 있는 개항기 명성황후 민씨의 신주를 봉안한 전각. 혼전.
근대사유적 -
경효전일기
1895년 8월 20일부터 1898년 10월 20일까지 명성황후 민씨의 혼전(魂殿)행사를 기록한 일지. 관청일기.
근대사문헌 -
계갑일록
조선시대 문신 · 의병장 우성전이 매일의 사건과 조정의 동향에 대해서 기록한 일기.
조선시대사문헌
과학
예술·체육
종교·철학
-
경화
조선 후기에, 『천지팔양신주경주』, 『게송육십칠품』 등을 저술한 승려.
불교인물 -
경회유고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이종화의 시 · 잠 · 명 · 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유교문헌 -
경흥사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동학산(動鶴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혜공이 창건한 사찰.
불교유적 -
계곡집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장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43년에 간행한 시문집.
유교문헌 -
계구암집
조선 후기의 학자, 윤형로의 시 · 서(書) · 독서장 · 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유교문헌 -
계남집
조선 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최숙민의 시 · 서(書) · 서(序) · 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유교문헌 -
계녀어
조선후기 혼인하는 여자가 경계해야 할 사항들을 모아 엮은 교훈서. 여훈서.
유교문헌 -
계단
불교에서 계를 수여하는 의식을 진행하는 의례공간. 단(壇).
불교개념 -
계당집
조선 후기의 학자, 정회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8년에 간행한 시문집.
유교문헌 -
계당초고
조선 후기의 학자, 신낙기의 시 · 서(書) · 논 · 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유교문헌 -
계동집
조선 전기의 문신 · 학자, 전경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9년에 간행한 시문집.
유교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