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주선 ()

석주선
석주선
의생활
인물
해방 이후 『우리나라 옷』, 『한국복식사』, 『관모와 수식』 등을 저술한 학자. 민속학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11년
사망 연도
1996년
본관
광주(廣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우리나라 옷』, 『한국복식사』, 『관모와 수식』 등을 저술한 학자. 민속학자.
개설

본관은 경기도 광주(廣州). 호는 난사(蘭斯). 평양 출신. 아버지 승서와 어머니 김의식 사이에서 3남 1녀 중 외동딸로 태어났다. 1934년 평양 명륜여자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40년 동경 일본고등양재학원을 졸업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졸업과 동시에 일본 고등양재학원 교원으로 재직하였다. 1945년 해방과 더불어 귀국하여 1950년 6·25 전쟁시까지 국립과학박물관 공예연구실장을 역임하였다. 1974년 영남대학교에서 명예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석주선은 틈틈이 부녀자들을 대상으로 양재 강습회를 열어 자녀들의 옷을 직접 만들어 입힐 수 있도록 양장 기술을 가르치는 한편, 우리 복식 유산에 관심을 가지고 수집하기 시작하였다. 이 가운데 귀중한 복식 유물들을 처음으로 국가 관리의 중요민속자료로 지정토록 하여 후학들에게 좋은 연구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였다.

1952년 수도여자사범대학 강사를 시작으로 1955∼1958년 수도여자사범대학 부교수, 1958∼1976년 동덕여자대학에서 부교수, 교수를 거쳐 정년 퇴임하였다. 정년 퇴임 직후 본인이 소장한 3,365점의 복식 관련 유산과 3,000여 권의 장서를 단국대학교에 기증하였고, 박물관이 완성되기 전까지 민속학연구소 소장으로 있었다. 1981년 5월 2일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이 개관되었고, 1996년 타계 직전까지 초대 관장으로 있었다.

1961∼1977년 문화재 위원(문화부)(현, 문화유산 위원), 1981∼1986년 방송 자문위원(한국방송공사), 1983∼1995년 영정 심의위원(문화체육부), 1986∼1995년 민속자료평가 심의위원(국립민속박물관), 1983∼1995년 여성솜씨 전시회 심사위원(서울특별시), 1987∼1995년 신사임당 심사위원(주부클럽연합회), 1983∼1995년 한국 전통미술인회 자문위원 및 고문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972년 제1회 양서출판문화상 저술 부문 금상(경향신문사), 1973년 제2회 교육공로상(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1980년 제20회 한국출판문화상 제작상(한국일보사), 1991년 제23회 대한민국 예술문화상 문화 부문 은관문화훈장(문화부) 등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우리 나라 옷≫(1961) · ≪한국복식사 韓國服飾史≫(1971) · ≪흉배 胸背≫(1979) · ≪장신구 裝身具≫(1981) · ≪속 한국복식사 續 韓國服飾史≫(1982) · ≪의 衣≫(1985) · ≪관모와 수식 冠帽와 首飾≫(1993) 등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복식학자 고 난사 석주선박사 추모사진집』(난사 석주선박사 추모사진집 간행위원회, 고려서적, 199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