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 보살상의 머리 위에는 보관(寶冠) 없이 보계(寶髻: 상투머리)가 있을 뿐이며, 고려시대 보살상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수발(垂髮: 뒤로 길게 늘어뜨린 머리)의 표현은 없다. 얼굴은 장방형으로 눈은 가늘게 반개하였고 코는 약간 손상되었다. 입 끝이 아래로 처진 채 꾹 다문 입은 침울한 인상을 준다.
원통형의 굵은 목에는 선이 한 가닥만 깊게 새겨져 있고, 양어깨 위에는 단조로운 주름의 천의(天衣)가 걸쳐져 있다. 편평한 가슴에는 모두 10개의 고리[環]로 된 목걸이 장식이 있으며, 두꺼운 천의 자락이 왼편 어깨에서 오른쪽 허리로 가로질러 흐르고 있다.
왼팔은 몸에 꼭 붙인 채 왼손의 엄지와 중지(中指)로 연꽃 봉오리를 쥐었고, 두 줄의 팔찌로 장식한 오른팔은 아래로 늘어뜨려 정병(淨甁)을 들었는데, 손목 위로는 천의 자락이 흐르고 있다. 이 천의 자락은 하체로 이어져서 군의(裙衣) 위에 커다란 U자형의 주름을 이루게 되는데, 하체의 위아래에 각각 세 줄로 나타나는 천의의 의문(衣文)들 사이에는 타원형의 군의 주름이 양다리에 조각되었다.
한편, 시멘트로 보수된 두 발 사이와 좌우에는 꽃잎이 희미하게 부조되어 있다. 보살상의 뒷면에도 군의를 접어낸 자락이 꽃잎처럼 W자형을 이룰 뿐 아니라, 그 안에 여러 장식들이 선각되기도 하고, 양각되기도 하여 화려하다.
대좌(臺座)는 겹꽃잎의 연꽃이 아래로 향하고 있는 팔각대좌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각 면마다 안상(眼象)이 있다.
이 보살상의 명칭은 지물(持物)인 연봉과 정병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에 널리 신앙되었던 관음보살로 추정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경화된 각 부분의 표현이나 침체된 안면 표정 및 도식화된 옷주름 등에서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대산리의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보물, 1963년 지정)과 함께 이 지역의 지방화된 불상 양식을 엿볼 수 있는 고려시대 후반의 조각이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