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촌 ()

목차
인문지리
개념
인가(人家)가 불규칙하게 모여서 덩이 형태로 집단을 이루고 있는 마을.
목차
정의
인가(人家)가 불규칙하게 모여서 덩이 형태로 집단을 이루고 있는 마을.
내용

마을을 이루고 있는 요소에는 인가·경지·도로·부속시설 등이 있으나 가장 주축이 되는 것은 인가(혹은 가옥)이다. 인가는 지역에 따라 모여 있거나 흩어져 있는데, 그 분포상태의 기하학적인 모습에 따라 촌락을 구분하기도 한다.

괴촌은 질서정연하게 계획되어 있는 마을과는 그 모습이 전혀 다른데, 인가를 비롯하여 촌락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의 배열 상태가 매우 불규칙한 것이 특징이다.

괴촌은 우리나라에 보편화된 촌락의 형태이다. 그것은 오랜 역사와 더불어 촌락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한둘씩 생겨나고, 또 변화하면서 동일 공간에 계속 누적되어 온데다가 촌락 계획의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았기 때문이다. 어느 마을을 가든지 인가가 옹기종기 모여 있고, 인가와 인가 사이에 꼬불꼬불한 도로가 나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주로 협업을 필요로 하는 논농사 지역에 괴촌이 두드러지게 발달하고 있다. 벼농사의 경우에는 서로 협동하여 일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서로 떨어져 살기보다는 모여 사는 것이 유리한데, 관개 조건이 유리한 강 유역의 평탄한 충적평야는 경작지로 이용되고, 인가는 산기슭과 구릉사면을 따라 발달함으로써 괴상(塊狀)을 이루게 된 것이다.

논농사 지역 외에도 촌락의 입지가 용천 주변으로 제약당하고 있는 제주도나 지형 제약이 큰 해안지역에서 괴촌 발달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오늘날 이러한 괴촌은 취락구조 개선사업 등을 통하여 점차 질서정연한 모습을 갖추면서 변모해 가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지지(韓國地誌)』 지방편(地方篇) 1(건설부국립지리원, 1984)
『취락지리학(聚落地理學)』(오홍석, 교학사, 198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