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촌 ()

목차
인문지리
개념
인가(人家)가 불규칙하게 모여서 덩이 형태로 집단을 이루고 있는 마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인가(人家)가 불규칙하게 모여서 덩이 형태로 집단을 이루고 있는 마을.
내용

마을을 이루고 있는 요소에는 인가·경지·도로·부속시설 등이 있으나 가장 주축이 되는 것은 인가(혹은 가옥)이다. 인가는 지역에 따라 모여 있거나 흩어져 있는데, 그 분포상태의 기하학적인 모습에 따라 촌락을 구분하기도 한다.

괴촌은 질서정연하게 계획되어 있는 마을과는 그 모습이 전혀 다른데, 인가를 비롯하여 촌락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요소들의 배열 상태가 매우 불규칙한 것이 특징이다.

괴촌은 우리나라에 보편화된 촌락의 형태이다. 그것은 오랜 역사와 더불어 촌락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한둘씩 생겨나고, 또 변화하면서 동일 공간에 계속 누적되어 온데다가 촌락 계획의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았기 때문이다. 어느 마을을 가든지 인가가 옹기종기 모여 있고, 인가와 인가 사이에 꼬불꼬불한 도로가 나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주로 협업을 필요로 하는 논농사 지역에 괴촌이 두드러지게 발달하고 있다. 벼농사의 경우에는 서로 협동하여 일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서로 떨어져 살기보다는 모여 사는 것이 유리한데, 관개 조건이 유리한 강 유역의 평탄한 충적평야는 경작지로 이용되고, 인가는 산기슭과 구릉사면을 따라 발달함으로써 괴상(塊狀)을 이루게 된 것이다.

논농사 지역 외에도 촌락의 입지가 용천 주변으로 제약당하고 있는 제주도나 지형 제약이 큰 해안지역에서 괴촌 발달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오늘날 이러한 괴촌은 취락구조 개선사업 등을 통하여 점차 질서정연한 모습을 갖추면서 변모해 가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지지(韓國地誌)』 지방편(地方篇) 1(건설부국립지리원, 1984)
『취락지리학(聚落地理學)』(오홍석, 교학사, 198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