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좌와 광배를 잃었고 얼굴에 약간의 손상이 있지만 거의 완전한 형태를 간직하고 있다. 머리에는 높은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데, 그 중앙에 아미타불이 새겨져 있어 관음보살임을 증명하고 있다.
모나지 않은 원만한 얼굴에 섬세한 이목구비가 조화를 이루어 부드럽고 자비로운 인상을 느끼게 한다. 그리하여 관음보살의 이미지가 잘 구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굽혀 위로 올리고 왼손은 비스듬히 아래로 내렸다. 정병(淨甁)을 잡은 왼쪽 손목을 살짝 굽힌 모습이 매우 자연스러우며 유연하다.
풍만한 얼굴, 볼록한 가슴과 잘록한 허리 등의 특징을 갖춘 신체에 유연한 삼굴자세(三屈姿勢)와 비스듬히 놓인 왼발의 모습 등에서는 사실적이면서도 감각적인 작풍이 드러나 당시 보살상 양식의 일면을 알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풍만하고 육감적인 형태와 삼굴자세의 유연한 모습, 뛰어난 조각 기법과 장식적인 면 등은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1962년 지정)과 같은 8세기 보살상 양식에서 더욱 진전된 것으로 보인다.
상체는 나형(裸形)이나 가슴에는 큼직한 목걸이와 영락(瓔珞)으로 장식되었다. 영락은 양다리 위로 U자형의 곡선을 이루며 흐르는 군의(裙衣)를 배에서 묶는 구실을 하는 동시에 장엄하게 하는 효과를 주고 있다. 여기에 어깨를 두르고 물결 모양을 이루며 아래로 흘러내린 천의(天衣)가 부드러움과 생동감을 더해주고 있다.
이 상은 유연하면서도 탄력 있는 신체적 특징에 감각적인 삼굴자세 및 그와 조화를 이루는 양손의 자세와 왼발의 방향 등이 어울려 생동감 넘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천의와 영락 장식이 활력과 세련미를 더해주고 있는 보살상으로, 통일신라시대 조각의 난숙한 기량을 유감 없이 보여주는 우수한 작품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