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보살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금동보살입상
금동보살입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삼국시대의 보살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금동보살입상(1963-1)(金銅菩薩立像(1963-1))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보살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의 보살상.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 거창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이 불상은 광배는 결실되고 원형의 복판연화대좌(覆瓣蓮花臺座) 위에 똑바로 선 자세를 취하고 있다. 원래 정면 위주의 불상으로 뒷면이 납작한 편이며 머리 뒤에는 두광을 꽂았던 고리가 있다.

내용

머리에는 인동문(忍冬文)과 비슷한 장식이 있는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관 양끝에 매어진 가는 술이 고사리 모양으로 매듭을 지며 어깨 위로 내려진다. 조그마한 원형의 긴 연주문(連珠文)이 관과 술을 장식하고 있다. 얼굴의 표현은 매우 특징이 있어 가늘게 옆으로 찢어진 눈과 앞으로 내민 입 및 툭 튀어나온 광대뼈가 어울려서 한국적인 인상을 강하게 풍긴다.

완만하게 처리된 둥근 어깨는 삼도(三道)의 표현이 없는 굵은 목과 연결되어 있다. 목걸이는 두 줄로 표현되어 밑으로 각이 지게 드리워진다. 가슴 위의 대각선은 등 뒤에도 보이고 있어, 얇은 내의가 아닌가 생각된다. 천의는 상의 양쪽에 대칭으로 뻗쳐서 4단의 지느러미처럼 표현되었는데 매우 인위적이고 도식화되어서 사실적인 감이 없다. 양팔 밑으로 내려뜨려진 천의는 무릎 부분에서 엇갈려 교차되었고 상 뒤에서는 길게 허리 밑에까지 늘어졌다.

양어깨에 걸쳐져 내려오는 큼직한 구슬장식은 허리 밑부분의 둥근 원형 장식을 중심으로 교차되었다. 상의 전체 비례로 보아 너무 밑으로 내려온 듯싶다. 상의(裳衣)의 앞부분은 두 손에 가리워서 허리선이 잘 보이지 않는다. 양다리 위로 주름이 없이 밋밋하게 내려오며 몸 뒤의 허리 부분에서는 두 줄의 선으로 뚜렷이 표시되어 있다. 원형의 큼직한 대좌는 부식이 심하여 그 질감이 불신과는 매우 다른 느낌을 주며 단판(單瓣)의 내림연꽃받침으로 되어 있다.

특징

보주(寶珠)를 두 손에 들고 있는 모습은 충청남도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의 오른쪽 협시보살, 부여 정림사지 출토 소조(塑造)보살상 조각을 비롯하여 몇 예의 금동보살상에서도 보인다. 옛 백제 땅에서 유행하였던 형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 상과 비슷하게 봉주(捧珠)하고 있는 모습이나 천의가 양쪽으로 뻗친 모습은 일본의 호류사(法隆寺) 몽전(夢殿)의 주존불인 구세관음(救世觀音)과 일본의 초기 불상의 대표적인 사십팔체불(四十八體佛)에서도 나타난다. 이는 일본의 초기 불상에 영향을 미쳤음을 입증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보살상은 부여의 군수리사지(軍守里寺址) 출토 금동보살입상이나 평양의 원오리사지(元五里寺址)에서 나온 흙으로 빚은 이조(泥造)보살상들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천의가 양쪽으로 뻗쳐 있는 모습이나 조각의 표현이 간략화된 점 등에서 삼국시대 보살상의 초기양식을 이어주고 있다. 그러나 몸에 구슬장식이 보이는 것이나, 보주를 두 손으로 받들고 있는 모습은 보살 양식의 발달에 있어서는 그 다음 단계에 나타나는 요소이다. 따라서 이 상은 양식상으로 미루어 보아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에 조성되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삼국시대불교조각론』(강우방, 국립중앙박물관, 1990)
『문화재대관』5-보물 3-(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한국의 불상』(진홍섭, 일지사, 1976)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