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출토지는 알 수 없으나 우리 나라 금동불상으로서는 비교적 큰 편이다. 일부 도금이 떨어진 부분도 있으나 육계(肉髻)부터 대좌에 이르기까지 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 불상은 팔각연화대좌(八角蓮花臺座) 위에 배를 약간 내밀고, 자연스러우면서도 당당한 자세로 서 있다.
머리는 나발(螺髮)인데 많이 마멸되었고, 그 위에 육계가 약간 뾰족하고 높게 솟아 있다. 얼굴은 통통한 편이나 이마가 유난히 좁다. 눈은 크고 옆으로 길게 찢어진 것 같은 모습이다. 코와 입은 작은 편이다. 입가에는 은은한 미소를 띠었고, 얼굴 전체에서 매우 친근한 인상을 풍긴다. 목이 약간 굵고 짧은 편이어서 조금은 답답한 느낌을 준다. 삼도(三道)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의상이 보여 주는 특이한 양상은 다음과 같다. 대의(大衣)를 오른쪽 어깨에서 약간 벗겨질 듯이 걸쳤다. 그리고 주름을 허리 아래에서부터 표현하여 가슴과 배가 유난히 많이 드러나 보인다. 허리 부분에 있는 띠 매듭 모양의 표시는 군의(裙衣)라기보다는 대의 속에 대각선으로 입었던 내의가 아닌가 생각된다. 그 아래에 U자형의 주름이 계단식으로 여러 번 겹쳐져 늘어졌다. 더 아래의 군의 자락은 곧게 늘어진 여러 주름으로 드리워져 있으며, 발목이 많이 드러나 보일 만큼 위로 치켜올려져 있다. 전반적으로 옷의 연결 부분이 명확하게 처리되지 못하여 형식이 모호하다. 주름도 대체로 굵고 투박하여 예리한 맛이 덜하다.
불상의 자세는 몸 전체를 정면에서 볼 때, 얼굴 부분, 목에서 허리 그리고 허리 이하의 세 부분에서 가볍게 꺾여 있어 자연스러운 느낌을 준다. 손의 모습〔手印〕은 일반적인 형식과 달리 오른손은 여원인(與願印)을 취하고, 왼손은 손가락을 앞쪽으로 내밀고 손바닥을 위로 향하고 있다.
대좌는 단판앙련(單瓣仰蓮 : 위로 향하고 있는 홑잎의 연꽃)과 복판복련(複瓣覆蓮 : 아래로 향하고 있는 겹잎의 연꽃)이 한데 붙어 있다. 그 아래에 안상(眼象)이 각 면에 투각된 팔각의 받침이 있는데, 이러한 대좌 형식은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것이다.
이 불상은 양식상으로,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출토 사리함에서 나온 두 불상과 비교될 수 있다. 당나라 양식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통일신라시대 전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황복사지 삼층석탑 출토의 불상 가운데 706년경의 좌상인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국보, 1962년 지정)보다는 아직 풍만한 감이 덜한 얼굴 모습으로 보아 그보다는 시대적으로 약간 이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연화대좌 밑에 8각형 기단과 각 면에 표현된 안상은 8세기에 들어와 유행하는 대좌 형식이다. 이는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국보, 1962년 지정)의 대좌와 비교될 수 있다. 그런데 이 금동불상의 경우에는 새로운 양식적 형태가 다른 불상보다 더 빨리 적용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다만 황복사지 삼층석탑 출토의 좌상에 비하여 두꺼운 옷, 굵고 약간 투박한 옷주름, 모호한 옷의 형식, 덜 유연한 자세, 조금은 어색하게 보이는 전체 인상 등으로 보아 이 불상이 그보다 조금 이른 시기에 속하는 것임을 시사한다 하겠다. 따라서 이 불상은 대략 7세기 말의 작품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