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는 해악(海岳), 가명은 김현구(金鉉九·金玄九·金玄狗). 황해도 안악 출신이다.
고향에서 한문학을 공부하다가 독립운동을 결심한 뒤, 1914년 가족을 이끌고 동삼성으로 이주하였다. 동삼성에서 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김창환(金昌煥)·이천민(李天民)·임의탁(林義鐸) 등과 독립운동 및 문화사업에 힘썼다.
이 후 고향에 돌아와 문신소학교(文新小學校)를 설립하고 육영사업을 하는 한편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안악에서 봉기한 3월 11일, 4월 6일, 4월 8일의 세 차례의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였다. 또한 이 밖에도 군내 여러 곳의 장날을 이용해 격렬한 만세시위운동을 주도적으로 일으켰다.
3·1운동 이후 상해로 망명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 연통제(聯通制)의 황해도경무사(黃海道警務司)로 임명되어 군자금을 모집해 안악군 대행면 굴산리에 국내 연락소를 두고 만주로 망명하였다.
그 뒤 만주 안동(安東)에서 임시정부와 긴밀한 연락을 취하면서 모집한 군자금을 보내고 다시 국내로 잠입해 활동을 계속하다가, 1921년 5월 13일 일본경찰에 체포되었으나 곧 석방되었다.
석방된 후 임시정부로 갔다가 국내에 잠입해 황해도독판(黃海道督辦) 및 각 군의 요원들에게 임시정부의 밀령과 연락사항을 전달하고, 군자금을 모집해 다시 상해로 갔다. 1922년 7월 상해에서 조직된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에 참여했으며, 임시의정원 황해도의원에 선출되었다.
같은 해 10월 28일 상해 프랑스조계에서 10년 이내에 1만여 명 이상의 노병(勞兵)을 양성하고 100만원 이상의 전비를 조성할 목적으로, 한국노병회(韓國勞兵會) 발기총회를 김구(金九) 등 20여 명과 같이 개최하였다. 이 때 김기형은 비서부장과 총무부장을 역임하였다.
1923년 6월 3일 국민대표회의파의 황해도 대표로서 참가하였다. 상해대한인교민단의사(上海大韓人僑民團議事) 및 총무부장을 역임하고 이 단체에서 경영하는 인성학교(仁成學校)의 이사로 교육운동에 앞장섰다. 같은 해 4월 1일 한국노병회의 회계검사원에 선임되었다.
1925년 3월 임시의정원 의원으로서, 임시정부의 임시대통령 이승만탄핵심판위원에 선임되었다. 1926년 민족교육의 이상을 실현시키고자, 최창식(崔昌植)·김규식(金奎植) 등과 함께 상해 천상리(天祥里)에 삼일공학(三一公學)을 설립하였다. 또한 문일민(文一民) 등과 같이 병인의용대(丙寅義勇隊)를 조직하였다.
1929년 말부터 이동녕·이시영·김구·이유필·조완구·조소앙(趙素昻)·안창호·박기준(朴基俊)·엄항섭(嚴恒燮) 등과 함께 정당 조직에 힘썼고 1930년 1월 한국독립당을 출범하는 데 참여하였다. 여기서 중앙집행위원과 함께 문화부장·재무부장·감사 등을 역임하면서 민족진영의 단결을 굳게 하였다.
1935년 난징[南京]에서 오당통합운동(五黨統合運動)에 참여해 민족혁명당 조직에 진력하였다. 1937년 1월에는 이 당의 감찰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다가 1940년에 충칭[重慶]으로 가서 의정원 의원으로 그 해 9월 17일 한국광복군 창립에 노력하였다.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