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남

목차
현대문학
문헌
일지사에서 조병화의 연작시 55편을 수록하여 1975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지사에서 조병화의 연작시 55편을 수록하여 1975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작자의 제22시집으로 1975년 일지사(一志社)에서 간행하였다. 모두 55편으로 구성된 연작시(連作詩)이다. 책머리에 자서(自序)가 있고, 말미에는 해제로 김여정(金汝貞)의 「고독과 허무의 공간」이 실려 있다. 이것은 1973년 2월호부터 1975년 1월호까지 만 2년에 걸쳐서 『현대시학(現代詩學)』에 연재된 것을 대폭 수정, 연재의 역순(逆順)으로 편성한 것이다.

내용

인간의 생명·죽음·사랑·고독·이별·염원 등에 관해서 자신의 진솔한 생각과 느낌, 또는 언어의 초원(草原) 같은 것을 이 시집에다 다루어보았다고 작자는 말한다. 다시 말해서 인간적 숙명의 자리에 스스로를 정립시키고, 또 그런 어둠 속에 선 자신을 그려두고 싶어서 썼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이 시집은 ‘남남’이라는 큰 제목만 제시되고 있을 뿐, 일련번호로 1∼55까지 이어진 것으로 직정성(直情性)을 특색으로 들 수가 있다.

그 자신의 일상적 생활과 밀착되어 생각과 느낌에서 전혀 가감이 없고, 수사적 교치(巧緻)도 부리지 않은 소박한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푸른 바람이고 싶었다/푸른 강이고 싶었다/푸른 초원이고 싶었다/푸른 산맥이고 싶었다/푸른 구름/푸른 하늘/푸른 네 대륙이고 싶었다.”를 서두로 하고 있는 이 시는 아무런 가식도 없고 소박하고 토속적인 한 평범한 인간의 삶을 노래한 것이다.

이러한 삶과 죽음의 순환 원리는 그 누구도 극복하지 못한다. 그러나 인간은 태어났기에 그 생명을 소중하게 가꾸며 살아가야 하고, 이렇게 살아가는 과정에서 수많은 ‘남남’, 곧 타인과 마주하게 된다. 이 시는, 사람은 누구나 이러한 타인들과의 관계에서, 때로는 사랑도 되고 미움도 되고 슬픔도 되고 분노도 되고 연민도 된다는 소박한 생각들로 엮어졌다.

요컨대, 이 연작시는 인간의 일상적 삶 속에서 만나는 ‘나’와 ‘너’와의 갈등적 상황과 허무 의식을 기조로, 평이한 일상어를 구사하여 독자에게 보편적 공감대를 형성해주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조병화의 문학세계』(마종기 외, 일지사,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