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대천 ()

목차
자연지리
지명
함경북도 북청군의 후치령(厚峙嶺)에서 발원하여 군의 대부분을 유역으로 하면서 남쪽을 지나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함경북도 북청군의 후치령(厚峙嶺)에서 발원하여 군의 대부분을 유역으로 하면서 남쪽을 지나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
내용

유역면적 1,990.6㎢, 유로연장 65.0㎞.

함경산맥의 분수령에 있는 후치령에서 발원하여 급사면을 따라 남류하면서 북서쪽의 통팔령(通八嶺)에서 시작되는 통팔령천과 북동쪽의 대덕산(大德山)에서 시작되는 곤파천(坤坡川)을 모으고 다시 서쪽에서 오는 거서천(車書川)을 합류한 뒤 남동쪽으로 흐르다가 북청(北靑)에 이르러 곡폭이 넓어지면서 하류 부근에서 문성천(文城川)과 합류하여 동해로 들어간다.

그 근원이 다섯이기 때문에 일명 오천(五川)이라고도 한다. 이 하천은 유로가 짧고 급사면을 흐르기 때문에 토사의 운반력이 강하며 하류에 소규모의 충적지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것이 이른바 북청평야이다.

후치령을 넘어 개마고원지방의 풍산(豐山)·갑산(甲山)을 거쳐 혜산진(惠山鎭)에 이르는 내륙통로가 이 하천곡지를 지나며, 북청은 교통의 요충지에 발달한 지방중심지이다. 특히, 사과생산이 많고 근해에는 명태의 주어장이 형성되는 곳이어서 수산업이 활발하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
『관북읍지(關北邑誌)』(1698)
『朝鮮地誌資料』(1918)
『함경남도지』(함경남도지편찬위원회, 1968)
『신한국지리』(강석오, 새글사, 197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