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리아회 (다리아)

단체
1924년 윤극영(尹克榮)에 의하여 서울에서 조직된 동요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24년 윤극영(尹克榮)에 의하여 서울에서 조직된 동요단체.
개설

1923년 5월 1일 어린이날이 제정되면서 어린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오늘날의 세미나에 해당하는 ‘전 조선 소년지도자 대회’가 색동회 주최로 열렸다. 이 자리에서 어린이 창작 동요의 필요성이 '윤극영'에 의해 제창되었고, 1924년 윤극영이 주축이 된 최초의 동요단체인 ‘다리아회’가 조직되었다.

설립 목적

이 회의 목적은 당시 우리나라 어린이들이 일본 노래에 물들어가는 것을 염려하여 우리말과 노래와 순풍양속을 찾아주기 위한 것이었다. 이 당시 방정환과 윤극영 그리고 조재호와 윤석중 등은 어린아이들이 일본의 동요를 따라 부르는 것을 보고 분개하여 많은 어린이 창작 동요를 만들어 보급하기 시작했다. 방정환이 만든 색동회와 윤극영이 만든 다리아회는 동요 창작과 보급의 본산이었다.

기능 및 역할

윤극영은 우리의 정서에 맞는 새로운 동요를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다리아회를 통해 어린이들을 결집시키고 이를 적극적으로 가르치는 데 노력하였다. 그는 먼저 매년 1월 1일이면 어린이들이 마땅한 노래가 없어 일본 노래를 부르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우리나라 고유의 풍속인 설날에 빚어지는 일들을 노래한 「설날」을 작사하였다.

그 뒤 「반달」을 작사, 작곡하여 10여 곡의 악보를 인쇄해서 서울의 각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우송하였다. 다리아회의 소녀 합창단을 결성하여 「반달」을 부르게 하였다. 이렇게 퍼진 노래는 순식간에 전국에 전파되어 많은 어린이들이 다리아회에서 보급한 노래를 즐겨 부르게 되었다.

당시 일제에 의하여 학교에서 우리 나라 노래를 부르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으나, 일시에 전국적인 호응을 얻은 이 노래들에 대해서는 금지를 해제하기도 하였다.

이 회에서는 또한 1925년 3월 내청각(來靑閣)에서 창가극 「파랑새를 찾아서」를 공연하였다. 이 창가극은 벨기에의 희곡동화 「파랑새」를 각색한 것으로, 번역은 박팔양(朴八陽)이 맡고 곡은 윤극영이 붙였다.

이와 같이, 처음에는 윤극영 중심의 동요보급단체로 출발하였으나, 점차 발전되어 예술적 훈련을 목적으로 하는 아동극연구까지 담당하였다.

회원 또는 후원자는 윤극영을 비롯하여 안석영(安夕影)·심훈(沈熏)·이서구(李瑞求)·김병조(金秉兆)·임병설(林炳卨)·안석주(安碩柱)·윤갑숙(尹甲淑)·김기진(金基鎭)·윤병섭(尹秉燮) 등이었다.

의의와 평가

다리아회에서 만들어 보급시킨 동요로는 「설날」·「반달」·「고드름」·「따오기」·「흐르는 시내」 등이 있다. 다리아회는 색동회와도 연관이 깊었고, 윤극영이 지은 동요들이 잡지 『어린이』에 소개되는 등 소년잡지계와도 깊은 관련을 맺었다.

참고문헌

『한국인의 가치관』(손인수, 문음사, 1979)
『한국양악백년사』(이유선, 중앙대학교 출판국, 1976)
『색동회어린이운동사』(정인섭, 학원사, 1975)
『윤극영 전집 1, 2』(윤극영, 현대문학, 200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